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이로쿠 잡지 (한국어판)

Pinkcrimson (토론 | 기여)님의 2021년 8월 10일 (화) 23:12 판

1 개요

메이로쿠 잡지 한국어판
메이로쿠 잡지 – 문명개화의 공론장
1판 1쇄 발행 2021년 8월 29일
후쿠자와 유키치 외 원저 이새봄 쓰고 옮김 발행인 정철
편집 정철 표지 디자인 김상만 출판사 빈서재
이메일 pinkcrimson@gmail.com
ISBN 979-11-971296-2-9

---페이지. 32000원.

국내도서 > 역사 > 일본사 > 일본근현대사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일본철학

2 출판사 책소개

[헤드카피]

메이지 6년과 고종 10년의 시간은 무엇이 달랐던 것인가. 문명 개화와 계몽은 어떻게 다른가. 근대와 전근대를 가르는 것은 무엇인가.

[간단 소개]

메이로쿠 잡지는 일본의 유학파 지식인들이 메이지 유신의 혼란 속에서 창간한 동북아 최초의 학술잡지이다. 학술단체 메이로쿠샤의 기관지로 1874년에 만들어진 이 잡지는 해외의 학회와 학술지를 의식해서 만든 것이며 다루는 내용도 해외의 학술 동향과 정치, 사회문제에 관한 주장을 많이 담았다. 하지만 일본은 아직 학술이 분과학문으로 나누어지기 전이어서 다양한 분야가 섞여 있었으며 제안이나 주장, 토론에 가까운 것들도 섞여있다.

후쿠자와 유키치, 나카무라 마사나오, 니시 아마네 등 동시기의 가장 유명한 지식인들이 참여했으며 출간 족족 세간의 화제가 되었다. 지식인들의 견해가 환영받은 당시 분위기를 타고 다양한 지면을 통해 재배포되어 문명 개화를 누구나 언급하게 만들었다. 문자를, 정치체계를, 헌법을 어떻게 만들어야 하는가 과학과 기술은 어떻게 쌓아야 할 것인가에 모두 관심을 가졌으며 메이로쿠샤 지식인들은 이 문제들을 다루는 최전선에 있었다.

책에 실린 논문을 읽어보면 일단 재미가 있다. 뭔가 초보적인 형태임에도 불구하고 현대의 우리가 고민하는 것과 크게 다르지 않은 고민을 그때부터 하고있었다. 현대 일본어가 확립도 되지않은 상태에서 한문훈독체라는 문제를 만들어가며 토론을 시작했다. 이들은 5년, 10년전까지만 해도 한문으로 글을 쓰는게 편했던 사람들이었다. 그런 사람들이 국회의원 선출을 어떻게 해야하는가에 대해 논의한다. 툭하면 논어 맹자를 인용하며 자신의 논지를 전개한다. 흥미롭지 않을 수가 없다.

당시 조선은 대원군 섭정이 종료되고 고종 친정이 시작되던 시기였다. 메이로쿠 잡지를 읽으며 동시기 조선의 상황을 생각해보면 그 격차에 아찔해진다. 그것만으로도 메이로쿠 잡지는 바로 지금 읽을 가치가 있다.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