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분 문항반응이론 모형"의 두 판 사이의 차이

 
5번째 줄: 5번째 줄:


;polytomous item response theory model, polytomous IRT model
;polytomous item response theory model, polytomous IRT model
;다분 문항반응이론 모형, 다분 IRT 모형
;다분 문항반응이론 모형, 다분 IRT 모형, 다분 문항반응 모형
* 부분점수가 있는 문항에 대한 IRT 모형
* 부분점수가 있는 문항에 대한 IRT 모형
* 문항반응이 3가지 이상인 경우(예: [[리커트 척도]])에 적용하는 IRT 모형
* 문항반응이 3가지 이상인 경우(예: [[리커트 척도]])에 적용하는 IRT 모형

2021년 10월 8일 (금) 16:01 기준 최신판

1 개요[ | ]

polytomous item response theory, polytomous IRT
다분 문항반응이론, 다분 IRT
  • 다양한 반응지에 대한 문항의 특성과 피험자의 특성을 산출하는 것을 가능하도록 만든 문항반응이론
polytomous item response theory model, polytomous IRT model
다분 문항반응이론 모형, 다분 IRT 모형, 다분 문항반응 모형
  • 부분점수가 있는 문항에 대한 IRT 모형
  • 문항반응이 3가지 이상인 경우(예: 리커트 척도)에 적용하는 IRT 모형

2 모형[ | ]

3 같이 보기[ | ]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