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시다 바이간

1 개요[ | ]

이시다 바이간 (1685-1744)
石田梅岩, いしだ ばいがん
  • 일본 에도시대의 사상가
  • 성리학과 상업윤리를 결합하여 심학을 창시

2 국학원대학[ | ]

1685~1744년. 에도(江戸)시대 중기의 쵸닌(町人)학자이고, 석문심학(石門心学)의 선조이다. 이름은 고쵸(興長), 통칭은 간페이(勘平), 호는 바이간(海岩). 단바국(丹波国) 구와다군(桑田郡)의 농가의 차남으로 태어나 어릴적부터 교토(京都)에 봉공하러 나갔다. 상업에 힘쓰는 한편, 강의나 강연 자리를 찾아다니며 공부를 했다. 35세 때 오구리 료운(小栗了雲)에게 가르침을 받아 깨달음을 얻었다. 45세부터 교토에서 강의를 하고, 신봉자가 점점 생겨서 그 가르침은 전국으로 퍼져나갔다. 어려서부터 구도적(求道的) 자세가 강하고, 신도, 불교를 신앙하며, 유학과 도가사상에도 정통했다. 이러한 가르침은 모두 ‘마음을 닦는 마종(磨種)’(『都鄙問答』)이라 하여 어디까지나 마음을 주체로 삼을 것을 강조했다. 또 당시 사람들의 상업을 경멸하는 생각을 거부하고, 상인의 도를 실천하는 것에 대해 설명하고, ‘정직’과 ‘검약’을 실천덕목으로 주장했다. 그의 신도적 지식은 주로 요시다신도(吉田神道)에서 받은 것이라 할 수 있지만, 그것은 특정의 스승에게서 받은 것이 아니라, 당시 교토에서 열렸던 신도강석(神道講釈) 등을 통해서 얻은 것으로 여겨진다. 데지마 토안(手島堵庵)을 비롯한 많은 문인이 있다. 엔쿄(延享) 원년에 사망, 향년80세. 저서는 앞에서 소개한 것 외에 『斉家論』, 『莫妄想』 등이 있다. / 야자키 히로유키(矢崎浩之)

3 같이 보기[ | ]

4 관련 문헌[ | ]

  • 이시다 바이간에게 배운다 | 하리다 마사히코 저/양억관 역 | 멜론 | 2009년 01월 05일
  • 이시다 바이간(石田梅岩)의 상업관에 관한 소고(小考)-『도비문답(都鄙問答)』을 중심으로- = A discussion of Ishida Baigans's commerce written in 『Tohimondou(都鄙問答)』 | 고영란 ( Young Ran Koh ), (漢文學論集, Vol.48 No.-, [2017])[KCI등재]
  • 문화,비교철학 : 이시다 바이간(石田梅岩)과 막스 베버(Max Weber)의 경제윤리- 이윤추구의 정당성 확립을 중심으로- = A Study on Economic Ethics proposed by Ishida Baigan and Max Weber ―With focus on Legitimacy Establishment of Pursuit of Profits | 정지욱 ( Jee Uk Chung ), (東洋哲學硏究, Vol.81 No.-, [2015])[KCI등재]
  • 이시다 바이간(石田梅岩)의 상인철학 = 石田梅岩の町人哲学 - 利潤追求の正当性の確立- | 정지욱(鄭址郁), (陽明學, Vol.- No.31, [2012])[KCI등재]
  • 근세일본인의 정신문화 ― 일본인의 직업윤리의 역사성 ― | 金弼東, (日本學報, Vol.117 No.-, [2018])[KCI등재]
  • 근세일본의 민중종교사상 : 석문심학(石門心學)과 마음(心)의 문제를 중심으로 | 박규태, (일본사상, Vol.1 No.-, [1999])[KCI등재]
  • 근세일본인의 정신문화 ― 일본인의 직업윤리의 역사성 ― = The Spiritual Culture of Modern Japanese People | 김필동, (日本學報, Vol.0 No.117, [2018])[KCI등재]
  • 동아시아에서 근대인의 탄생 : 세키몬 심학(石門心學)과 아담 스미스 | 김동기, (역사와 세계, Vol.- No.43, [2013])[KCI등재후보]

5 참고[ | ]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