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영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개요== 수영구는 1995년 3월 1일 신설된 부산광역시 남부에 있는 구이다. ==같이 보기== * 부산광역시 분류:부산광역시 분류: 1995...)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개요==
==개요==
수영구는 1995년 3월 1일 신설된 부산광역시 남부에 있는 구이다.
수영구는 1995년 3월 1일 신설된 부산광역시 남부에 있는 구이다.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다른 뜻|수영구 (선거구)||선거구}}
{{대한민국 시군구
|이름          = 수영구
|대표이미지    = Suyoung District in Busan.png
|기              = Flag of Suyeong, Busan.svg
|지도          = Busan Suyeong-gu.svg
|면적          = 10.20
|총인구        = 175,095
|총인구_조사연도= 2021<ref name="pop2">{{웹 인용 |제목=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url=https://jumin.mois.go.kr/index.jsp |웹사이트=행정안전부}}</ref>
|세대          = 85,896
|세대_조사연도  = 2021<ref name="pop1">{{웹 인용 |제목=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url=https://jumin.mois.go.kr/index.jsp |웹사이트=행정안전부}}</ref>
|법정동        = 5
|행정동        = 10
|구청장        = [[강성태 (1960년)|강성태]]([[국민의힘]])
|국회의원        = [[전봉민]]([[무소속]])
|구청소재지    = [[부산광역시]] 수영구 남천동로 100
|홈페이지      = [http://www.suyeong.go.kr/ 수영구청]
|구목          = 곰솔나무
|구화          = [[함박꽃]]
|구조          = [[동박새]]
|상징동물      =
}}
[[파일:Gwangan Brücke Busan2.jpg|310px|섬네일|오른쪽|광안리의 한 아파트에서 바라본 야경]]
[[파일:Gwangan Beach in 2019.jpg|310px|섬네일|오른쪽|광안리해수욕장 주변에서 바라본 도심지의 모습. 좌측에 있는 [[삼익비치타운]]을 필두로, 아파트 단지들이 빼곡차게 들어서 있다.]]
[[1995년]] [[3월 1일]] [[부산 남구]]에서 분리되어 수영구가 신설되었다. 지명은 [[조선시대]] [[삼도수군통제사#경상좌수영|경상좌수영]]이 있었기 때문에 수영(水營)이란 이름이 붙었다. [[광안리 해수욕장]]과 [[금련산]] 등의 관광지가 있다.
== 역사 ==
{{참고|부산 남구|설명=1995년 이전의 역사는}}
{{대동여지도|x=6.72|y=18.63|zoom=13|설명=[[동래읍성]] · [[경상좌수영성지|좌수영]] · [[해운대|해운포]] (《[[대동여지도]]》 19첩 1면)}}
수영이라는 명칭은 현재의 [[수영동]]에 [[조선시대]] [[임진왜란]] 당시 동해쪽의 해상방어를 담당하였던 지금의 해군 지역본부에 해당하는 《[[경상좌도 수군절도사영]]》이 있었던 곳으로 ‘수군’에서 “수(水)”자와 ‘절도사영’에서 “영(營)”자를 따와서 ‘수영(水營)’이라는 지명이 생겨났다.<ref name=hist>[http://www.suyeong.go.kr/suyeong/template.asp?midx=991 지역특성], 2013년 5월 30일 확인</ref>
* [[1914년]] [[3월 1일]] : [[동래군]]에 속하게 됨
* [[1936년]] [[4월 1일]] : 부산부 행정구역확장 부산진출장소
* [[1942년]] [[10월 1일]] : 부산부 행정구역확장 부산진출장소
* [[1949년]] [[8월 15일]] : 부제폐지, [[부산시]]로 개칭
* [[1953년]] [[9월 10일]] : 부산시 대연출장소 설치
* [[1957년]] [[1월 1일]] : 구제실시 부산진구 대연출장소(6개동)와 동래구 수영출장소(3개동)개편
* [[1963년]] [[1월 1일]] : [[부산직할시]] 승격 (6구 7출장소)
* [[1975년]] [[10월 1일]] : [[부산 남구]]로 승격
* [[1995년]] [[1월 1일]] : [[부산광역시]]로 명칭변경 (15구 1군)
* [[1995년]] [[3월 1일]] : [[남구 (부산광역시)|남구]]의 일부를 관할로 수영구를 설치하였다.<ref>법률 제4802호<br>
'''남구''' → '''수영구''' : 남천동, 수영동, 망미동, 광안동, 민락동</ref>


==같이 보기==
==같이 보기==
7번째 줄: 50번째 줄:




[[분류:부산광역시]]
 
[[분류: 1995년 신설]]
[[분류:부산]]

2022년 7월 20일 (수) 12:10 기준 최신판

1 개요[ | ]

수영구는 1995년 3월 1일 신설된 부산광역시 남부에 있는 구이다.

  다른 뜻에 대해서는 수영구 (선거구)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수영구
Flag of Suyeong, Busan.svg
Suyoung District in Busan.png
수영구의 위치
수영구의 위치
현황
국가 대한민국
면적 10.20 km2
세대 85,896 가구 (2021[1])
총인구 175,095 명 (2021[2])
인구밀도 17,166 명/km2
행정동 10개
법정동 5개
구청장 강성태(국민의힘)
국회의원 전봉민(무소속)
구청
소재지 부산광역시 수영구 남천동로 100
웹사이트 수영구청
상징
구목 곰솔나무
구화 함박꽃
구조 동박새
광안리의 한 아파트에서 바라본 야경
광안리해수욕장 주변에서 바라본 도심지의 모습. 좌측에 있는 삼익비치타운을 필두로, 아파트 단지들이 빼곡차게 들어서 있다.

1995년 3월 1일 부산 남구에서 분리되어 수영구가 신설되었다. 지명은 조선시대 경상좌수영이 있었기 때문에 수영(水營)이란 이름이 붙었다. 광안리 해수욕장금련산 등의 관광지가 있다.

2 역사[ | ]

틀:대동여지도 수영이라는 명칭은 현재의 수영동조선시대 임진왜란 당시 동해쪽의 해상방어를 담당하였던 지금의 해군 지역본부에 해당하는 《경상좌도 수군절도사영》이 있었던 곳으로 ‘수군’에서 “수(水)”자와 ‘절도사영’에서 “영(營)”자를 따와서 ‘수영(水營)’이라는 지명이 생겨났다.[3]

3 같이 보기[ | ]

  1.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행정안전부》. 
  2.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행정안전부》. 
  3. 지역특성, 2013년 5월 30일 확인
  4. 법률 제4802호
    남구수영구 : 남천동, 수영동, 망미동, 광안동, 민락동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