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 ]
- man page (←manual page)
- 맨 페이지 (←매뉴얼 페이지)
- 거의 모든 유닉스 및 유닉스 계열의 운영 체제에 기본으로 설치되는 광범위 문서들
man
라는 유닉스 명령어를 이용하면 이 문서들을 볼 수 있다. 각 페이지는 개별 문서로 이루어져 있다.
2 역사[ | ]
유닉스의 역사 처음 2년 동안은 문서화란 존재하지 않았다.[1] 유닉스 프로그래머의 매뉴얼이 1971년 11월 3일 처음 출판되었다.
실제 최초의 man page는 1971년 더글러스 매클로이의 주장으로 데니스 리치와 켄 톰프슨이 작성하였다. man page 외에 "프로그래머의 매뉴얼" 또한 짧은 문서들을 모아두었고, 그 중 일부는 강좌였고 그 외에는 운영 체제 기능에 대한 더 자세한 설명이었다.
Man page는 일반적으로 영어로 작성되어 있지만, 시스템에서 다른 언어로의 번역 또한 가능하다.
3 사용[ | ]
셸 프롬프트에서 다음과 같은 식을 이용하면 유닉스 명령어에 대한 매뉴얼 페이지를 볼 수 있다.
Bash
Copy
man <명령어_이름>
예를 들면, "man ftp
"과 같이 입력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man의 기본 페이저는 초기값이 less이다.[2][3] 즉, man 페이지를 보여줄 때 less를 사용한다. 그렇기 때문에 페이지를 탐색할 때 less의 명령어를 사용한다. (ex. Space bar: 다음 페이지로 이동. q: 종료.)
페이저는 환경변수
Bash
Copy
MANPAGER
또는
Bash
Copy
PAGER
를 덮어씌워서 자신이 원하는 프로그램(ex. Vim)으로 설정할 수 있다.
설명 페이지들은 전통적으로 "이름(단락)" 기호를 이용하여 나타낸다. 예를 들면,
라고 입력한다. 하나의 명령어에 대한 매뉴얼 페이지가 여러 단락에서 나타나기도 한다.예를 들면, 리눅스와 BSD 계열의
의 설명을 보기 위한 명령어는 다음과 같다.
Bash
Copy
man 3 printf
4 같이 보기[ | ]
- ↑ McIlroy, M. D. (1987). 《A Research Unix reader: annotated excerpts from the Programmer's Manual, 1971–1986》 (PDF) (기술 보고서). CSTR. Bell Labs. 139.
- ↑ “man”. 《www.freebsd.org》. 2016년 7월 4일에 확인함.
- ↑ “man(1) - Linux manual page”. 《man7.org》. 2016년 7월 4일에 확인함.
편집자 Jmnote
로그인하시면 댓글을 쓸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