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KA SimB - Q5 Kubectl 정렬

1 개요[ | ]

kubectl 출력 정렬 활용
  • kubectl get 명령에서 --sort-by 옵션을 활용하여 리소스를 원하는 필드 기준으로 정렬하는 방법 실습
  • Pod 리소스를 예시로 하여 생성 시각(metadata.creationTimestamp) 또는 UID(metadata.uid) 기준 정렬

2 생성 시각 기준 정렬[ | ]

  • 모든 네임스페이스의 Pod를 생성 시각 순으로 정렬
  • 오래된 리소스부터 출력됨
# k get pod -A --sort-by=.metadata.creationTimestamp
NAMESPACE     NAME                                 READY   STATUS    RESTARTS   AGE
kube-system   etcd-cka8448                         1/1     Running   0          2h
kube-system   kube-apiserver-cka8448               1/1     Running   0          2h
default       web-app-deploy-6c8fd896dd-abcde      1/1     Running   0          90m
...

3 UID 기준 정렬[ | ]

  • UID는 리소스 고유 식별자로, 내부적으로 정렬 시 unique key로 활용 가능
# k get pod -A --sort-by=.metadata.uid
NAMESPACE     NAME                                 READY   STATUS    RESTARTS   AGE
default       app-test-75fdc9876f-lwxyz            1/1     Running   0          45m
default       app-test-75fdc9876f-nopqr            1/1     Running   0          45m
kube-system   kube-proxy-h9s7w                     1/1     Running   0          2h
...

4 자동화 스크립트 작성[ | ]

  • /opt/course/5 경로에 bash 스크립트로 저장
# cat /opt/course/5/find_pods.sh
k get pod -A --sort-by=.metadata.creationTimestamp
# cat /opt/course/5/find_pods_uid.sh
k get pod -A --sort-by=.metadata.uid

5 실행 결과 확인[ | ]

  • 각각 실행하면 정렬된 결과 출력
# sh /opt/course/5/find_pods.sh
# sh /opt/course/5/find_pods_uid.sh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