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
武人時代 | |
장르 | 사극 |
---|---|
방송 국가 | ![]() |
방송 채널 | KBS 1TV |
방송 기간 | 2003년 2월 8일 ~ 2004년 8월 15일 |
방송 시간 | 토, 일 밤 9시 45분 -> 10시 35분 |
방송 분량 | 50분 |
방송 횟수 | 158부작 |
기획 | KBS 드라마본부 |
책임프로듀서 | 이녹영 (KBS 드라마운영팀) |
프로듀서 | 정영철 |
연출 | 신창석, 윤창범, 김성근 |
각본 | 유동윤 |
출연자 | 서인석 박용우 이민우 정태우 박준규 김형일 김명국 김동현 추상미 유혜정 김성령 김규철 김병세 최상훈 선동혁 김주영 윤승원 정영숙 김종결 김성겸 김성원 김인태 박병호 임혁 김윤경 김갑수 이덕화 김흥기 |
해설 | 권영운 |
HD 방송 여부 | SD 제작 · 방송 |
외부 링크 | 공식홈페이지 |
《무인시대(武人時代)》는 고려 시절 무신정권기를 다룬, 2003년 2월 8일부터 2004년 8월 15일까지 총 158부작으로 방영된 KBS의 대하드라마이다. 절대 권력은 절대 부패한다는 말처럼 무신정권기 집권자들과 그 주변 인물들의 권력투쟁, 흥망성쇠를 비롯한 다양한 인간군상에 대해 포커스를 맞춘 작품이다.
1 제작진[ | ]
- 연출 : 신창석, 윤창범, 김성근
- 극본 : 유동윤
- 해설 : 권영운
- 촬영감독 : 우성주
- 야외조명 감독 : 이광호
- 동시녹음 : 옥승훈
- 조연출 : 김원석, 권계홍
2 등장 인물[ | ]
2.1 주요 인물[ | ]
- 서인석 : 이의방 역 (51회에서 하차)
- 김흥기 : 정중부 역 (76회에서 하차)
- 박용우 : 경대승 역 (49회부터 98화까지 등장),이성계 역 (158화까지 등장)
- 이덕화 : 이의민 역 (127회에서 하차)
- 김갑수 : 최충헌 역 (95회부터 158화까지 등장)
2.2 왕실 인물[ | ]
- 이성호 : 인종 역
- 김윤경 : 공예태후 임씨 역
- 김보미 : 선평왕후 김씨 역
- 김규철 : 의종 역
- 김병세 : 명종 역 (134회에서 하차)
- 이우석 : 신종 역
- 김경응 : 대령후 역
- 정태우 : 희종 역
- 박병선 : 강종 역 (태자 왕숙)(아역 : 이인)
- 오현철 : 고종 역
- 미상 : 원종 역
- 박은빈 : 사평왕후 이씨 역(이의방의 딸 달래)
- 채민서 : 성평왕후 임씨 역
- 조양자 : 원덕왕후 유씨 역
- 윤지유 : 안혜왕후 유씨 역
- 최하나 : 수안궁주 역
- 오유나 : 연희궁주 역
- 후궁과 기타인물
- 환관
- 궁녀
2.3 문신들[ | ]
- 주효만 : 김부식 역
- 김종결 : 문극겸 역
- 박영지 : 김돈중 역(김부식의 아들)
- 신동훈 : 문장필 역
- 박병호 : 조영인 역
- 최상훈 : 조충 역 (조영인의 아들)
- 정진각 : 한뢰 역
- 유순철 : 임종식 역
- 김인태 : 윤인첨 역
- 양형호 : 우승경 역
- 김준모 : 유응규 역
- 김성원 : 한문준 역
- 남영진 : 왕준명 역
- 이일웅 : 이인로 역
- 정운용 : 염신약 역
- 장칠군 : 금의 역
- 차광수 : 이규보 역
- 신원균 : 김군수 역
2.4 이의방 집권기 무신과 관련인물들[ | ]
- 박준규 : 이고 역 (22회에서 하차)
- 김명국 : 채원 역
- 김성령 : 무비 역
- 권이지 : 오랑 역 무비의 호위무사
- 김종호 : 아들 희 역 무비의 어린 막내아들 희 역
- 이미지 : 조씨 역 이의방의 부인
- 김동현 : 이준의 역
- 전현 : 이린 역
- 손호균 : 이춘부 역
- 원석연 : 승려 수혜 역
- 권병준 : 승려 현소 역
- 이원종 : 이고의 아버지 역
- 이원발 : 김교위 역
- 윤자경 : 철랑 역
- 최왕순 : 부관 역 이의방의 부관
2.5 정중부 집권기 무신과 관련인물들[ | ]
- 이민우 : 정균 역(정중부의 아들) 75회에서 하차
- 송용태 : 이소응 역
- 김진태 : 송유인 역(정중부의 사위) 75회에서 하차
- 심우창 : 양숙 역
- 박용식 : 기탁성 역
- 김효원 : 진준 역
- 김주영 : 조원정 역
