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쿠자와 유키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6번째 줄: 6번째 줄:
== 저서 ==
== 저서 ==
; 한국어로 번역된 것 위주로 정리
; 한국어로 번역된 것 위주로 정리
* 《[[메이로쿠 잡지]]》 (1864~65)
* 《서양사정》([http://project.lib.keio.ac.jp/dg_kul/fukuzawa_title.php?id=3 西洋事情]) ([[1866년]], [[1867년]], [[1870년]])
* 《서양사정》([http://project.lib.keio.ac.jp/dg_kul/fukuzawa_title.php?id=3 西洋事情]) ([[1866년]], [[1867년]], [[1870년]])
* 《학문의 권유》([http://project.lib.keio.ac.jp/dg_kul/fukuzawa_title.php?id=42 學問のすすめ]) ([[1872년]] ~ [[1876년]])
* 《학문의 권유》([http://project.lib.keio.ac.jp/dg_kul/fukuzawa_title.php?id=42 學問のすすめ]) ([[1872년]] ~ [[1876년]])
14번째 줄: 15번째 줄:
** 문명론의 개략
** 문명론의 개략
** 문명론 개략
** 문명론 개략
* 《후쿠자와 유키치의 젠더론》 : 남녀 성역할에 대한 글만 모은 단행본
** 일본부인론(1885)  『日本婦人論』 / 여대학평론(1899) 『女大学評論』 / 신여대학 『新女大学』 / 사인처세론(1885) 『士人処世論』 / 품행론(1885) 『品行論』 / 일본남자론(1888) 『日本男子論』 / 남녀교제론(1888) 『男女交際論』 / 남녀교제여론
** 메이로쿠 잡지에 후쿠자와의 남녀동수론과 학자직분론이 있는데 이 두 글은 여대학평론과 사인처세론을 압축해둔 글로 보아도 좋음
* 《후쿠자와 유키치 자서전》([http://project.lib.keio.ac.jp/dg_kul/fukuzawa_title.php?id=116 福翁自傳]) ([[1899년]])
* 《후쿠자와 유키치 자서전》([http://project.lib.keio.ac.jp/dg_kul/fukuzawa_title.php?id=116 福翁自傳]) ([[1899년]])
** 《후쿠자와 유키치 자서전》 허호 옮김, 이산 펴냄, [[2006년]] [[3월 17일]] {{ISBN|89-87608-53-0}}
** 《후쿠자와 유키치 자서전》 허호 옮김, 이산 펴냄, [[2006년]] [[3월 17일]] {{ISBN|89-87608-53-0}}
* 《후쿠자와 유키치의 젠더론》 : 남녀 성역할에 대한 글만 모은 단행본
** 일본부인론 『日本婦人論』 / 여대학평론 『女大学評論』 / 신여대학 『新女大学』 / 사인처세론 『士人処世論』 / 품행론 『品行論』 / 일본남자론 『日本男子論』 / 남녀교제론 『男女交際論』 / 남녀교제여론


; 연구서
; 연구서

2022년 10월 8일 (토) 00:11 판

후쿠자와 유키치
福澤諭吉
  • 후쿠자와 유키치(1834\~{}1901)는 일본의 근대 사상가이자 교육가로 나카쓰번(中津藩) 하급 무사 집안에서 태어났다. 오가타 고안(緖方洪庵)에게 난학을 배웠으며 에도에 양학숙(洋學塾)을 열었다. 막부의 사절을 따라 세 차례 서양을 다녀왔다. 메이지유신 후에는 정부에 출사하지 않고 민간에서 활약하여, 1868년에는 사숙을 게이오대학의 전신인 게의오 의숙(慶應義塾)으로 개칭하였다. 탈아입구·관민조화를 주창하였으며 『학문의 권장(學問のすすめ)』, 『문명론의 개략(文明論之槪略)』, 『서양사정(西洋事情)』, 『탈아론<<脫亞論』 등 다양한 저술을 남겼다.

1 저서

한국어로 번역된 것 위주로 정리
  • 메이로쿠 잡지》 (1864~65)
  • 《서양사정》(西洋事情) (1866년, 1867년, 1870년)
  • 《학문의 권유》(學問のすすめ) (1872년 ~ 1876년)
  • 문명론의 개략》(文明論之概略) (1875년)
    • 후쿠자와 유키치의 문명론
    • 문명론의 개략
    • 문명론 개략
  • 《후쿠자와 유키치의 젠더론》 : 남녀 성역할에 대한 글만 모은 단행본
    • 일본부인론(1885) 『日本婦人論』 / 여대학평론(1899) 『女大学評論』 / 신여대학 『新女大学』 / 사인처세론(1885) 『士人処世論』 / 품행론(1885) 『品行論』 / 일본남자론(1888) 『日本男子論』 / 남녀교제론(1888) 『男女交際論』 / 남녀교제여론
    • 메이로쿠 잡지에 후쿠자와의 남녀동수론과 학자직분론이 있는데 이 두 글은 여대학평론과 사인처세론을 압축해둔 글로 보아도 좋음
  • 《후쿠자와 유키치 자서전》(福翁自傳) (1899년)
연구서
  • 문명론의 개략을 읽는다 | 마루야마 마사오, 후쿠자와 유키치 (지은이), 김석근 (옮긴이) | 문학동네 | 2007년 4월
  • 후쿠자와 유키치의 '문명론의 개략'을 정밀하게 읽는다 | 고야스 노부쿠니 (지은이), 김석근 (옮긴이) | 역사비평사 | 2007년 10월
  • 후쿠자와 유키치의 아시아 침략사상을 묻는다 | 야스카와 주노스케 (지은이), 이향철 (옮긴이) | 역사비평사 | 2011년 4월
  • 마루야마 마사오가 만들어낸 후쿠자와 유키치라는 신화 | 야스카와 주노스케 (지은이), 이향철 (옮긴이) | 역사비평사 | 2015년 7월
  • 후쿠자와 유키치 | 가와무라 신지 (지은이), 이혁재 (옮긴이) | 다락원 | 2002년 6월
  • 후쿠자와 유키치 다시 보기 | 마츠다 고이치로 (지은이), 윤채영 (옮긴이) | 아포리아 | 2017년 1월
  • 후쿠자와 유키치의 조선정략론 연구 - <時事新報> 조선관련 평론(1882~1900)을 중심으로 | 다카시로 코이치 (지은이) | 도서출판선인(선인문화사) | 2013년 4월
  • 후쿠자와 유키치 - 새로운 문명의 논리 ㅣ 임종원 (지은이) | 한길사 | 2011년 3월

2 같이 보기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