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일조

58.233.110.184 (토론)님의 2024년 6월 14일 (금) 22:11 판 (→‎개요)

1 개요

십일조
十一租
tithe
  • 헌상의 형태
  • 보통 교회를 지원하고 하나님께 감사를 드릴 목적으로 바친다.
  • 십일조의 기원
    • 십일조에 관한 성경 최초의 언급은 아브라함이 멜기세덱에게 자기의 전리품 중 10분의 1을 준 데서 발견된다
  • 구약시대에서는 소출의 20%를 넘게 바쳤다.
    • 십일조라는 말 때문에 10분의 1을 바치는 것으로 오해하는 경우가 많다.
    • 율법에 따르면 십일조를 바치기 전에 '맏물'을 제사장에게 바치고 난 후에 십일조를 바쳤다.
    • 율법에 따르면 1년에 두 번 십일조를 바쳤다. (일 년에 한 번 바치는 것이 아니다!)
    • 맏물과 두 번의 십일조를 합하면 대략 소출의 약 22%~24%를 바쳤다.
    • 율법에 따른 십일조의 종류
      • 십일조에 관한 규례는 세 종류이며 세 단계로 구분이 된다. ‘십일조’(히, 마아셰르)는 레위인들을 봉양하거나 혹은 사회적인 구제 사업을 목적으로 매년 토지 소산이나 가축의 10분의 1을 바쳐야 하는 히브리인들의 종교적 의무이다(레27:30). 유대인들은 율법에 나타난 여러 십일조 규례(신12:5-19; 레27:30-33; 민18:21-32)를 근거로 십일조 헌납을 세 단계로 구분한다.

(1) 첫째 십일조: 한 해의 추수가 끝나면 백성들은 먼저 모든 소출의 10분의 1을 구별하여 자기 성중에 거하는 레위인들에게 주어야 했다(민18:21-24). 그러면, 레위인들은 백성들로부터 받은 십일조에 다시 10분의 1을 구별하여 하느님께 거제로 바쳐야 했는데 이것은 곧 제사장의 몫이 되었다(민18:26-29). 이처럼 분배받은 기업 없이 성막에서 종교적 직무에만 전념하는 ‘레위인들과 제사장들의 생계를 보장해 주기 위하여’ 이스라엘 백성들이 바쳐야 하는 십일조의 첫 단계를 ‘첫째 십일조’라고 부른다.

(2) 둘째 십일조: 혹은 ‘축제 십일조’(Festival Tithe)라고도 하는데 이것은 첫째 십일조를 바친 백성이 그 나머지 소출(10분의 9) 가운데서 다시 10분의 1을 구별한 것을 가리킨다. 이것은 자신들이 직접 중앙 성소로 가지고 올라가는데 한 해 동안 풍성한 축복을 내려 주신 하느님께 감사 축제를 드리는 비용으로 사용되었다(신12:5-19). 이때 중앙 성소가 너무 멀면 현물(現物) 대신 일단 현금으로 바꾸어 가지고 갔다가 성소 근처에서 다시 잔치에 필요한 예물들을 구입할 수 있었다(신14:24-26절). 한편 이 감사 잔치에는 가족과 친지는 물론 수하의 종들과 성중의 레위인들까지 모두 참여하였다.

(3) 셋째 십일조: 안식년(제7년째인 이때에는 토지를 경작하지 않기 때문에 십일조를 바치지 않았다)을 기준으로 제3년과 제6년째에는 위의 ‘둘째 십일조’로 잔치를 베푸는 대신 각 처소에서 다 모아들여 성중에 거하는 레위인, 나그네, 가난한 자, 고아, 과부들을 위한 구제비로 사용하였다(신14:28-29). 그리고, 이때 백성들은 자신들이 마련한 이 ‘둘째 십일조’를 율법대로 가난한 이웃들을 위해 거짓 없이 사용했노라고 하느님 앞에 맹세하여야 했다(신26:13-15). 따라서 이 ‘셋째 십일조’는 따로 구별된 십일조가 아니라 ‘둘째 십일조’와 동일한 것인데 다만 용도에 있어서 다를 뿐이다. 즉 ‘둘째 십일조’는 안식년을 기준으로 매1년과 2년 그리고 4년과 5년째에 쓰는 ‘감사 축제용’이었고, ‘셋째 십일조’는 안식년을 기준으로 매 3년과 6년째에 쓰는 ‘이웃 구제용’이었다. 한편 신명기 14장 22-29절은 이중 둘째 십일조 (신14:22-27)와 셋째 십일조(신14:28-29절)에 관한 규례이다.

  • 중세 유럽교회의 십일조
    • 중세 유럽교회는 로마가톨릭교회와 정교회가 있는데
    • 중세 시데에 로마가톨릭교회는 모든 국민이 세금을 납부하는 식으로 국가에 납부하였다. 즉 불신자라도 납부해야 했다.
    • 중세 정교회는 따로 비율을 정하지 않고 믿음이 있는 자가 교회에 직접 십일조를 바치도록 하였다. (소위 다다익선이라고 여겼다)
  • 오늘날의 십일조
    • 신약시대에서 십일조의 납부 방식 및 비율이 교회의 결정에 따라 많이 달라졌다.
    • 교회가 정한 규정에 따라 납부한다. (통상 교회 헌법에 규정하는데 총회의 결의로 정하는 경우도 있다.)
    • 십일조는 믿음이 있는 신도만 바치게 되었다.
    • 오늘날 한국교회의 십일조의 비율은 소득의 10%가 일반적인데 그 이유는 대부분의 교회가 그렇게 결정했기 때문이다.
    • 현금, 수표, 이체 및 현물을 드리는 방식이 일반적이다.

2 참고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