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급"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다른뜻|도급(倒給)}} ==개요== ; subcontract, contracted work, piecework, undertaking ; ;도급 * 일정한 기간이나 시간 안에 끝내야 할 일의 양...)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6번째 줄: 6번째 줄:
* 일정한 기간이나 시간 안에 끝내야 할 일의 양을 도거리로 맡거나 맡김
* 일정한 기간이나 시간 안에 끝내야 할 일의 양을 도거리로 맡거나 맡김
* 당사자 가운데 한쪽이 어떤 일을 완성할 것을 약속하고, 상대편이 그 일의 결과에 대해서 일정한 보수를 지급하기로 하는 계약 → [[도급 계약]]
* 당사자 가운데 한쪽이 어떤 일을 완성할 것을 약속하고, 상대편이 그 일의 결과에 대해서 일정한 보수를 지급하기로 하는 계약 → [[도급 계약]]
* 어떤 일의 완성을 부탁받은 자(수급인)가 일을 하기로 약정하고, 부탁한 자(도급인)가 그 일이 완성되면 보수(報酬)를 지급할 것을 약정함으로써 성립하는 계약</ref>대한민국 민법 제664조</ref>
* 당사자의 일방이 어떤 일을 완성할 것을 약정하고, 상대방이 그 일의 결과에 대하여 보수를 지급할 것을 약정함으로써 성립하는 계약
* 어떤 일의 완성을 부탁받은 자(수급인)가 일을 하기로 약정하고, 부탁한 자(도급인)가 그 일이 완성되면 보수(報酬)를 지급할 것을 약정함으로써 성립하는 계약<ref>[[대한민국 민법 제664조]]</ref>


==같이 보기==
==같이 보기==
18번째 줄: 19번째 줄:
* [[도급업자]]
* [[도급업자]]
* [[도급 계약]]
* [[도급 계약]]
* [[도급, 하도급]]
* [[도급하다]]
* [[도급하다]]
}}
}}

2019년 11월 2일 (토) 19:40 기준 최신판

  다른 뜻에 대해서는 도급(倒給)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1 개요[ | ]

subcontract, contracted work, piecework, undertaking
도급
  • 일정한 기간이나 시간 안에 끝내야 할 일의 양을 도거리로 맡거나 맡김
  • 당사자 가운데 한쪽이 어떤 일을 완성할 것을 약속하고, 상대편이 그 일의 결과에 대해서 일정한 보수를 지급하기로 하는 계약 → 도급 계약
  • 당사자의 일방이 어떤 일을 완성할 것을 약정하고, 상대방이 그 일의 결과에 대하여 보수를 지급할 것을 약정함으로써 성립하는 계약
  • 어떤 일의 완성을 부탁받은 자(수급인)가 일을 하기로 약정하고, 부탁한 자(도급인)가 그 일이 완성되면 보수(報酬)를 지급할 것을 약정함으로써 성립하는 계약[1]

2 같이 보기[ | ]

3 참고[ | ]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