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방원 - 하여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1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다른뜻|서태지와 아이들 - 하여가}}
==개요==
==개요==
;何如歌
;何如歌
;하여가
;하여가
* 조선이 개국하기 전 [[태종 이방원]]이 지은 시조 1수
* 조선 개국 전 [[태종 이방원]]이 지은 시조
* 고려의 충신 정몽주의 진심을 떠보고 그를 회유하기 위하여 읊은 시조
* 고려의 충신 [[정몽주]]의 진심을 떠보고 회유하기 위해 읊었다는 시조
* 정몽주가 답한 것이 《단심가(丹心歌)》
 
{{인용문|
{{인용문|
<poem>
<poem>
13번째 줄: 12번째 줄:
</poem>
</poem>
}}
}}
{{인용문|
<poem>
이런들 어떠하며 저런들 어떠하리
만수산 드렁칡이 얽어진들 그 어떠하리
우리도 이 같이 얽어져 백년까지 누리리라
</poem>
}}
* 이에 정몽주가 답한 것이 《[[단심가]](丹心歌)》


==같이 보기==
==같이 보기==
*[[청구영언]]
*[[단심가]]
*[[태종 이방원]]
*[[태종 이방원]]
*[[정몽주]]


==참고 자료==
==참고==
* https://ko.wikisource.org/wiki/하여가
* {{위키백과|하여가}}
* {{위키문헌|하여가}}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60590&cid=40942&categoryId=32868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60590&cid=40942&categoryId=32868


[[분류: 조선]]
[[분류: 조선]]
[[분류: 시조]]
[[분류: 시조]]

2019년 5월 29일 (수) 23:58 기준 최신판

  다른 뜻에 대해서는 서태지와 아이들 - 하여가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1 개요[ | ]

何如歌
하여가
  • 조선 개국 전 태종 이방원이 지은 시조
  • 고려의 충신 정몽주의 진심을 떠보고 회유하기 위해 읊었다는 시조

이런들엇더ᄒᆞ며져런들엇더ᄒᆞ료
萬壽山드렁츩이얼거진들긔엇더ᄒᆞ료
우리도이ᄀᆞᆺ치얼거져百年ᄭᆞ지누리리라

이런들 어떠하며 저런들 어떠하리
만수산 드렁칡이 얽어진들 그 어떠하리
우리도 이 같이 얽어져 백년까지 누리리라

  • 이에 정몽주가 답한 것이 《단심가(丹心歌)》

2 같이 보기[ | ]

3 참고[ | ]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