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8s 헤드리스 서비스

1 개요[ | ]

k8s Headless Services
k8s 헤드리스 서비스
  • 때때로 로드-밸런싱과 단일 서비스 IP는 필요치 않다.
  • 이 경우, "헤드리스" 서비스라는 것을 만들 수 있는데, 명시적으로 클러스터 IP (.spec.clusterIP)에 "None"을 지정한다.
  • 쿠버네티스의 구현에 묶이지 않고, 헤드리스 서비스를 사용하여 다른 서비스 디스커버리 메커니즘과 인터페이스할 수 있다.
  • 헤드리스 서비스의 경우, 클러스터 IP가 할당되지 않고, kube-proxy가 이러한 서비스를 처리하지 않으며, 플랫폼에 의해 로드 밸런싱 또는 프록시를 하지 않는다. DNS가 자동으로 구성되는 방법은 서비스에 셀렉터가 정의되어 있는지 여부에 달려있다.
셀렉터가 있는 경우

셀렉터를 정의하는 헤드리스 서비스의 경우, 엔드포인트 컨트롤러는 API에서 엔드포인트 레코드를 생성하고, DNS 구성을 수정하여 서비스 를 지원하는 파드 를 직접 가리키는 레코드 (주소)를 반환한다.

셀렉터가 없는 경우

셀렉터를 정의하지 않는 헤드리스 서비스의 경우, 엔드포인트 컨트롤러는 엔드포인트 레코드를 생성하지 않는다. 그러나 DNS 시스템은 다음 중 하나를 찾고 구성한다.

  • ExternalName-유형 서비스에 대한 CNAME 레코드
  • 다른 모든 유형에 대해, 서비스의 이름을 공유하는 모든 엔드포인트에 대한 레코드

2 같이 보기[ | ]

3 참고[ | ]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