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ubectl apply"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개요== {{소문자}} ;kubectl apply * 파일명이나 표준입력으로 리소스에 설정을 적용한다. *리소스 이름을 지정해야 한다. * 리소스가 아직 존...)
 
 
44번째 줄: 44번째 줄:
==같이 보기==
==같이 보기==
* [[kubectl create]]
* [[kubectl create]]
* [[kubectl delete]]
* [[kubectl apply --help]]
* [[kubectl apply 표준입력]]


==참고==
==참고==

2023년 12월 1일 (금) 13:37 기준 최신판

1 개요[ | ]

kubectl apply
  • 파일명이나 표준입력으로 리소스에 설정을 적용한다.
  • 리소스 이름을 지정해야 한다.
  • 리소스가 아직 존재하지 않으면 생성된다.
  • JSON 및 YAML 형식이 허용된다.
# cat cm1.yaml
apiVersion: v1
kind: ConfigMap
metadata:
  name: cm1
  labels:
    lll: mmm
  annotations:
    aaa: bbb
data:
  key: value
EOF
# kubectl apply -f cm1.yaml
configmap/cm1 created

pod.json의 설정을 pod에 적용

kubectl apply -f ./pod.json

kustomization.yaml을 포함한 디렉토리(예: dir/kustomization.yaml)를 리소스에 적용

kubectl apply -k dir/

표준입력으로 전달된 JSON을 pod에 적용

cat pod.json | kubectl apply -f -

2 같이 보기[ | ]

3 참고[ | ]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