- 황범식 : 이광정 역
- 김봉근 : 오광척 역
- 장순국 : 석린 역
- 서영진 : 종참 역(귀법사 승려)
2.6 경대승 집권기 무신과 관련인물들[ | ]
- 김성겸 : 경진 역(경대승의 아버지)
- 이일재 : 허승 역
- 김하균 : 김광립 역(허승의 오른팔)
- 김시원 : 김자격 역(경대승의 호위무사 및 도방의 방주)
- 이계인 : 손석 역
- 김봉근 : 오광척 역
- 임대호 : 도손 역
- 김혁 : 오척 역
- 임주완 : 홍두 역
- 오만석 : 양표 역
- 김효선 : 소랑 역
- 최하나 : 머루, 소현 역
2.7 이의민 집권기 무신과 관련인물들[ | ]
- 임혁 : 두경승 역 (135회에서 하차)
- 박철호 : 박존위 역
- 민 욱 : 최세보 역
- 유종근 : 이영진 역
- 정선경 : 이의민의 처 최씨 역
- 김홍표 : 이지순 역(이의민 장남)
- 정의갑 : 이지영 역(이의민 차남)
- 하정우 : 이지광 역(이의민 삼남)
- 임병기 : 전존걸 역
- 전무송 : 두두을 역(이의민 책사)
- 정흥채 : 부루 역
- 김영기 : 자선 역
- 장동직 : 최부 역
- 임경옥 : 부용 역(이의민의 두번째 부인)
- 함소원 : 아란 역(이의민의 세번째 부인)
- 박태민 : 이선 역 이의민의 아버지
2.8 최충헌 집권기 무신과 관련인물들[ | ]
- 김병기 : 노인우 역
- 김형일 : 최충수 역
- 선동혁 : 노석숭 역 (최충헌과 95회부터 출연)
- 이대로 : 정숙첨 역
- 김경하 : 기홍수 역
- 이병욱 : 박진재 역(104회 출연)
- 이덕희 : 송씨 역 최충헌의 부인
- 정재곤 : 최우 역(최충헌 장남)
- 최성준 : 최향 역(최충헌 차남)
- 이다윗 : 최우 아역
- 신승준 : 최향 아역
- 최운교 : 오숙비 역
- 이종박 : 박정부 역
- 홍일권 : 김약진 역
- 안성민 : 김취려 역
- 김용헌 : 김용부 역
- 추상미 : 홍련화 역
- 류현경 : 자운선 역
- 선지현 : 자운선 아역(아명 아지)
- 이원용 : 노관 역
- 배도환 : 이지식 역
- 김경응 : 준존심 역
- 류덕환 : 어린 최충헌 아역
- 강 재 : 청년 최충헌 아역
2.9 기타 무신들[ | ]
2.10 기타 인물들[ | ]
- 최정원 : 장경왕후 김씨 역
- 장기용 : 조동희 역
- 김대환 : 완안정 역
- 문회원 : 김자양 역
- 정진화 : 최당 역
- 나경민 : 덕양후 역
- 김응석 : 이관실 역
- 배도환 : 이지식 역
- 김용헌 : 김용부 역
- 이철민 : 김척후 역
- 최낙희 : 박순필 역
- 이기철 : 최인 역
- 이원용 : 노관 역
- 박재훈 : 동천 역
- 고태산 : 대안 역
- 진봉진 : 걸노 역
- 김주호 : 합진 역
- 이의선 : 완안자연 역
- 한용덕 : 김돈중의 하인 역
- 이종박 : 박정부,자객 역
- 김광인 : 야율규 상대하던 무장 역
- 박병훈 : 한순의 수하장군 역
- 양영준 : 주지스님 역
- 이칸희 : 조원정의 처 역
- 이미숙 : 석린의 처 역
- 김관기 : 이의민에게 참살당한 장수 역
- 이도련 : 동경유수 역
- 이영재 : 고려 무관 역
- 이광기
- 조희봉
- 정요숙
- 신소민
- 김영배
- 이지은
- 강경헌
- 손종범
- 김광필
- 맹호림
- 김학준 : 이지순 아역
- 이종만
- 안신우 : 김취려 역
- 김소영
- 최재형
- 김현진
- 고규필
- 박종설
- 최진홍
- 김애란
- 김현숙
- 김홍수
- 이지훈
- 유승민
2.11 반란의 주역과 관련인물들[ | ]
- 김보당의 난
- 조위총의 난
- 망이 망소이의 난
- 김사미 효심의 난
- 만적의 난
2.12 금나라 인물[ | ]
3 결방 사유[ | ]
- 2004년 4월 18일 - 당선자와 함께 <국민의 국회, 어떻게 만들 것인가> 편성으로 결방
- 2004년 7월 31일 - KBS 특별기획 <한국사회를 말한다> 편성으로 결방
4 기타[ | ]
- 1999년 KBS에서 후삼국 시대부터 공민왕 시대까지 다루는 고려사 10년 시리즈로 기획된[1] 작품 중 하나였으나, 애초에 전작인 제국의 아침부터가 흥행 부진으로 허우적거려 여요전쟁 이후 고려 전성기 시절을 건너뛰고 바로 무인시대가 제작되었다.
