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
![]() 有心草 | |
장르 | 사극 드라마 |
---|---|
방송 국가 | ![]() |
방송 채널 | SBS (구 서울방송) |
방송 기간 | 1991년 12월 16일 ~ 1992년 5월 14일 |
방송 시간 | 월 ~ 금 밤 8시 30분 수, 목 밤 9시 55분 |
방송 분량 | 25분(일일드라마), 55분(수목드라마) |
방송 횟수 | 84부작 |
연출 | 김재순 |
각본 | 신봉승 |
출연자 | 아래 참고 |
음성 | 한국어 |
HD 방송 여부 | 아날로그 제작 · 방송 |
《유심초》(有心草)는 SBS에서 1991년 12월 16일부터 1992년 5월 14일까지 방영된 드라마이다.
1991년 12월 9일 SBS TV가 개국하면서 방영을 시작한 드라마로, 첫 회인 1991년 12월 16일부터 1992년 3월 20일까지는 25분 분량의 일일드라마로 방영되었으나, 1992년 3월 25일부터 1992년 5월 14일까지는 1시간으로 늘려 수목 드라마로 방영되었다.[1]
1 기획 의도[ | ]
조선 시대의 신분이 다른 세 여인의 삶을 통해 선과 악의 의미를 재조명한 작품[2]
2 등장 인물[ | ]
2.1 주요 인물[ | ]
2.2 주변 인물[ | ]
2.3 화영 관련 인물[ | ]
2.4 윤보배 관련 인물[ | ]
- 정욱 : 보배의 아버지 역
- 태현실 : 보배의 어머니 역
- 유명순 : 보배의 친조모 역
- 김복희 : 보배의 외조모 역
- 이영후 : 보배의 시아버지 역
- 김영옥 : 보배의 시어머니 역
- 장덕수 : 보배의 셋째아들 역
- 이건주 : 보배의 막내아들 역
- 남성훈 : 조경조의 사부 연일 공 역
- 이영호 : 보배 셋째아들의 죽마고우 연일 공자 역
- 권오현 : 조경조 사부 연일 공의 사위 역
2.5 정순옹주 관련 인물[ | ]
- 김지영 : 정순옹주의 친할머님 역
- 백일섭 : 정순옹주의 부왕 역
- 한영숙 : 정순옹주의 모빈 역
- 김민정 : 정순옹주의 법모 역
- 홍윤정 : 정순옹주의 큰 서모 역
- 원미원 : 정순옹주의 작은 서모 역
- 남능미 : 정순옹주의 셋째 서모 역
- 김정하 : 정순옹주의 넷째 서모 역
- 정상철 : 정순옹주의 이복 숙부 역
- 양금석 : 정순옹주의 이복 고모 역
- 김동수 : 정순옹주의 이복 큰 오빠 역
- 김희정 : 정순옹주의 이복 언니 역
- 전현 : 정순옹주의 이복 형부 역
- 정동남 : 정순옹주 이복 언니의 시부 이숙공 역
- 박형준 : 정순옹주의 이복 작은 오빠 역
- 우봉식 : 정순옹주의 이복 셋째 오빠 역
- 전미선 : 동궁빈 역
- 장서희 : 동궁측실 역
- 정요숙 : 정순옹주의 동복 여동생 역
- 강민경 : 정순옹주의 첫째 이복 여동생 역
- 김알음 : 정순옹주의 큰 이복 남동생 역
- 김세영 : 정순옹주의 작은 이복 남동생 역
- 김태진 : 정순옹주의 친정 이복 조카 역
- 김수양 : 정순옹주의 둘째 이복 여동생 역
- 양진영 : 정순옹주의 셋째 이복 남동생 역 (아역: 이상택)
- 김민희 : 정순옹주의 셋째 이복 여동생 역
- 정명현 : 정순옹주의 넷째 이복 남동생 역 (아역: 김기웅)
- 강현종 : 정순옹주의 막내 이복 남동생 역
- 김민정 : 정순옹주의 막내 이복 여동생 역
- 김희라 : 정순옹주의 재종조부 역
- 민지환 : 정순옹주의 큰외조부뻘 역
- 이묵원 : 정순옹주의 외조부뻘 역
- 김세윤 : 정순옹주의 작은외조부뻘 역
- 박일 : 정순옹주의 외종숙부뻘 역
- 성동일 : 정순옹주의 큰외숙부뻘 역
- 공형진 : 정순옹주의 작은외숙부뻘 역
- 조인표 : 정순옹주의 외종뻘 역
2.6 그 이외 인물[ | ]
- 김경애 : 폐비 군부인 신씨 역
- 안해숙 : 폐비 부부인 신씨 역
