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찰점수, 진점수, 오차점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10번째 줄: 10번째 줄:
*오차가 포함된 점수
*오차가 포함된 점수
*진점수(오차 없는 점수)와 반대 개념
*진점수(오차 없는 점수)와 반대 개념
:X=T+E
:<math>X=T+E</math>


==진점수==
==진점수==

2012년 9월 12일 (수) 00:44 판

observed score; X
관찰점수
true scroe; T
진점수

1 관찰점수

  • 진점수+오차
  • 측정하여 얻은 점수
  • 오차가 포함된 점수
  • 진점수(오차 없는 점수)와 반대 개념
[math]\displaystyle{ X=T+E }[/math]

2 진점수

  • 관찰점수-오차
  • 오차 없는 점수
  • 측정에 오차가 전혀 없을 때를 상정한 이상적인 점수
  • 반복 측정하여 얻은 관찰점수들의 기대값(평균)을 진점수라고 추정함
[math]\displaystyle{ T=E(X) }[/math]

3 같이 보기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