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념[ | ]
- How to use virtualenv
- virtualenv 사용법
- 파이썬 virtualenv 사용법
2 선행 과정[ | ]
3 가상 환경 생성[ | ]
- ENV 디렉토리에 새로운 가상 환경 생성
Bash
Copy
virtualenv ENV
- 예시
Console
Copy
johnjeong@zetawiki:~$ virtualenv ENV
Using base prefix '/usr'
New python executable in /home/johnjeong/ENV/bin/python3
Also creating executable in /home/johnjeong/ENV/bin/python
Installing setuptools, pip, wheel...done.
- →~/ENV 하위에 bin, include, lib 디렉토리가 각각 생성된 것을 확인 할 수 있음
4 가상 환경 활성화[ | ]
- 가상 환경 활성화 명령
- 리눅스/맥
Bash
Copy
source PATH/bin/activate
- 윈도우
Bash
Copy
PATH/Scripts/activate
- 예시
Console
Copy
johnjeong@zetawiki:~$ source ENV/bin/activate
(ENV) johnjeong@zetawiki:~$
- →활성화를 하게 되면 쉘 명령창의 앞 부분에 (ENV)가 생성되며, 이는 ENV 가상환경에서 실행되고 있다는 의미
5 가상 환경 비활성화[ | ]
- 가상 환경 비활성화 명령
Bash
Copy
deactivate
- 예시
Console
Copy
(ENV) johnjeong@zetawiki:~$ deactivate
johnjeong@zetawiki:~$
- → 가상 환경 ENV가 비 활성화되어 앞 부분의 (ENV)가 사라짐
6 가상 환경 삭제[ | ]
- 가상 환경 삭제는 가상 환경 비활성화 및 가상환경 디렉토리 삭제
Bash
Copy
deactivate
rm -rf PATH/ENV
- 예시
Console
Copy
(ENV) johnjeong@zetawiki:~$ deactivate
johnjeong@zetawiki:~$ rm -rf ENV
7 같이 보기[ | ]
편집자 58.103.3.15 Jmnote
로그인하시면 댓글을 쓸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