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분해"의 두 판 사이의 차이

13번째 줄: 13번째 줄:
==연료전지==
==연료전지==
전기분해(電氣分解)는 수용액이나 용융(鎔融) 상태의 화합물에 전극을 넣고 전류를 통하여, 양이온ㆍ음이온을 각각 양극ㆍ음극 위에서 방전시켜 각 전극에서 성분을 추출하는 일을 가리킨다.<ref>우리말샘</ref>
전기분해(電氣分解)는 수용액이나 용융(鎔融) 상태의 화합물에 전극을 넣고 전류를 통하여, 양이온ㆍ음이온을 각각 양극ㆍ음극 위에서 방전시켜 각 전극에서 성분을 추출하는 일을 가리킨다.<ref>우리말샘</ref>
이러한 맥락(context)에서  물전기분해(물電氣分解)는 전기로 물을 수소와 산소로 분리하는 조작으로 물을 전기 분해 하면 음극에서는 수소가 발생하고 양극에서는 산소가 발생한다. 한편 이러한 전자의 이동은 수반하는 전기분해는 연료전지의 원형을 보여줄수있다는 점에서  [[볼타전지]](Volta電池)의 전압을 얻는 원리를 이해해볼수 있다.
이러한 맥락(context)에서  물전기분해(물電氣分解)는 전기로 물을 수소와 산소로 분리하는 조작으로 물을 전기 분해 하면 음극에서는 수소가 발생하고 양극에서는 산소가 발생한다. 한편 이러한 전자의 이동은 수반하는 전기분해는 [[연료전지]]의 원형을 보여줄수있다는 점에서  [[볼타전지]](Volta電池)의 전압을 얻는 원리를 이해해볼수 있다.
{|
{|
|-
|-

2021년 12월 8일 (수) 20:55 판

1 개요

electrolysis
電氣 分解
전기 분해
  • 시료에 전압을 걸어 화학 반응이 일어나도록 하는 것
  • 물질에 전기 에너지를 가하여 산화, 환원반응이 일어나도록 하는 것
  • 산화·환원 반응을 이용해서 전기 에너지를 화학 에너지로 바꿔서 물질을 분해하는 반응
  • 전해질 수용액 또는 용융염 등의 이온 전도체에 전류를 통과시켜서 화학 반응을 일으키는 일
  • 수용액이나 용융(鎔融) 상태의 화합물에 전극을 넣고 전류를 통하여, 양이온ㆍ음이온을 각각 양극ㆍ음극 위에서 방전시켜 각 전극에서 성분을 추출하는 일

Electrolysis Apparatus.png

2 연료전지

전기분해(電氣分解)는 수용액이나 용융(鎔融) 상태의 화합물에 전극을 넣고 전류를 통하여, 양이온ㆍ음이온을 각각 양극ㆍ음극 위에서 방전시켜 각 전극에서 성분을 추출하는 일을 가리킨다.[1] 이러한 맥락(context)에서 물전기분해(물電氣分解)는 전기로 물을 수소와 산소로 분리하는 조작으로 물을 전기 분해 하면 음극에서는 수소가 발생하고 양극에서는 산소가 발생한다. 한편 이러한 전자의 이동은 수반하는 전기분해는 연료전지의 원형을 보여줄수있다는 점에서 볼타전지(Volta電池)의 전압을 얻는 원리를 이해해볼수 있다.

Seawater power001.svg
(예시) 소금물을 전해질로하는 촉매 흑연(탄소막대)와 알루미늄판의 연료전지 구현

3 같이 보기

4 참고

  1. 우리말샘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