- 강태기 : 영의정 대감 역
- 현석 : 좌의정 대감 역
- 이춘식 : 우의정 대감 역
- 유승봉 : 봉조하 원로대신 낭성군 역
- 허기호 : 원로 정국공신 서원군 역
- 김주승 : 사간원 대사간 역
- 이인철 : 대전 내관 역
- 김해숙 : 대전 상궁 역
- 신복숙 : 중궁전 상궁 역
3 결방[ | ]
- 1992년 1월 1일 : 특집드라마 <다시 열리는 세월> 1부 편성으로 인해 결방[3]
- 1992년 1월 2일 : 특집드라마 <다시 열리는 세월> 2부 편성으로 인해 결방[3]
- 1992년 3월 5일 : 57회 58회분 연속 방영
- 1992년 3월 6일 : 뉴스 특보 편성으로 인해 결방
4 경쟁 프로그램[ | ]
일일극
- 《옛날의 금잔디》(KBS1) : 1991년 12월 16일 ~ 1992년 3월 20일
수목드라마
- 《92' 고래 사냥》(KBS2) : 1992년 3월 25일~ 1992년 3월 26일(미니시리즈로 방영됨)
- 《백번 선본 여자》(KBS2) : 1992년 4월 1일 ~ 1992년 4월 23일(미니시리즈로 방송됨)
- 《위기의 남자》(KBS2) : 1992년 4월 29일 ~ 1992년 5월 14일(미니시리즈로 방영됨)
- 《일출봉》(MBC) : 1992년 3월 25일 ~ 1992년 5월 14일
5 참고 사항[ | ]
- 박지영과 변소정과 함께 1989년 말부터 MBC와 2년간 전속 출연 계약을 맺었지만 <유심초>에 출연하게 되자, MBC는 두 배우에게 1500만~2000만 원 상당의 손해배상을 SBS에게는 출연 정지 가처분 신청을 했다.[4] 변소정은 이때문에 출연 중이었던 MBC 주말극 <산너머 저쪽>에서 중도하차했다.[5]
- 백일섭은 영화제작에 몰두하기 위해 한동안 브라운관에서 사라졌다가 해당 작품으로 안방극장 복귀를 했다.[6]
- 20% 미만의 저조한 시청률을 기록하였다.[7]
6 같이 보기[ | ]
7 각주[ | ]
- ↑ “SBS-TV 23일 첫 프로개편”. 동아일보. 1992년 3월 6일. 2015년 7월 14일에 확인함.
- ↑ 박성수 (1991년 8월 2일). “SBS-TV 드라마 준비"착착"”. 경향신문. 2015년 7월 14일에 확인함.
- ↑ 이동: 3.0 3.1 “연휴 TV 다큐멘터리·드라마”. 한겨레신문. 1991년 12월 31일. 2017년 12월 12일에 확인함.
- ↑ 박성수 (1991년 9월 10일). “MBC두 탤런트에 손배소송”. 경향신문. 2015년 9월 5일에 확인함.
- ↑ 성일권 (1991년 9월 13일). “잇단 탤런트 도중하차로"파문"”. 경향신문. 2015년 9월 5일에 확인함.
- ↑ 양영채 (1993년 3월 14일). “"25년만의 인기회복 신나요"”. 동아일보. 2016년 10월 15일에 확인함.
- ↑ “스케치 드라마「삼국기」 시청자 만족도 1位(위)”. 동아일보. 1992년 6월 11일. 2015년 9월 5일에 확인함.
8 외부 링크[ | ]
- 위키백과 "유심초 (드라마)"
위키낱말사전 "유심초 (드라마)"
- 다음사전 "유심초 (드라마)"
- 다음백과 "유심초 (드라마)"
- 네이버사전 "유심초 (드라마)"
네이버백과 "유심초 (드라마)"
나무위키 "유심초 (드라마)"
- 리브레 위키 "유심초 (드라마)"
SBS 일일드라마 | ||
---|---|---|
이전 작품 | 작품명 | 다음 작품 |
신설
|
유심초
(1991년 12월 16일 ~ 1992년 3월 20일) |
사랑의 찬가
(1995년 7월 10일 ~ 1996년 2월 2일) |
SBS 수목드라마 (10시 드라마) | ||
신설
|
편집자 가수티파니영은내아내이자운명
로그인하시면 댓글을 쓸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