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찰점수, 진점수, 오차점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4번째 줄: 4번째 줄:
;true scroe; T
;true scroe; T
;진점수
;진점수
;error; E
;오차, 오차점수


==관찰점수==
==관찰점수==
16번째 줄: 19번째 줄:
*오차 없는 점수
*오차 없는 점수
*측정에 오차가 전혀 없을 때를 상정한 이상적인 점수
*측정에 오차가 전혀 없을 때를 상정한 이상적인 점수
*반복 측정하여 얻은 관찰점수들의 기대값(평균)을 진점수라고 추정함
*반복 측정<ref>심리검사에서는 이것도 불가능. 반복 측정시 학습효과에 의해 피험자의 진점수 자체가 변동될 수 있기 때문.</ref>하여 얻은 관찰점수들의 기대값(평균)을 진점수라고 추정함
:<math>T=E(X)</math>
:<math>T=E(X)</math>
==오차==
*관찰점수와 진점수의 차이
*어떤 요인들<ref>검사도구의 불완정성 등, 피험자의 심리상태(긴장)</ref>에 의해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오차
*고전검사이론에서는 무작위적이라고 가정
:<math>E(E)=0</math>


==같이 보기==
==같이 보기==

2012년 9월 12일 (수) 00:55 판

observed score; X
관찰점수
true scroe; T
진점수
error; E
오차, 오차점수

1 관찰점수

  • 진점수+오차
  • 측정하여 얻은 점수
  • 오차가 포함된 점수
  • 진점수(오차 없는 점수)와 반대 개념
[math]\displaystyle{ X=T+E }[/math]

2 진점수

  • 관찰점수-오차
  • 오차 없는 점수
  • 측정에 오차가 전혀 없을 때를 상정한 이상적인 점수
  • 반복 측정[1]하여 얻은 관찰점수들의 기대값(평균)을 진점수라고 추정함
[math]\displaystyle{ T=E(X) }[/math]

3 오차

  • 관찰점수와 진점수의 차이
  • 어떤 요인들[2]에 의해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오차
  • 고전검사이론에서는 무작위적이라고 가정
[math]\displaystyle{ E(E)=0 }[/math]

4 같이 보기

  1. 심리검사에서는 이것도 불가능. 반복 측정시 학습효과에 의해 피험자의 진점수 자체가 변동될 수 있기 때문.
  2. 검사도구의 불완정성 등, 피험자의 심리상태(긴장)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