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서비평학

Kipont (토론 | 기여)님의 2017년 6월 12일 (월) 21:25 판

1 개요

聖書批判學
성서비평학 또는 성경비평학
  • 성서에 대한 비평학적 접근, 즉 기독교에서 성서의 역사적 배경과 사실성, 양식과 문학적인 요소(문체 등), 저자가 사용한 자료, 자료의 편집구조, 저자가 사용한 수사학 등을 비평하는 학술적인 읽기 방법을 말함

 

2 성서비평학의 주요 학설

  • 자료비평

자료비평은 성서저술에 사용한 집필자료를 분석하는 성서해석방법이다. 모세오경의 경우 야훼문서(J문서), 엘로힘문서(E문서), 제사장문서(P문서), 신명기문서(D문서) 등 다른 근원에서 비롯하였다. 구약 성서의 원 본문인 히브리어 성경을 보면, 하나님이 '야훼'('여호와'), '엘로힘'으로 다르게 지칭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문서설은 다른 호칭을 쓴 구절은 각기 다른 자료에서 유래한 것으로 본다. 그 자료들을 창세기에 등장하는 하나님의 호칭을 발음 그대로 알파벳으로 옮겼을 때의 머리글자를 따서, J 문서(야훼문서), E 문서(엘로힘 문서), P문서(제사장 문서), D문서로 명명하였는데, 실제 성서학자 중에는 모세오경 저자들을 제사장 학파 등으로 구분하는 이들도 있다

성서 비평방법 중에서 양식 비평(Form Criticism)에서 유래한 것으로 중요한 성서비평학의 개념이다. 이 개념은 성서본문이 어떤 곳에서 유통된 것인지를 파악해야 한다는 신학적 견해를 담고 있다. 예를 들어 구약성서에서 시편은 고대 유대인의 찬송가이었는데, 양식 비평에 따르면 시편에 실린 시들은 각각 다른 삶의 정황에서 사용된 찬송가라는 것이다. 신약성서에서도 예수의 가르침은 구전되면서 기억하기 쉽게 특정한 운율과 문체를 지니게 되었다는 것이다. 따라서 각 구절의 운율과 문체, 즉 양식을 분석하면 그 구절이 어떤 상황에서 유통되었는지를 규명할 수 있다고 보는 견해가 양식비평이다.

2.1 그외 성서비평학 분야

그외 성서비평학 분야에는 성서사본을 비교함으로써 성서원문에 필사본의 내용이 얼마나 충실히 접근했는가를 비교하는 본문비평, 성서의 문학적인 특징을 비평하는 문학비평, 성서저자가 사용한 문서나 구전형태의 집필자료들을 비평하는 자료비평, 성서에 나오는 이야기들이 성서에 수록되기 전까지 문서와 구전(口傳)자료로 전승되어온 경로를 비평하는 전승사 비평, 성서의 문학양식을 분석하는 양식비평, 교회를 통해 전승된 구전과 문서자료를 성서저자가 어떻게 자신의 신학에 따라 편집했는가를 비평하는 편집비평, 성서역사배경과 역사적 사실성을 비평하는 역사비평[1], 성서의 사회적 배경을 분석하는 사회학적 비평이 있다. 한가지 예를 들어서 설명하면 마태복음서에 그리스도가 베드로에게 네 위에 교회를 세우겠다고 약속하신 내용이 나오는데, 그리스도의 활동기간에는 교회가 없었으므로[2] 마태가 교회라는 단어를 추가했다고 보는 해석이 성서비평학 또는 성서에 대한 비평학적 접근의 한 예이다.[3]

3 성서비평학에 대한 비판

  • 자료비평에 대한 비판

자료비평학에 근거해 성경을 볼 경우, 성서 본문 자체의 맥락이 해체되어 버린다는 비판이 있다. 자료비평에 근거한 연구들은, 창세기를 비롯한 성서 본문은 최소한 4개 자료가 사용된 것으로 본다. 그러나 일부 특정 구절은 학자에 따라 어떤 자료에 해당하는지에 대한 견해가 다르다. 더욱이 성서의 내적인 맥락은 무시되고 어떤 구절의 출처만을 문제 삼게 됨으로써 성서의 메시지를 산산조각 내 버렸다는 지적이 있다. 성서에 대한 문학적 비평을 시도하는 문학비평학자 중 일부는, 자료비평에 따른 특정 구절의 출처보다 성서 내의 문학적 맥락을 파악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주장한다.

