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전연명의료의향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3번째 줄: 3번째 줄:


*19세 이상의 사람이 자신의 [[연명의료]]나 [[호스피스]]에 대한 의사를 직접 문서로 작성하는 것. 즉, 건강할 때 미리미리 자신의 죽음을 생각해 보고 향후 자신이 의학적으로 임종이 예측되는 상황일 때, 의학적으로 무의미한 생명만을 연장하는 시술을 하지 않거나 중단하는 것, 또는 호스피스 이용 등을 어떻게 할 것인지에 대한 뜻을 미리 밝혀 둘 수 있는 문서<ref>https://www.lst.go.kr/medi/video.do 국립연명의료관리기관</ref>
*19세 이상의 사람이 자신의 [[연명의료]]나 [[호스피스]]에 대한 의사를 직접 문서로 작성하는 것. 즉, 건강할 때 미리미리 자신의 죽음을 생각해 보고 향후 자신이 의학적으로 임종이 예측되는 상황일 때, 의학적으로 무의미한 생명만을 연장하는 시술을 하지 않거나 중단하는 것, 또는 호스피스 이용 등을 어떻게 할 것인지에 대한 뜻을 미리 밝혀 둘 수 있는 문서<ref>https://www.lst.go.kr/medi/video.do 국립연명의료관리기관</ref>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을 위해서는 작성자 본인 확인을 위해 신분증을 지참하고 보건복지부가 지정한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등록기관을 방문해야 한다.<ref name='ncc'>http://www.ncc.re.kr/main.ncc?uri=ncc_mclp 국립암센터</ref>
*작성한 사전연명의료의향서는 연명의료정보처리시스템에 등록되어야 법적 효력을 가지며 작성 15일 후 연명의료정보포털(www.LST.go.kr)을 통해 본인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를 조회할 수 있다.<ref name='ncc'/>
*등록 후 작성자가 원하면 언제든 보건복지부 지정을 받은 등록기관을 방문하여 그 의사를 변경하거나 철회 할 수 있다.<ref name='ncc'/>


==같이 보기==
==같이 보기==

2019년 6월 15일 (토) 01:55 기준 최신판

1 개요[ | ]

사전연명의료의향서
  • 19세 이상의 사람이 자신의 연명의료호스피스에 대한 의사를 직접 문서로 작성하는 것. 즉, 건강할 때 미리미리 자신의 죽음을 생각해 보고 향후 자신이 의학적으로 임종이 예측되는 상황일 때, 의학적으로 무의미한 생명만을 연장하는 시술을 하지 않거나 중단하는 것, 또는 호스피스 이용 등을 어떻게 할 것인지에 대한 뜻을 미리 밝혀 둘 수 있는 문서[1]
  •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을 위해서는 작성자 본인 확인을 위해 신분증을 지참하고 보건복지부가 지정한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등록기관을 방문해야 한다.[2]
  • 작성한 사전연명의료의향서는 연명의료정보처리시스템에 등록되어야 법적 효력을 가지며 작성 15일 후 연명의료정보포털(www.LST.go.kr)을 통해 본인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를 조회할 수 있다.[2]
  • 등록 후 작성자가 원하면 언제든 보건복지부 지정을 받은 등록기관을 방문하여 그 의사를 변경하거나 철회 할 수 있다.[2]

2 같이 보기[ | ]

3 참고[ | ]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