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eff Beck 편집하기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52번째 줄: 52번째 줄:


* Song Description
* Song Description
본작에서 가장 널리 알려진 곡은 블루스 록 기타리스트 로이 부캐넌(Roy Buchanan)에게 헌정된 <Cause We've Ended as Lovers>이다. 스티비 원더(Stevie Wonder)의 곡을 리메이크한 이 곡은 로이 부캐넌의 <The Messiah Will Come Again>과 유사한 느낌을 주고 있어 흥미롭다. 제프 벡은 특유의 섬세한 기타 테크닉을 십분 발휘해 코끝이 시큰해질만큼 구슬픈 느낌을 전달해준다. 보컬을 생략한 대신 역시 스티비 원더의 곡을 리메이크한게 아니라 비틀즈 곡인  <She's a Woman>과 등에선 토크 박스(Talk Box)를 사용해 독특한 느낌을 주고 있다. 맥스 미들턴(Max Middleton)의 오밀조밀한 키보드와 제프 벡의 예리한 톤의 기타 사운드가 어울려 펑키(Funky)하고 모던한 감각을 들려준다. <'Cause We've Ended as Lovers>와 함께 앨범의 백미로 꼽히는 <Freeway Jam>은 도시적인 세련된 정취가 물씬 풍기는 인스트루멘탈 넘버이다. 이 곡에서의 제프 벡의 군더더기 하나 없는 날렵한 기타는 동시대의 다른 기타리스트들과는 차원을 달리 한 것이다.
본작에서 가장 널리 알려진 곡은 블루스 록 기타리스트 로이 부캐넌(Roy Buchanan)에게 헌정된 <Cause We've Ended as Lovers>이다. 스티비 원더(Stevie Wonder)의 곡을 리메이크한 이 곡은 로이 부캐넌의 <The Messiah Will Come Again>과 유사한 느낌을 주고 있어 흥미롭다. 제프 벡은 특유의 섬세한 기타 테크닉을 십분 발휘해 코끝이 시큰해질만큼 구슬픈 느낌을 전달해준다. 보컬을 생략한 대신 역시 스티비 원더의 곡을 리메이크한 <She's a Woman>과 등에선 토크 박스(Talk Box)를 사용해 독특한 느낌을 주고 있다. 맥스 미들턴(Max Middleton)의 오밀조밀한 키보드와 제프 벡의 예리한 톤의 기타 사운드가 어울려 펑키(Funky)하고 모던한 감각을 들려준다. <'Cause We've Ended as Lovers>와 함께 앨범의 백미로 꼽히는 <Freeway Jam>은 도시적인 세련된 정취가 물씬 풍기는 인스트루멘탈 넘버이다. 이 곡에서의 제프 벡의 군더더기 하나 없는 날렵한 기타는 동시대의 다른 기타리스트들과는 차원을 달리 한 것이다.


* 감상 포인트 및 평가
* 감상 포인트 및 평가

제타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제타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