4 한국의 성서비평학 역사

성서비평학은 근대 서구 신학계에서 등장했으며, 일본과 미국에서 유학했던 신학자들에게서 단편적으로 소개되었다. 한국교회에서는 1934년 발행된 아빙돈 단권 주석성경으로 널리 알려졌다. 당시 성서신학계에 널리 인정받았던 주석서를 감리교 교육국 총무였던 유형기 전체 편집을 책임지고 양주삼, 정경옥, 김창준, 전영택, 변홍규 등이 주축을 이루어 번역을 시작하였다. 이어 당시 장로교에서는 송창근, 김재준, 채필근, 한경직 목사도 이에 찬동하여 번역에 동참하여 번역본이 나왔다. 하지만 성서비평학 수용문제로 장로교회에서는 논란이 벌어졌고, 결국 1957년 한국 기독교 장로회대한예수교장로회로 분열되었다. 물론 지금은 기독교 근본주의적인 신학교가 아닌이상에야 신학교에서 가르칠 정도로 성서비평학이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다.[4] 대한성서공회에서도 한글 성서번역 시 필사자들이 독자들의 이해를 돕는다든지 하는 목적으로 사본에 추가한 즉, 원본에 없는 문장을 빼고, 그 자리에 '절없음'표시와 '어떤 사본에는 이러한 내용이 있다.'라는 각주를 적거나, 괄호 처리함으로써 본문비평학자들의 연구성과를 존중하고 있다.[5] 복음주의 신학계에서도 일부의 학자들은 성서비평학을 성서를 올바르게 해석함으로써 하느님의 뜻을 찾아가게 하는 건전한 성서읽기라고 이해한다.[6][7] 보수적 복음주의 또는 기독교 근본주의의 입장은 성서무류설과 축자영감설에 근거하여, 성서비평학에 반대입장을 취하고 있다.

5 같이 보기

6 참고 자료

  1. 《깨어지는 한국교회》(원제:깨어지는 한국개신교회)/이상성 지음/인물과 사상
  2. 전통적으로 교회에서는 교회를 성령강림으로 태어난 것으로 해석하고, 이를 성령강림주일로 기념한다.
  3. 본문의 성서비평방법론에 대한 설명은 장로교(예장통합) 신학자 이상성 박사의 설명에 뿌리를 두었다. 《추락하는 한국교회》(원제:추락하는 한국 개신교회)/이상성 지음/인물과 사상
  4. [역사를 바꾼 크리스천] 장공 김재준 목사… 교회개혁 비전 제시한 선각자, 2002년 12월 30일자, 국민일보.
  5. 《기독교사상》2006년 4월호_쉽게 풀어쓴 신약성서 사본이야기-왜 절(節)이 빠져 있는가?, 민경식, 대한기독교서회
  6. 복음주의 신학자 김세윤 풀러 신학교 교수의 설명
  7. 성결교회 성직자인 오경준 목사도《우리가 아는 것들 성경에는 없다》(오경준 지음,홍성사)에서 학문적으로 해석될 수 있다고 본다. 지금은 미국교회 청빙으로 문이 닫혔지만 저자는 성서학 토론을 위한 누리집에서 성서비평은 알레고리 해석등의 주관적 성서해석이 만연한 한국교회의 문제를 교정할 것으로 이해한다.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