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일조

58.233.110.184 (토론)님의 2024년 6월 14일 (금) 22:07 판 (→‎개요)

1 개요

십일조
十一租
tithe
  • 헌상의 형태
  • 보통 교회를 지원하고 하나님께 감사를 드릴 목적으로 바친다.
  • 십일조의 기원
    • 십일조에 관한 성경 최초의 언급은 아브라함이 멜기세덱에게 자기의 전리품 중 10분의 1을 준 데서 발견된다
  • 구약시대에서는 소출의 20%를 넘게 바쳤다.
    • 십일조라는 말 때문에 10분의 1을 바치는 것으로 오해하는 경우가 많다.
    • 율법에 따르면 십일조를 바치기 전에 '맏물'을 제사장에게 바치고 난 후에 십일조를 바쳤다.
    • 율법에 따르면 1년에 두 번 십일조를 바쳤다. (일 년에 한 번 바치는 것이 아니다!)
    • 맏물과 두 번의 십일조를 합하면 대략 소출의 약 22%~24%를 바쳤다.
  • 중세 유럽교회의 십일조
    • 중세 유럽교회는 로마가톨릭교회와 정교회가 있는데
    • 중세 시데에 로마가톨릭교회는 모든 국민이 세금을 납부하는 식으로 국가에 납부하였다. 즉 불신자라도 납부해야 했다.
    • 중세 정교회는 따로 비율을 정하지 않고 믿음이 있는 자가 교회에 직접 십일조를 바치도록 하였다. (소위 다다익선이라고 여겼다)
  • 오늘날의 십일조
    • 신약시대에서 십일조의 납부 방식 및 비율이 교회의 결정에 따라 많이 달라졌다.
    • 교회가 정한 규정에 따라 납부한다. (통상 교회 헌법에 규정하는데 총회의 결의로 정하는 경우도 있다.)
    • 십일조는 믿음이 있는 신도만 바치게 되었다.
    • 오늘날 한국교회의 십일조의 비율은 소득의 10%가 일반적인데 그 이유는 대부분의 교회가 그렇게 결정했기 때문이다.
    • 현금, 수표, 이체 및 현물을 드리는 방식이 일반적이다.

2 참고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