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퍼플렉서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개요==
==개요==
;perplexity
;perplexity
;곤혹도, 혼잡도, 퍼플렉서티<ref>[pərpléksəti]</ref>
;곤혹도, 혼잡도, 퍼플렉시티, 퍼플렉서티 [pərpléksəti]
* 정보이론에서 확률모델이 샘플들을 얼마나 잘 예측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
* 정보이론에서 확률모델이 샘플들을 얼마나 잘 예측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
* (머신러닝) [[모델 (머신러닝)|모델]]의 작업 수행 능력을 나타내는 척도
* (머신러닝) [[모델 (머신러닝)|모델]]의 작업 수행 능력을 나타내는 척도
18번째 줄: 18번째 줄:
* {{네이버백과}}
* {{네이버백과}}


[[분류: 정보이론]]
[[분류:정보 이론]]
[[분류: 언어 모델링]]
[[분류:언어 모델링]]

2021년 5월 30일 (일) 00:00 기준 최신판

1 개요[ | ]

perplexity
곤혹도, 혼잡도, 퍼플렉시티, 퍼플렉서티 [pərpléksəti]
  • 정보이론에서 확률모델이 샘플들을 얼마나 잘 예측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
  • (머신러닝) 모델의 작업 수행 능력을 나타내는 척도
  • 예를 들어, 사용자가 스마트폰 키보드에 입력하는 단어의 처음 몇 글자를 읽고 가능한 완성 단어의 목록을 제안하는 작업을 수행한다고 가정해 보면, 이 작업의 대략적인 퍼플렉시티 P는 사용자가 실제로 입력하려는 단어가 목록에 포함될 때까지 제안해야 하는 추측 단어 수이다.
  • 퍼플렉시티와 교차 엔트로피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math]\displaystyle{ 퍼플렉시티 P=2^{-교차\ 엔트로피} }[/math]

2 같이 보기[ | ]

3 참고[ | ]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