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이지 유신"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1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8번째 줄: 8번째 줄: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7/7b/MeijiJoukyou.jpg/330px-MeijiJoukyou.jpg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7/7b/MeijiJoukyou.jpg/330px-MeijiJoukyou.jpg
== 흐름 ==
; 에도후기 문화
* [[오규 소라이]](1666년생) : 정담, ''논어징'' {+ 유학의 영향} <ref><br>* 임옥균 · 임태홍 역(譯) 《논어징》(전3권), 2010년, 소명출판<br>* 마루야마 마사오 저, 김석근 역 《일본정치사상사연구》1995년, 통나무<br>* 미나모토 료엔 《도쿠가와 시대의 철학 사상》 2000년, 예문서원</ref>
* [[이시다 바이간]](1685년생) : 도비문답 {+ 상업시스템의 발전}
; 난학
* [[스기타 겐파쿠]](1733년생) : ''난학사시'' {+ 난학열기} <ref> 일본 난학의 개척자 스기타 겐파쿠 | 이종각 저 | 서해문집 | 2013년 10월</ref>
* [[타카노 초에이]](06년생)
; 일본 국학 & 존황양이
* [[모토오리 노리나가]](1730년생) : 고사기전
* [[아이자와 야스시]](1782년생) : ''신론''
** ''국체의 본의'' (1937)
; 막부의 근대화
** 외부세력의 등장<ref>메이지 유신의 무대 뒤 | 이시이 다카시 저 / 김영작 역 | 일조각 | 2008년 06월 09일</ref> : 러시아의 등장(1792년 이후), [[난학]]과 함께 얻어진 서구 정보, [[기독교]]에 대한 히스테리, [[흑선]]
* [[요코이 쇼난]](09년생)<ref>양학겸학의 실학(사쿠마 쇼잔), 유교 개혁의 실학(요코이 쇼난), 정치 변혁의 실학(요시다 쇼인)의 등장, </ref> : 国是三論, 『沼山対話』『沼山閑話 {+ 삿초의 양이론 / 대정위임론 (마쓰다이라 사다노부)}
* [[카츠 카이슈]](23년생) : 氷川清話 {+ 막부의 근대화 시도}<ref>* 일본 근세의 쇄국과 개국 | 야마구치 게이지 저/ 김현영 역 | 혜안 | 2001년 11월 <br>* 일본 근세의 ‘쇄국’이라는 외교 : 일본의 ‘쇄국’은 ‘쇄국’이 아니었다 | 로널드 토비 저/허은주 역 | 창해(새우와 고래) | 2013년 02월</ref>
* [[니시 아마네]](29년생) : 百一新論 {+ 학계의 번역}
** 반쇼시라베쇼(蕃書調所, 56년)
** 지사들 (사이고 28년생, 오쿠보 30년생, 키도 33년생, 료마 36년생)
* [[후쿠자와 유키치]](35년생)  訓蒙窮理図解
** [[나카에 초민]] (47년생) 삼취인경륜문답, 일년유반<ref>삼취인경륜문답 | 나카에 초민 저 | 소명출판 | 2005년 05월 10일</ref>
** [[가토 히로유키]](36년생) 입헌정체략
* [[이와사키 야타로]](35년생) / [[시부사와 에이이치]](40년생) 「岩崎弥太郎」を語る <ref>일본의 경제사 https://m.blog.naver.com/blog_6139/220700349405 </ref>
* 과학기술 : [[카와모토 코민]](10년생)<ref>일본 화학의 개척자들 | 시바 데쓰오 저 / 허태성 역 | 전파과학사 | 2012년 08월</ref> / [[다케다 아야사부로]](27년생)<ref>에노모토 다케아키와 메이지 유신 | 손일 저 | 푸른길 | 2017년 09월 02일 </ref> / [[토마스 글로버]](38년생) / [[이노우에 마사루]](43년생) / [[야마카와 켄지로]](54년생)... :
