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TexLinks

1 # 주저리 주저리[ | ]

아직도, 혹은 이제는(?) LaTeX(혹은 TeX)를 꺼려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제가 생각하기에 그 주된 이유는 아마도

  • 처음 사용하는 그 시점까지 투자해야 할 시간을 고려할 경우, 여타의 선택에 비해 다소간 밑지는 장사가 될 것이라는 계산과,
  • 그래픽의 사용이나 프레젠테이션이 주가 되는 요즈음의 추세에 뒤떨어지리라는,

한마디로 텍이라는 글자가 붙은 거시기는 자연 과학하는 사람들에게나 어울릴 만한 구닥다리일 것이라는 편견 때문이 아닌가 합니다.

그게 아니라면 이런 정도의 반대편에 서있는 종류의 이유가 아닐까요?
그리고 이 페이지 이름에서 짐작하실 수 있겠지만, 저는 TeX을 직접 사용해 본 세대는 아닌지라, TeX 관련 정보는 제 관심사 밖이랍니다. 텍인지 레이텍인지 용어 설명이 없어서 벌써부터 헷갈리시는 분은 Processing TeX and LaTeX Files을 참고하시면 구분이 가능하실 듯.

저 역시 주된 LaTeX 사용 동기가 수식 편집과 수식이 난무하는 듯한 레포트 작성에 있었음을 부인하지는 않겠습니다. 뭐, 부인할 필요도 없지요. (사실, 그게 얼마나 큰 매력인데...) 그 반면에, 요즈음의 추세에 뒤떨어 지지 않는 LaTeX의 모습이 나름대로 아주 매력적이라는 사실, 이것도 부인하기 힘들답니다. 주위 사람들이 잘 안쓰기 때문에 접할 기회가 적다 뿐이지요.

불법 행위를 통해, Word나 Power Point, Illustrator 같은 걸 쓴느 것도 나름의 짜릿함이 있겠습니다만, 시간을 약간 더 투자한다면 구지 그런 불법 행위가 필수적인 것은 아니라는게 제 생각입니다. 능력이 된다면야 아무런 상관이 없겠지만, 언제 어디서나 야메가 손에 닿는 것은 또 아니니까요. 물론, 돈 없이 떳떳하게 살려면 약간 더 고생해야 한다는 만고불변의 진리가 여기에도 적용이 되겠습니다만, 이미 위키를 사용하고 있는 분들께는 LaTeX이 제공하는 철학과 그 구현 방식이 매우 친숙하리라 생각됩니다.

간단한 것에서부터 압도적인 두께의 문서에 이르기까지, LaTeX 관련 문서는 인터넷에 널려 있으니 여기에는 제목 그대로 제게 필요한 링크들만 모아 놓을 생각입니다. 모 군께서 정 궁하다 압력을 넣으시면 몇마디 말을 주절거릴 수도 있겠지만, 이 세상에 저보다 뛰어난 많은 선현들이 이미 수많은 tutorial들을 잘 만들어 놓은지라 언감생심, 일단은 그냥 링크 모음이나 착실히 만들고자 합니다. 이 페이지를 들르신 여러분들도 추천 싸이트나 링크를 올려 주신다면 더 많은 사람들이 더 좋은 정보를 공유할 수 있겠죠 :-)

2 # 일반적인 링크[ | ]

2.1 # 단체[ | ]

Expected "=" to follow "a"| align="center" | <html><a href="http://www.ktug.or.kr"><img src=" "></a></html>
한글 텍 사용자 그룹
HLaTex (한글라텍) 한글라텍 길잡이
<html><a href="http://www.tug.org"><img src=" "></a></html> TeX User Group
http://www.latex-community.org/ LaTex Community
http://www.latex-project.org/ LaTex Project 홈페이지 : LaTeX3 Project 가 있습니다.
http://www.ctan.org Comprehensive TeX Archive Network
<html><a href="http://tex.loria.fr/english/"><img src=" "></a></html> A (La)TeX Encyclopaedia
<html><a href="http://www.dante.de/"><img src=" "></a></html> 독일 아해들의 텍 사용자 모임(?)
MikTex Project Win용 Tex. 윈 상에서 LaTex2e을 완전하게 구현하고 있다...고 믿고 있습니다만...
MikTeX-KTUG 한글 사용자들을 위해 MiKTeX 을 수정 및 보완하는 MiKTeX-KTUG 프로젝트 홈페이지. 조진환님 만세~!
http://knot.kaist.ac.kr/htex/ 한글 TeX 인터넷 홈페이지
http://faq.ktug.or.kr/mywiki/HLaTeX 은광희님이 만든 한글TeX macro : HLaTeX은 hangul.sty라는 스타일 매크로를 중심으로 폰트와 부수 파일로 이루어진 한글 처리 시스템
fpTex teTex을 윈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구현한 것이라고만 알고 있을 뿐...저는 미키텍 사용자라서리 :-) 일단은 관련 팩키지들을 둘러 보시고 선택하심이...
teTex 리눅서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teTex의 공식 홈피입니다. 참고로 Collection of teTex Manual에 가시면 매뉴얼들을 보실 수가 있습니다.
AMS Tex Resources AMS의 텍 싸이트입니다. AMS-LaTex를 받을 수 있습니다.
PCTex 제 정신이라면 절대 구매하지 않겠습니다만, 연구비로 산다면야...
REVTeX APS, AIP, OSA 등 물리학 관련 주요 저널 에서 사용하는 REVTeX 의 페이지 입니다.

