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ungchen Lhamo 편집하기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5번째 줄: 5번째 줄:
인도, 티벳 그리고 부탄: --[[허경]], 2000, 뮤지컬박스 2호, from [[RealWorld]]
인도, 티벳 그리고 부탄: --[[허경]], 2000, 뮤지컬박스 2호, from [[RealWorld]]


http://images.amazon.com/images/P/B000000HOK.01.LZZZZZZZ.jpg
IMG:align=right http://images.amazon.com/images/P/B000000HOK.01.LZZZZZZZ.jpg


셰일라 챈드라(Sheila Chandra)는 인도 출신의 영국 여성 싱어로 리얼 월드에서 92년 <Weaving My Ancestors' Voices>(RW24), 94년 <The Zen Kiss>(RW45), 96년 (RW56) 등을 발표했으며, 99년에는 그간의 베스트와 두 곡의 미발표 곡을 담은 앨범 <Moonsung: A Real World Retrospective>(RW77)를 발표했다. 영어로 노래하는 그녀는 가히 에스닉 계의 애니 해슬럼이라 불릴 만 하지만, 실상 그녀의 앨범을 직접 들어보면 그녀가 애니 해슬럼의 그것을 능가하는 음악적 깊이와 성취를 가지고 있음을 느낄 수 있다. 인도 출신임을 증명하듯 명상 음악적 요소가 다분한 신비하고 아름다운 음색의 목소리를 들려준다. 그녀의 목소리는 사람의 마음을 잡아끄는 묘한 매력과 동시에 듣는 이를 편하게 만드는 기묘한 흡인력을 가지고 있다. 그녀의 곡들은 일반적으로 상당한 실험성을 보여주는데 신서사이저가 전면에 등장하는  같은 앨범은 이런 특징이 잘 드러난 작품이다. 실험적 포크 음악, 프로그레시브·싸이키델릭 음악의 명상적·트랜스적 요소를 선호하는 분들께 권하고 싶다.
셰일라 챈드라(Sheila Chandra)는 인도 출신의 영국 여성 싱어로 리얼 월드에서 92년 <Weaving My Ancestors' Voices>(RW24), 94년 <The Zen Kiss>(RW45), 96년 (RW56) 등을 발표했으며, 99년에는 그간의 베스트와 두 곡의 미발표 곡을 담은 앨범 <Moonsung: A Real World Retrospective>(RW77)를 발표했다. 영어로 노래하는 그녀는 가히 에스닉 계의 애니 해슬럼이라 불릴 만 하지만, 실상 그녀의 앨범을 직접 들어보면 그녀가 애니 해슬럼의 그것을 능가하는 음악적 깊이와 성취를 가지고 있음을 느낄 수 있다. 인도 출신임을 증명하듯 명상 음악적 요소가 다분한 신비하고 아름다운 음색의 목소리를 들려준다. 그녀의 목소리는 사람의 마음을 잡아끄는 묘한 매력과 동시에 듣는 이를 편하게 만드는 기묘한 흡인력을 가지고 있다. 그녀의 곡들은 일반적으로 상당한 실험성을 보여주는데 신서사이저가 전면에 등장하는  같은 앨범은 이런 특징이 잘 드러난 작품이다. 실험적 포크 음악, 프로그레시브·싸이키델릭 음악의 명상적·트랜스적 요소를 선호하는 분들께 권하고 싶다.
13번째 줄: 13번째 줄:
융첸 라모(Yungchen Lhamo)는 티벳에서 태어나 그곳에서 자랐지만, 25세 때인 90년 중국 공산당의 강점 하에 있는 조국을 떠나 달라이 라마의 망명 정부가 있는 인도 다람살라(Dharamsala)로 망명한 여성 싱어이다. 현재 뉴욕에 거주하는 그녀의 이름은 티벳어로 '노래의 여신'(Goddess Of Song)을 의미한다고 한다. 그녀는 96년 리차드 에반스가 제작과 믹스를 담당한 1집 <Tibet, Tibet>(RW59)을 냈다. 불교 국가 티벳에서 자유를 찾아 망명한 그녀의 앨범을 관통하는 두 가지 기본 정서는 - 두 앨범 및 수록된 노래 제목들에서 잘 나타나듯이 - 티벳 (라마) 불교적 정서와 조국의 독립을 염원하는 마음이다. <Tibet, Tibet>은 대부분 무반주 혹은 작은 종소리 등의 간단한 배경 음악에 그녀의 독창으로 구성되어 있다. 앨범의 첫 곡과 9번 트랙은 각기 '옴마니반메훔'(Om Mani Padme Hung) 1, 2부로, 이 곡들에는 델리의 드레풍 느각파 사원 및 기우토 탄트라 대학 승려들의 독경 소리가 배경으로 깔린다. 