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TTP status codes, HTTP response codes, HTTP code
- HTTP 상태 코드, HTTP 스테이터스 코드, HTTP 응답 코드, HTTP 오류 코드; HTTP 코드
1 목록[ | ]
번호 | 영어설명 | 한국어설명 | 비고 |
---|---|---|---|
1XX 정보 | |||
100 | Continue | 계속 | |
101 | Switching Protocols | 프로토콜 전환 | |
2XX 성공 | |||
200 ★★★ | OK | 오류없이 전송 성공 | |
201 | Created | 생성 완료 | 예: Elasticsearch API - Document 생성 |
202 | Accepted | ||
204 | No Content | 문서에 내용이 없음 | |
206 | Partial Content | 일부분 | 예: wget 이어받기 |
3XX 리다이렉트 | |||
301 ★★ | Moved Permanently | 영구 이동됨[1] | |
302 ★ | Found | ||
4XX 클라이언트 오류 | |||
400 | Bad Request | 서버가 이해할 수 없는 요청 | |
401 | Unauthorized | 권한 없음 | |
403 ★ | Forbidden | 접근금지(권한 없음) | |
404 ★★★ | Not Found | 요청한 페이지가 없음 | |
405 | Method Not Allowed | ||
406 | Not Acceptable | ||
408 | Request Timeout | 요청 타임아웃 | |
409 | Conflict | ||
414 | URI Too Long | URI가 너무 긺 | |
415 | Unsupported Media Type | 지원하지 않는 미디어 타입 | |
419 | Page Expired (라라벨 프레임워크) | CSRF 토큰 누락(또는 만료) | |
422 | Unprocessable Entity | ||
429 | Too Many Requests | ||
451 | Unavailable For Legal Reasons | 법적 이유로 이용불가 | |
5XX 서버 오류 | |||
500 | Internal Server Error | 서버 내부 오류 ★ | |
503 | Service Unavailable | 서비스 사용불가[2] ★ | |
504 | Gateway Timeout | 게이트웨이 타임아웃 |
2 같이 보기[ | ]
- HTTP 상태 코드 네줄 요약
- HTTP 요청, HTTP 응답
- XMLHttpRequest
- HTTP 헤더 필드
- 아파치 도메인 넘겨주기
- varnish 도메인 넘겨주기
- REST 관련 HTTP 상태 코드
- HTTP 404
- HTTP
- 코드
- 함수 get_http_code()
3 참고[ | ]
- http://en.wikipedia.org/wiki/List_of_HTTP_status_codes
- http://support.google.com/webmasters/bin/answer.py?hl=ko&answer=40132
- https://developer.mozilla.org/en-US/docs/Web/HTTP/Response_codes
- http://www.restapitutorial.com/httpstatuscodes.html
- http://www.restpatterns.org/HTTP_Status_Codes/422_-_Unprocessable_Entity
- https://docs.microsoft.com/ko-kr/troubleshoot/iis/http-status-code
편집자 Jmnote
로그인하시면 댓글을 쓸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