2.2 # 개인[ | ]

http://www-cs-faculty.stanford.edu/~knuth/ 그 유명하신 高德納 先生의 집입니다. 몇 개 되지는 않지만 고덕납 선생께서 직접 하시는텍 강의도 들어 보실 수 있습니다. 다른 강의에 관해서는 Don Knuth: Musings and More를 참조하세요.
http://www.doeun.pe.kr/ 사회과학도를 위한 LaTeX/PDF로 유명한, 도은이네 집이랍니다.
http://makingtexwork.sourceforge.net/mtw/ 노만 월쉬의 Making TeX Work 최신(?) 버전을 웹으로 볼 수 있습니다.
http://math.postech.ac.kr/~kz/miktex/install.htm 김택근 님의 PC에 TEX환경꾸미기입니다. 윈에서는 처음에 뭘 어떻게 설치해야 하고 또 뭐가 필요한지 몰라서 해멜 때, 가장 실질적인 도움이 되어 준 싸이트입니다. LaTexCAD 사용하기도 있는데, 내부적으로는 링크가 되어 있지 않더군요. 아무튼, 상당히 친절하고 자세하게 차근차근 설명해 주시는 스타일이, 과외 선생님으로는 아마 연중 상종가를 기록하시는 분이 아닐까 합니다 :-)
http://my.dreamwiz.com/konghoon/ 이공훈 님의 메타 포스트 활용 강좌입니다. 윈에서의 LaTex의 활용 역시 아주 상세하게 설명해 주고 계십니다만, 아무래도 메타 포스트처럼 흔히 찾아 보기 힘든 내용이 더 구미가 땡기는 법이지요.
http://bukak.seokyeong.ac.kr/~nomos/index.html 김도현님의 홈페이지입니다. 법학과 교수님이신데 LaTex 이야기 보다는 그 페이지에 있는 다른 이야기들이 더 흥미롭더군요. --Xanadu
http://free.kaist.ac.kr/ChoF/ ChoF's TeX Archive
http://www.sci.usq.edu.au/staff/robertsa/LaTeX/latexintro.html Tony Roberts의 from quick and dirty to style and finesse
http://www-h.eng.cam.ac.uk/help/tpl/textprocessing/ Text Processing using LaTeX
http://www.icmm.csic.es/Fagullo/w3latex.htm world wide web sites on LATEX of Fernando Agulló-Rueda

3 # 프레젠테이션 관련[ | ]

LaTex Beamer 최근에 주로 사용하고 있는 물건!!
FoilTex PPower4와 함께 세트 메뉴로, 근자에 제가 가장 즐겨 사용하고 있습니다. 무엇보다도 사용이 쉽고(처음 foil이라는 패키지의 존재를 알고 나서 PPower4로 \pause 효과 넣는데까지 걸린 시간이 한 5시간이라고 할 때, 그 중 내용 만드는 데 들어간 시간이 한 4시간 ~ 4시간 30분 정도...?), 결과물이 깔끔하다는 것이 최대 장점이지요. 궁금하시면 혹은 일단 땡긴다 싶으시면 우선 실제 사용례를 보고 판단하세요.
PPower4 Pdf Presentation Post Processor로, 요즘 제가 한창 사용하고 있는 FoilTex과 연동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추가적인 콤파일을 통해 플래시 효과를 주는 데 사용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저야 사용하는 거라고 해봤자 기껏해야 \pause 정도이지만, 그 외에도 기능들이 꽤 있는 것 같습니다.
Prosper 기존의 세미나 클래스를 기반으로 좀 더 다양한 모습이 추가된, 프레젠테이션 용 레이텍 클래스입니다. 전 사용해보질 않아서 잘 모르겠습니다만, 사용자들의 평들은 아주 좋은 것 같습니다.
ifmslide 많은 사람들이 가장 강력하게 추천하는 게 바로 얩니다. pdfslide의 업글 버전이라고 생각하면 딱 좋을 것 같습니다. 아무런 편견도 없는 상태라면, 이걸 첫경험의 대상으로 해 보시는 게 좋을 듯.
TeXPower TeXPower is a bundle of style and class files for creating dynamic online presentations with LaTeX.
MagicPoint X11에서 사용할 수 있는 공짜 프레젠테이션 도구입니다. 처음에는 의욕적으로 써 볼 생각이었습니다만 약간 거추장스러운 것 같아서 그만 두었습니다. 따라서 별로 아는 바 없음 :-)

4 # LaTex 환경, GUI, 그래픽 관련[ | ]

