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격유형

1 개요[ | ]

somatotype
體格類型, 體格型, 體格類型區分
체격유형, 체격형, 체격 유형 구분, 소마토타입
  • 인간의 체형을 구분하는 방법
  • 1940년대에 미국의 심리학자 윌리엄 허버트 셸던이 고안한 인간체형유형론
  • 체형을 지방질로 둥그스름한 내배엽형, 근육질로 뼈대가 굵은 중배엽형, 신경계와 피부계가 발달한 외배엽형으로 나눈 후, 그 정도를 수량화하여 그 편성으로 개인의 체격을 평가하는 방법

셸던은 배아배엽(외배엽중배엽내배엽)에서 용어를 가져와서 인간의 체격을 외배엽형(ectomorphic)・중배엽형(mesomorphic)・내배엽형(endomorphic)으로 분류했다.[1] 셸던은 이 체격형을 인간의 기질과 결부해서 설명하는 이론을 고안했는데, 그것을 체질심리학(constitutional psychology)이라고 한다.[2][3]

셀던의 이론은 기본적으로 프랜시스 골턴우생학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셀던은 사람의 체격의 크기와 모양을 보면 지능, 도덕성, 미래 성취의 유망함을 알아낼 수 있다고 생각했다.[4]

셸던의 이론은 1950년대에 매우 유명했으나,[5] 현재는 돌팔이 이론이라고 평가절하되고 있다.[6][2][7][8][9]

Bodytypes.jpg

2 같이 보기[ | ]

3 각주[ | ]

  1. Hollin, Clive R. (2012). Psychology and Crime: An introduction to criminological psychology. Routledge. 59쪽. ISBN 978-0415497039. 
  2. 2.0 2.1 Rafter, N. (2008). “Somatotyping, antimodernism, and the production of criminological knowledge”. 《Criminology45 (4): 805–33. doi:10.1111/j.1745-9125.2007.00092.x. 
  3. 〈Constitutional Theory〉. 《The Penguin Dictionary of Psychology》. Penguin Books. 2009. ISBN 9780141030241Credo Reference 경유. 
  4. Vertinsky, P. (2007). “Physique as destiny: William H. Sheldon, Barbara Honeyman Heath, and the struggle for hegemony in the science of somatotyping”. 《Canadian Bulletin of Medical History》 24 (2): 291–316. doi:10.3138/cbmh.24.2.291. PMID 18447308. 
  5. Rosenbaum, Ron (1995년 1월 15일). “The great ivy league nude posture photo scandal”. 《The New York Times. 2011년 12월 2일에 확인함. 
  6. Roeckelein, Jon E. (1998). 〈Sheldon's type theory〉. 《Dictionary of Theories, Laws, and Concepts in Psychology》. Greenwood. 427–428쪽. ISBN 9780313304606. 
  7. Zentner, Marcel; Shiner, Rebecca L. (2012). 《Handbook of Tempermaent》. Guilford Press. 6쪽. ISBN 9781462506514 – Google Books 경유. 
  8. Ryckman, Richard M. (2007). 《Theories of Personality》 9판. Cengage Learning. 260–261쪽. ISBN 9780495099086 – Google Books 경유. 
  9. “Nude photos are sealed at Smithsonian”. 《The New York Times》. 1995년 1월 21일. 2011년 12월 1일에 확인함.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