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스마트워크 (Daum SmartWork)
- (구명칭) 다음 도메인 서비스[1]
1 개요[ | ]
- 특이사항
- 도메인 계정 1개당 Daum 계정 1개 필요.
- Daum ID는 개인당 5개 까지 만들 수 있으므로, 개인용 Daum ID와 도메인 서비스용 Daum ID를 구분하여 사용가능.
- IMAP과 POP3 가능하므로 네이버, 네이트, 구글 메일과 연동가능.
2 사전작업[ | ]
- 자신이 보유한 도메인을 사용해야 한다. (본 문서 예시에서는 example.com)
3 신청 메뉴 가기[ | ]
- http://mail.daum.net 접속
- 다음 로그인
- 왼쪽 메뉴에서 [도메인서비스] 클릭 (아래 그림 참조)
4 서비스 신청[ | ]
- 하단 [신청하기] 클릭[4]
- 본 예시에서는 기업/기관용을 선택했다.[5]
- 기업/기관 도메인 신청
- 도메인: example.com --- 다음 단계
- 기업/기관 도메인 신청
다음과 같은 정보들을 입력한다.
- 조직명
- 이메일 주소: admin[6]
- 이름: 관리자[7]
- [V] 위 약관에 동의하며, 도메인 서비스를 이용합니다.
- [V] 위와 같이 개인정보 수집, 이용에 동의 합니다.
- [다음단계]
- 도메인 소유권 확인 및 MX설정
MX서버주소와 우선순위를 아래와 같이 설정하라고 한다.
text
Copy
ASPMX.daum.net. 10
ALT.ASPMX.daum.net. 20
(이 내용은 자신의 Daum 메일로도 발송된다)
5 MX레코드 설정[ | ]
실제 설정은 호스팅 업체마다 UI가 다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 http://daummail.tistory.com/345 글을 참고하시라. )
호스팅 설정 중 DNS 관리에서 해당 도메인을 선택하면 MX 관리로 들어갈 수 있다. MX관리 메뉴에서 위 내용대로 MX레코드 값 2개를 추가하면 된다.
6 MX레코드 확인[ | ]
- [시작] --- cmd ↵ Enter
Console
Copy
C:\Users\zetawiki>nslookup
기본 서버: google-public-dns-a.google.com
Address: 8.8.8.8
> set type=mx
> example.com
서버: google-public-dns-a.google.com
Address: 8.8.8.8
권한 없는 응답:
example.com MX preference = 20, mail exchanger = ALT.ASPMX.daum.net
example.com MX preference = 10, mail exchanger = ASPMX.daum.net
> quit
C:\Users\zetawiki>
7 도메인 서비스[ | ]
위에서 MX 설정이 제대로 되었다면 곧바로 확인이 가능하다.
- Daum 메일 --- 도메인 서비스 --- 서비스 관리 탭
- "이용중인 서비스 내역"에 해당 도메인이 나타난다.
8 SPF 설정[ | ]
Daum의 도움말에 따르면, 메일을 받는 서버 측에서 SPF 설정 안된 메일을 스팸처리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SPF 설정을 해주는 게 좋다고 한다. 방법은 MX레코드 설정과 유사하다. 호스팅 설정 중 DNS 관리에서 해당 도메인을 선택하면 SPF 관리로 들어갈 수 있다.
아래 SPF 값을 추가하자.
text
Copy
v=spf1 include:_spf.daum.net ~all
9 같이 보기[ | ]
10 참고[ | ]
편집자 Jmnote Jmnote bot Wikictp
로그인하시면 댓글을 쓸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