옴마니반메훔은 불교 진언(眞言)의 하나로 우주의 진리를 표상하는 주문(呪文)이다. 앨범에 수록된 10곡 중 4곡은 라모가 전통 음악들을 편곡한 것이며, 나머지 여섯 곡은 그녀의 창작곡이다. 앨범의 베스트 파트는 그녀가 반주 없이 혼자 노래하는 부분보다는 에반스가 벤조를 연주하고 일본의 고수(鼓手) 조지 히로타가 북을 친 'Lhasa Pumo', 일본 현악기 사미센(三味線) 음과 비슷한 전통 티벳 현악기 드라니엠(dranyem)이 나오는 'Dorje-Den', 'Dradul Nyenkyon', 그리고 단연 알렉스 기포드(Alex Gifford)가 현악 파트를 삽입한 마지막 트랙 'Gi Pai Pa Yul Chola'를 꼽아야 할 것이다. 결국 앨범에서 가장 좋은 부분은 그녀의 보컬 파트보다는 에반스·기포드·히로타 등이 등장하는 연주 파트이다. 트리뷰트 라이브 앨범 <Womad Live At The Carnival Of Venice> 등에 수록된 다른 곡을 들어보아도 그녀의 목소리 혹은 가창력은 불교 음악 팬들 혹은 신도들의 영역을 넘어서기에는 아직 무리라는 것이 나의 정직한 판단이다. 그러나 리차드 에반스의 제작 솜씨는 매우 뛰어나고 섬세하며, 또한 불교 음악이 아직 낯설고 신기할 이방인들에게는 매력적인 콜렉션 아이템이 될 것이다. 이에 비해 헥토르 자주(Hector Zazou)가 제작한 98년의 2집 <Coming Home>(RW79)은 훨씬 뛰어난 깊이와 감성을 보여주며, 약간의 트랜스·사이키델릭적 요소마저도 보여주고 있다.
융첸 라모(Yungchen Lhamo)는 티벳에서 태어나 그곳에서 자랐지만, 25세 때인 90년 중국 공산당의 강점 하에 있는 조국을 떠나 달라이 라마의 망명 정부가 있는 인도 다람살라(Dharamsala)로 망명한 여성 싱어이다. 현재 뉴욕에 거주하는 그녀의 이름은 티벳어로 '노래의 여신'(Goddess Of Song)을 의미한다고 한다. 그녀는 96년 리차드 에반스가 제작과 믹스를 담당한 1집 <Tibet, Tibet>(RW59)을 냈다. 불교 국가 티벳에서 자유를 찾아 망명한 그녀의 앨범을 관통하는 두 가지 기본 정서는 - 두 앨범 및 수록된 노래 제목들에서 잘 나타나듯이 - 티벳 (라마) 불교적 정서와 조국의 독립을 염원하는 마음이다. <Tibet, Tibet>은 대부분 무반주 혹은 작은 종소리 등의 간단한 배경 음악에 그녀의 독창으로 구성되어 있다. 앨범의 첫 곡과 9번 트랙은 각기 '옴마니반메훔'(Om Mani Padme Hung) 1, 2부로, 이 곡들에는 델리의 드레풍 느각파 사원 및 기우토 탄트라 대학 승려들의 독경 소리가 배경으로 깔린다. 옴마니반메훔은 불교 진언(眞言)의 하나로 우주의 진리를 표상하는 주문(呪文)이다. 앨범에 수록된 10곡 중 4곡은 라모가 전통 음악들을 편곡한 것이며, 나머지 여섯 곡은 그녀의 창작곡이다. 앨범의 베스트 파트는 그녀가 반주 없이 혼자 노래하는 부분보다는 에반스가 벤조를 연주하고 일본의 고수(鼓手) 조지 히로타가 북을 친 'Lhasa Pumo', 일본 현악기 사미센(三味線) 음과 비슷한 전통 티벳 현악기 드라니엠(dranyem)이 나오는 'Dorje-Den', 'Dradul Nyenkyon', 그리고 단연 알렉스 기포드(Alex Gifford)가 현악 파트를 삽입한 마지막 트랙 'Gi Pai Pa Yul Chola'를 꼽아야 할 것이다. 결국 앨범에서 가장 좋은 부분은 그녀의 보컬 파트보다는 에반스·기포드·히로타 등이 등장하는 연주 파트이다. 트리뷰트 라이브 앨범 <Womad Live At The Carnival Of Venice> 등에 수록된 다른 곡을 들어보아도 그녀의 목소리 혹은 가창력은 불교 음악 팬들 혹은 신도들의 영역을 넘어서기에는 아직 무리라는 것이 나의 정직한 판단이다. 그러나 리차드 에반스의 제작 솜씨는 매우 뛰어나고 섬세하며, 또한 불교 음악이 아직 낯설고 신기할 이방인들에게는 매력적인 콜렉션 아이템이 될 것이다. 이에 비해 헥토르 자주(Hector Zazou)가 제작한 98년의 2집 <Coming Home>(RW79)은 훨씬 뛰어난 깊이와 감성을 보여주며, 약간의 트랜스·사이키델릭적 요소마저도 보여주고 있다.