** [[기타사토 시바사부로]] [[다카미네 조키치]] <ref>천재와 괴짜들의 일본 과학사</ref>
** 미구회람실기 : 이와쿠라(25년생) 사절단 이전과 이후의 차이? <ref><br>* 다나카 아키라 저 / 현명철 역, 2006년, 메이지 유신과 서양 문명 이와쿠라 사절단은 무엇을 보았는가<br>* 구메 구니타케 저 / 정애영 역, 2011년, 특명전권대사미구회람실기 </ref>
* [[이토 히로부미]](41년생) : 이등박문직설(伊藤博文直話), 헌법의해(憲法義解) {+ 메이지 신정부의 특성}
<ref>
* 변혁기의 일본과 조선 일본이 근세에서 근대로 전환하는 에도시대의 조선 | 김광옥 저 | 인문사(교재) | 2011년 11월 30일
* 세계사의 흐름으로 본 명치유신 | 나가이 미치오 등저 | 교문사(유제동) | 1994년 11월
* 다시보는 동아시아 근대사 | 강진아 역 | 까치(까치글방) | 2011년 04월 20일 | 원제 : 大人のための近現代史 19世紀編
* 근대 일본 형성기의 국가와 민중 근대 천황상의 형성과 민중 | 박진우 저 | 제이앤씨(J&C) | 2004년 02월 25일
* 근대화와 동서양  | 이혜령, 염운옥, 노서경, 박용희, 김봉중, 조준배, 조행복, 천성림, 원지연 |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 주자학과 근세일본사회 | 박홍규 역 | 예문서원 | 2007년 02월 28일
*  장소의 국제정치사상 | 장인성 저 | 서울대학교출판부 | 2002년 08월
* 천황제 근대국가의 탄생 일본 | 함동주 저 | 창비 | 2009년 02월 27일
* 조선을 탐한 사무라이 | 이광훈 저 | 포북(forbook) | 2016년 09월 09일
* 요시다 쇼인 시대를 반역하다 | 김세진 저 | 호밀밭 | 2018년 08월
</ref>
== 의문 ==
* 존왕양이의 미토학은 어떻게 전국에 퍼져나가게 되었는가
* 사쓰마 초슈 토사 외의 다른 번들은 존왕양이운동 시기에 어떤 행동을 했는가
* 에도 말기의 우편 / 어음 시스템은 어떻게 작동했는가
* 지배층의 난학 / 유럽 물자에 대한 관심 수준은 어느정도였는가
** 유신의 지도자들이 실제로 공부한 것들은 무엇인가
* 사쓰마와 초슈의 경제력은 정말 서양과의 무역에서 나온 것인가
* 대정봉환론의 역사는 어떻게 되는가
* 개혁세력이 왕정복고를 내세운 사례가 세계사에 또 있는가
* 신정부 구성과정에서의 번벌 형성과정은 어땠는가, 천황의 정치 개입도 수준은?
** 헌법 수립때까지 공백이 20년 이상 있었는데 그동안은 무엇을 근거로 통치했는가
* 일본이 제국주의화 과정에는 군부의 폭주를 종종 얘기하는데 예측되지 않은 군사적 승리에 대해 관료나 민권운동 세력의 반응은 어땠는가
== 메이지를 읽는 10권 ==
* 도비문답 : 이사다 바이간 (상업문화)
* 유메 모노가타리 : 다카노 초에이 (개국)
* 신기론 : 와타나베 가잔 (개국)
* 요시다 쇼인 (양이)
* 성건록 : 사쿠마 쇼잔 (국방, 개국)
* 쇼잔 대화 · 쇼잔 한화 : 요코이 쇼난 (개국)
* 창평횡 / 번서조소 / 메이로쿠샤 관련. 번역이라거나. 자유민권이라거나.
* 히카와 청화 : 가쓰 가이슈 (막말 정치)
* 훈몽궁리도해 : 후쿠자와 유키치 (과학)
* 상업문화에 관한 것 하나
* 헌법의해 : 이토 히로부미 (신정부 정치)
* 키타자토 시바사부로 독본 (과학)
; [[메이지 유신/한국어서적]]


==같이 보기==
==같이 보기==
* [[대정봉환]]  - 1867년
* [[대정봉환]]  - 1867년
* [[메이지시기의 정치이념]]
* [[메이지시기의 정치이념]]
* [[동아시아 개념연구 기초문헌해제]]
* [[메이지 유신/사상사]]
* [[절대지식 일본고전]]


==참고==
==참고==

2022년 11월 27일 (일) 23:29 기준 최신판

1 개요[ | ]

Meiji Restoration
明治維新(めいじいしん)
메이지 유신, 명치유신
  • 에도 시대의 지배시스템이었던 막번 체제를 해체하고 천황에게 권력을 돌려준다는 것을 핵심으로 한 광범위한 개혁과정
  • 흑선 출현 이후 일본이 거쳐온 여러 근대화과정 중에서 정치 관련 부분을 지칭
  • 1866년 삿초 동맹 결성으로 시작됨

 

2 같이 보기[ | ]

3 참고[ | ]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