Integre techexplorer IBM techexplorer를 승계한 아해들. 이런 애들은 정말 상을 줘야 하지 않나요?
LyX 맥용은 LyX for Mac OS X를 참조하세요. 설치부터 사용까지 간단하게 따라할 수 있습니다.
preview-LaTex 이맥스 사촌들(저는 Xemacs를 애용하고 있습니다.)을 에디터로 사용할 경우, 얘네들의 내부 버퍼를 이용해 수식이나 그림을 직접 보면서 편집할 수 있도록 도와 준다고 합디다. LyX를 사용하면 그만이지만, Win에서 LyX를 쓰려면 CygWin이 필요하기 때문에 좀 번거롭지요. 사실 제 경우는 십중팔구 수식이 훨 중요하기 때문에 홍석호 님의 Math'n Table을 사용하고 있고, 그것으로 대만족이기 때문에 이걸 사용해 본 적은 없습니다.
GNU TeXmacs a free scientific text editor, which allows you to write structured documents via a wysiwyg and user friendly interface : 익숙해 지려 노력 중 -_-a 아직은 윈 용은 없는 듯.
PSTricks 포스트 스크립트의 기능을 야메로 사용가능하게 해 놓았다고 생각하면 가장 쉽게 이해하실 듯. 따라서 ps의 그래픽 기능도 사용이 가능하답니다.
pdftricks pdfTex에서 PSTricks 코드를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 주는 레이텍 패키지입니다.
ImageMagick 여러 기능이 있는 아담한 그림 편집기(?)입니다만, 저는 주로 이미지매직 안에 들어있는 convert를 이용해 TIFF, JPEG, PNG, PDF, PhotoCD, GIF 등을 eps로 바꾸는 데 사용하고 있습니다.
netpbm 사용법을 익히기가 귀찮아 저는 사용해 보지 않았습니다만, 능력있는 분들은 상당히 믿고 쓰시는 듯한 눈치입니다.

5 # 화학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package나, LaTex과 연동하여 사용하는 프로그램들[ | ]

PPCHTEX Upload:mp-ch-en.pdf
XyMTeX Japanese pages, or refer to this page unless you can read Japanese
Chemeq Chemeq : a chemical equation parser
BioTeX Project TeXtopo 같은 아해들을 탄생시킨 생화학/생물학 관련 레이텍 팩키지 제작 프로젝트
ChemTool a small program for drawing chemical structures on Linux and Unix systems using the GTK toolkit under X11

6 # 기타 유용한 package나, LaTex과 연동하여 사용하는 프로그램들[ | ]

Dia 간단히 말해, GNU판 Visio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물론, 비지오에 비해 다소 엉성하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습니다만, 이 정도면 보고서나 논문 용으로 그려야 할 도표 정도는 충분히 커버할 수 있습니다. eps로 export해서 LaTex과 연동시켜 문서를 만들면 아주 쌈박하답니다.
Xfig 리눅서들에게 가장 널리 알려진 그림 툴이지요. 자바로 손을 댄 jfig은 윈에서도 별 까다로운 불평없이 잘 돌아 간다고들 하던데 저는 써보지를 않아서리...사실 맘만 먹으면 일러 정도는 너무 쉽게 들어 오는 게 현실인지라 그 쪽으로 손이 뻗치는 걸 주체할 수가 없는게 인지 상정이라고 할 수도... :-)
Mayura Draw 윈 상에서의, svg나 eps를 위한 일러라고 생각하면 될 듯. 사실 그냥 일러 쓰면 다 해결되는 문제이긴 합니다만...
MetaGraf MetaPost의 GUI front end. 일러만 못한 거야 어쩔 수 없지만, 이공계 아해들이 레포트 제출하는 데는 거의 문제가 없을 것 같습니다. 나름대로 깔끔하군요. 단, JAVA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java VM이 필요합니다. 윈 용도 있습니다.
Scientific WorkPlace 상용이라서 조금 거시키니 합니다만, 요즘은 이걸 한 번 써볼까 하고 있습니다. 학생용은 나름대로 적당한 가격대라서 구매까지 생각을 해 보고 있는 중...주로, 수학과, 경제학과, 물리학과, 화학과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도 구매가 가능하더군요. Mac에서 사용하는 ScientificAssistant 와 유사한 거시기이지 싶습니다.
UltraTex 이맥스를 사용하는 분들은 많이 사용하고 계십디다: Ultra-TeX mode is a major mode for editing TeX documents. It features dynamic completion (see section Completion) of TeX commands, and a number of other handy things.
FeynmanGraph 윈도우 상에서 파인만 다이어그램을 그려서 ps 파일로 저장할 수 있습니다.
MusiXTex Werner Icking Music Archive에서 관리(?)하고 있는 뮤지테흐입니다. 음대 친구들은 MuX2d와 함께 사용하는 것 같습디다.
HieroTeX Tex-package by S. Rosmorduc which allows you to type hieroglyphs in Latex

Back to SonDon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