height=300 http://images.amazon.com/images/P/B00003OT8L.01.LZZZZZZZ.jpg
IMG:align=right height=300 http://images.amazon.com/images/P/B00003OT8L.01.LZZZZZZZ.jpg


한편 2000년 2월 발매된 최근작 라마 기우르메 & 장-필립 리키엘(Lama Gyurme & Jean-Philippe Rykiel)의 앨범 <Rain Of Blessings: Vajra Chants>(RW85)도 훌륭한 앨범이다. 48년 부탄(Bhutan) 출신으로 74년 이래 프랑스에 거주하는 라마 승려 기우르메와 프랑스의 키보드주자 리키엘의 이 두 번째 조인트 앨범은 - 융첸 라모의 성과를 훌쩍 넘어서는 - 참으로 독특한, 매력적인 소리를 가지고 있다. 키리엘의 단순한 피아노 반주에 기우르메의 '읊조림'이 덧붙여진 앨범은 '리얼 월드의 레너드 코헨'이라 부를 만한 탁월한 음유시인적 감성을 보여준다. 특히 'Offering Chant(unplugged)' 같은 곡은 매우 뛰어나다. 앨범의 타이틀인 'Vajra'는 산스크리트어로 '금강경'(金剛經)을 의미한다. 기우르메와 리키엘은 이전에도 94년 앨범 <The Lhama's Chant>(Sony Classical)을 내어 스페인 등지에서 골드 디스크를 기록했다. 두 앨범 모두 프로듀서 장-미셸 뢰세(Jean-Michel Reusser)가 제작했다. 현재 38세인 키리엘은 이전에도 파파 웸바·유순 두르·레너드 코헨·존 하셀 등의 작업에 참여한 바 있다.
한편 2000년 2월 발매된 최근작 라마 기우르메 & 장-필립 리키엘(Lama Gyurme & Jean-Philippe Rykiel)의 앨범 <Rain Of Blessings: Vajra Chants>(RW85)도 훌륭한 앨범이다. 48년 부탄(Bhutan) 출신으로 74년 이래 프랑스에 거주하는 라마 승려 기우르메와 프랑스의 키보드주자 리키엘의 이 두 번째 조인트 앨범은 - 융첸 라모의 성과를 훌쩍 넘어서는 - 참으로 독특한, 매력적인 소리를 가지고 있다. 키리엘의 단순한 피아노 반주에 기우르메의 '읊조림'이 덧붙여진 앨범은 '리얼 월드의 레너드 코헨'이라 부를 만한 탁월한 음유시인적 감성을 보여준다. 특히 'Offering Chant(unplugged)' 같은 곡은 매우 뛰어나다. 앨범의 타이틀인 'Vajra'는 산스크리트어로 '금강경'(金剛經)을 의미한다. 기우르메와 리키엘은 이전에도 94년 앨범 <The Lhama's Chant>(Sony Classical)을 내어 스페인 등지에서 골드 디스크를 기록했다. 두 앨범 모두 프로듀서 장-미셸 뢰세(Jean-Michel Reusser)가 제작했다. 현재 38세인 키리엘은 이전에도 파파 웸바·유순 두르·레너드 코헨·존 하셀 등의 작업에 참여한 바 있다.

제타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제타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