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방역

1 개요[ | ]

生活防疫
생활방역
  • 생활습관처럼 실천하는 일상화된 방역
  • 강동경희대병원 호흡기내과 최천웅 교수는 "국민 모두가 생활방역을 완벽하게 지킨다면 감염 위험이 확 떨어질 것"이라며 "100%는 어렵지만, 근접할 수는 있다고 본다"고 말했슴

https://imgnews.pstatic.net/image/001/2020/05/03/PCM20200414000053990_P4_20200503060106511.jpg?type=w647

2 좋은 생활방역법[ | ]

  • 식당=음식을 먹을 때까지 마스크를 착용할 순 없다. 입을 벌리고 이야기하며 밥을 먹다보면 비말(飛沫)이 쉽게 튀고, 감염 위험도 커진다. 이때는 한 방향으로 앉아 식사한다. 나란히 앉거나, 지그재그로 앉는 식이다. 국내에서는 지자체·대기업 구내식당 등이 한 방향 식사를 유도하는 분위기이며, 중국 베이징에서는 일반 식당에서도 한 방향 식사를 유도한다. 식사 중 대화는 많이 하지 않는 게 좋다
  • 직장=우한시 질병예방통제센터 저우왕 책임교수는 자신의 저서를 통해 "코로나19 예방을 위해 사무실에서 자주 실내 환기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환기는 공기 중에 떠 있는 작은 바이러스 입자에 노출되는 위험을 막아준다.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때는 휴지 등으로 입·코를 완전히 막고, 사용한 휴지는 별도의 비닐봉투에 넣어 밀봉한다
  • ​마트=장을 보기 전후 손씻기·세정제·소독제 등을 이용해 손을 청결하게 유지한다. 최근 알코올 스프레이 등을 구비하고 있는 대형마트가 많은데, 카트를 끌기 전 손잡이에 한 번 뿌리길 권장한다
  • 대중교통=세계보건기구(WHO)의 라라 고스 박사는 대중교통으로 통근하는 사람의 호흡기 질환 발병 위험이 높다고 경고한 바 있다. 라라 고스 박사는 지하철 노선이 많은 역일수록 대중에게 노출이 더 많이 되기 때문에 가능하다면 환승을 최대한 덜 하는 경로를 택하라고 말했다
  • 공원=사람이 북적거리는 야외는 공원이라면 개인 간 간격 2m 가 지켜지기 어렵다. 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 이재갑 교수는 "원칙적으로 야외에서는 비말이 희석되고 공중으로 날아가니 괜찮지만, 꽃놀이 등으로 사람이 많은 장소는 안전하지 못하다"며 "사람이 없는 공원으로 가거나, '드라이브 스루 꽃놀이' 등을 즐기는 게 낫다"고 말했다
  • 엘리베이터 내부=엘리베이터는 좁은 공간이다. 많은 사람들과 함께 타는 것은 좋지 않다. 한가한 엘리베이터를 기다리거나, 계단을 이용하는 게 낫다. 동승자가 재채기를 한다면 옷으로 코와 입을 막고, 집에 도착해서 즉시 옷을 갈아입은 뒤 얼굴과 손을 씻는다. 버튼을 누르기 전후 손소독제를 사용하는 게 안전하다
  • 병원=기존에 있던 질환 때문에 병원을 갈 때는 반드시 마스크를 착용한다. 최천웅 교수는 "병원 방문 당일은 동선을 최소화하고, 병원에서도 불필요하게 여기저기 돌아다니지 않길 권한다"고 말했다

3 같이 보기[ | ]

4 참고[ | ]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