- 원래는 고려 무신 집권 중 최씨 정권 최의의 집권과 무신정권이 몰락하는 1270년까지를 150화로 구성해 다룰 예정이었지만[2][3] 후반부 흥행 부진과 작가 교체 논란 등으로 최충헌의 죽음까지만 다루게 되었다. 작가 유동윤씨는 무인시대 이후 SBS 왕의 여자 집필 제의를 받았으나[4] 겹치기 집필 문제 등으로 논란이 일자 결국 왕의 여자는 포기했고 이 작품은 윤정건 작가가 대타로 들어가게 된다. 참고로 이 무신정권의 후반기 내용은 이후 MBC 드라마 무신 (드라마)에서 다루게 된다.
- 첫 회 방영 당시만 해도 서인석, 김흥기, 이덕화 등 중견연기자들의 열연과 횡계지역의 폭설을 배경으로 찍은 사실적 화면, 무인혁명의 당위성 등을 호방하게 그리면서 한때 시청률 20%대를 유지하기도 했으나, 2003년 6월 28일부터 시간대가 주말 오후 9시 45분에서 10시 10분으로 옮겨지고, 후반부 주요 배역 퇴장 등으로 인한 긴장감 약화와 더불어 동일 시간대 SBS 경쟁작 파리의 연인의 큰 흥행 등으로 최종회 시청률은 13.6%에 그친다.[5]
- 후속작으로 내정된 불멸의 이순신의 주인공 김명민의 촬영 스케줄이 한참 지연되어 캐스팅 문제가 일어나자[6] 기존 150부작에서 8부를 늘려 158부작으로 막을 내렸다.
5 각주[ | ]
- ↑ `암흑시대' 고려사 복원 활발 연합뉴스 1999년 1월 29일
- ↑ KBS 1TV '제국의…' 후속 '무인시대' 매일경제 2002-12-25
- ↑ '무인시대' 내년2월 8일부터 방영 한국일보 2002-12-25
- ↑ 김태경 (2003년 3월 2일). “[방송가] KBS '장희빈' 작가 집필 중단”. 국제신문. 2016년 9월 1일에 확인함.
- ↑ 이인표 (2004년 8월 23일). “武臣정권 시대 인물중심 묘사”. 문화일보. 2015년 7월 21일에 확인함.
- ↑ 김범석 (2004년 5월 16일). “드라마 발목 잡는 '후속 드라마'”. 일간스포츠. 2015년 7월 21일에 확인함.
6 외부 링크[ | ]
- 위키백과 "무인시대 (드라마)"
위키낱말사전 "무인시대 (드라마)"
- 다음사전 "무인시대 (드라마)"
- 다음백과 "무인시대 (드라마)"
- 네이버사전 "무인시대 (드라마)"
네이버백과 "무인시대 (드라마)"
나무위키 "무인시대 (드라마)"
- 리브레 위키 "무인시대 (드라마)"
- 무인시대 공식 홈페이지
한국방송공사 대하드라마 | ||
---|---|---|
이전 작품 | 작품명 | 다음 작품 |
편집자 가수티파니영은내아내이자운명 112.167.50.26
로그인하시면 댓글을 쓸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