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도 도 度"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한자 정보 |UTF8=U+5EA6 |한자=度 |속자= |간자= |부수=广 |훈음=법도 도, 헤아릴 탁, 살 택 |음독=DO, TAKU, TO |훈독=HAKARU, MEMORI, TABI |병음=dù |총...)
 
잔글 (봇: 중학용을(를) 중학용 한자(으)로 분류 대체함)
30번째 줄: 30번째 줄:
==참고==
==참고==
{{한자참고}}
{{한자참고}}
[[분류: 한자]]
 
[[분류: 중학용]]
[[분류:한자]]
[[분류: 읽기6급]]
[[분류:중학용 한자]]
[[분류: 쓰기5급]]
[[분류:읽기6급]]
[[분류:쓰기5급]]

2017년 9월 10일 (일) 23:34 판


법도 도, 헤아릴 탁, 살 택
부수 부수 广
총획/획수 9획 / 3획
훈음 법도 도, 헤아릴 탁, 살 택
일본어 음독 DO, TAKU, TO
일본어 훈독 HAKARU, MEMORI, TABI
중국어 병음 [1] [2]
유니코드 U+5EA6

1 의미

법도, 자, 도구, 도수, 번, 도, 기량
degree, system; manner; to consider


2 목록

  • 1음절 한자어

()

  • 2음절 한자어

程度(정도)制度(제도)速度(속도)溫度(온도)高度(고도)强度(강도)密度(밀도)極度(극도)角度(각도)濃度(농도)濕度(습도)用度(용도)深度(심도)頻度(빈도)度數(도수)緯度(위도)純度(순도)法度(법도)節度(절도)剛度(강도)經度(경도)光度(광도)度量(도량)感度(감도)酸度(산도)過度(과도)零度(영도)照度(조도)糖度(당도)度圈(도권)得度(득도)濟度(제도)硬度(경도)襟度(금도)明度(명도)民度(민도)鹽度(염도)禮度(예도)?度(건도)年度(년도)度濟(도제)分度(분도)色度(색도)示度(시도)粘度(점도)精度(정도)

  • 3음절 한자어

制度的(제도적)加速度(가속도)制度圈(제도권)信賴度(신뢰도)急速度(급속도)認知度(인지도)制度化(제도화)難易度(난이도)完成度(완성도)滿足度(만족도)汚染度(오염도)知名度(지명도)依存度(의존도)高度化(고도화)今年度(금년도)人氣度(인기도)正確度(정확도)前年度(전년도)來年度(내년도)溫度計(온도계)新人度(신인도)寄與度(기여도)多角度(다각도)成熟度(성숙도)容認度(용인도)自給度(자급도)高緯度(고위도)誠實度(성실도)速度感(속도감)昨年度(작년도)傾斜度(경사도)高難度(고난도)高密度(고밀도)度量衡(도량형)選好度(선호도)信用度(신용도)高純度(고순도)頻度數(빈도수)成就度(성취도)制度體(제도체)高感度(고감도)貢獻度(공헌도)關心度(관심도)散布度(산포도)信任度(신임도)愛好度(애호도)危險度(위험도)認識度(인식도)一覽度(일람도)精密度(정밀도)健全度(건전도)高强度(고강도)舊制度(구제도)緊張度(긴장도)肥滿度(비만도)消音度(소음도)速度計(속도계)速度戰(속도전)熟鍊度(숙련도)新鮮度(신선도)安全度(안전도)節度使(절도사)重要度(중요도)中緯度(중위도)客觀度(객관도)傾度力(경도력)競合度(경합도)高濃度(고농도)高度繼(고도계)高速度(고속도)多年度(다년도)代表度(대표도)度外視(도외시)同化度(동화도)無限度(무한도)敏感度(민감도)密度感(밀도감)發揮度(발휘도)北極度(북극도)頻度率(빈도율)酸性度(산성도)上昇度(상승도)選擇度(선택도)成功度(성공도)速度上(속도상)收用度(수용도)濕度計(습도계)實驗度(실험도)深刻度(심각도)心理度(심리도)安定度(안정도)隸屬度(예속도)溫度語(온도어)溫濕度(온습도)溶解度(용해도)有名度(유명도)利用度(이용도)印度分(인도분)印度語(인도어)印度人(인도인)自立度(자립도)自由度(자유도)蠶食度(잠식도)才度論(재도론)低密度(저밀도)適應度(적응도)

  • 4음절 한자어

高度成長(고도성장)高解像度(고해상도)高精密度(고정밀도)百八十度(백팔십도)制度學派(제도학파)高强度化(고강도화)高速度鋼(고속도강)等加速度(등가속도)文物制度(문물제도)不滿足度(불만족도)不一致度(불일치도)非制度圈(비제도권)溫度下降(온도하강)低解像度(저해상도)

  • 5음절 한자어

高度成長期(고도성장기)

3 참고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