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reen Accounting 환경회계[ | ]
출처: LG경제연구원
환경 관련 활동에 소요된 비용과 이에 따른 경제적 효과를 금액으로 환산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관리회계의 한 영역이다.
환경 경영에 대한 기업들의 관심이 날로 커지고 있다. 기업의 환경 관련 사회적 책임이 강조되고 있다는 사실 이외에 환경 친화적인 기업일수록 시장에서 더 높은 평가를 받는 다는 실증분석 결과에 영향을 받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시점에서 환경 회계(Green accounting)가 주목을 받고 있는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한 것이라 할 수 있다.
환경 회계는 환경오염 예방 및 폐기물처리 등에 소요된 비용과 이에 따른 경제적 효과를 금액으로 환산하여 관리하는 관리회계의 한 영역에 포함된다. 환경 관련 비용 지출이 해마다 증가하고 있는 시점에서 환경 관련 활동 및 그에 소요되는 비용을 체계적으로 파악, 관리해야 할 필요성이 커진 것이다.
기업 경쟁력 강화에 도움
선진기업들은 1990년대 초반이후 환경 회계를 도입하여 기업 이미지 개선과 비용절감 효과를 누리고 있다.
일본의 경우, 지난 98년 이후 후지쯔를 선두로 도요타, 소니 등 주요 기업으로 환경 회계의 도입이 확산되고 있다. 도입한 일부기업은 환경 회계상으로 이미 흑자를 내고 있다. 환경 관련 투입 비용보다 그에 따른 혜택을 더 많이 보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후지쯔는 장부상 흑자를 기록하면서 환경에 대한 투자가 단순히 비용지출을 뜻하지 않음을 보여주고 있다. 2001년 환경 관련 비용은 약 2억엔, 그로 인한 비용절감 규모는 약 2억 4천만엔에 이르렀다. 결국 환경 회계를 도입하여 약 4천만엔의 흑자를 기록한 것이다. 후지쯔는 환경 회계의 도입을 통해서 기업 이미지를 개선할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기업 경쟁력도 강화할 수 있었다.
아직 환경 회계상으로는 적자를 면치 못하고 있지만 기업 이미지를 크게 개선시킨 사례도 있다. 도요타는 2001년 환경 관련 비용 지출 규모가 무려 950억엔, 반면 이에 따른 비용 절감 규모는 고작 44억엔이었다. 숫자상으로는 어마어마한 적자 규모이지만 이를 통해 일본 최대 자동차 기업으로서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 있다는 기업 이미지를 시장에 전달할 수 있었다.
석유정제회사인 Amoco사는 그 동안 영업비용의 3% 수준의 사소한 비용으로 관리되었던 환경 비용이 실질적으로 영업비용의 22%에 달하는 중요한 비용이라는 점을 환경 회계 도입을 통해서 파악할 수 있었다.
대비책 마련 시급
환경 회계를 도입할 경우 기대되는 이점으로는 크게 세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환경 관련 비용을 구성하고 있는 세부적인 내역을 파악할 수 있어 환경 관련 활동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환경 관련 활동의 직접적인 통제와 관리는 기업의 수익성과 생산성 향상으로 연결된다.
둘째, 환경 관련 비용의 지출과 그에 따른 효과를 상시 관리해나감으로써 환경 관련 활동의 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비용 지출이 예상했던 기대효과를 거두고 있는 지를 지속적으로 점검해 나감으로써 환경 관련 활동의 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환경 경영의 중요성에 대한 전사적인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다.
셋째, 기업의 환경 관련 회계 정보를 대외적으로 공개하여 기업의 환경 친화적인 이미지를 제고할 수 있다. 이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강조되고 있는 시점에서 환경 친화적인 이미지 제고는 곧 기업의 가치 향상으로 이어진다.
우리나라의 경우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날로 강조되고 있다. 하지만 환경경영의 성과에 대해 정량적으로 비교, 분석할 수 있는 평가방법의 정립은 미흡한 실정이다. 기업 경쟁력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경영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시점에서 적극적인 대비책 마련이 시급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