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 ]
- 물질의 성질, 구조, 조성, 변화, 상호작용을 연구하는 자연과학의 한 분야
- 어떤 용도에 적합하도록 이미 존재하는 물질을 이용하거나 원하는 성질을 설계·합성할 수 있는 방법 제시
- 정의상 핵에서 플라즈마, 고체 결정에 이르는 모든 수준의 물질을 다룰 수 있으나, 대개는 분자 수준의 물질을 다룸
- 고대·중세의 연금술, 근세의 자연철학과 자연사에 뿌리를 두고 있음
-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서비스 분야로 자리잡음
- 대표적인 응용 분야: 재료공학, 화학공학, 에너지 기술, 환경공학, 생명공학, 농학, 의약학
2 주요 개념[ | ]
3 하위 분야[ | ]
- 목표에 따른 분류: 이론화학(≈물리화학), 분석화학, 합성화학
- 물질의 종류에 따른 분류: 유기화학, 무기화학 등
- 물리화학의 하위 분야: 광화학, 전기화학 등
- 응용 분야: 생화학, 환경화학 등
4 같이 보기[ | ]
5 참고[ | ]
- http://en.wikipedia.org/wiki/Chemistry
- http://terms.naver.com/entry.nhn?cid=200000000&docId=1155302&categoryId=200000461
- Brown, T. et al. 2018. Chemistry: The Central Science. 14th ed. Pearson Education Ltd.
- 화학과 그 응용 전반에 관해 폭넓게 다루고 있는, 대학교 1학년 수준의 좋은 입문서
- Zumdahl, S. et al. 2018. Chemistry. 10th ed. Cengage Learning.
- 일반화학의 전통적인 커리큘럼에 따라 물리화학적 이론을 중심으로 구성한 대학교 1학년 수준의 좋은 입문서
- Do, C.(순천대 도춘호 교수) & Ravlath, A. (eds.) 2017. Chemistry: Our Past, Present and Future. Pan Stanford Publishing Pte. Ltd.
- 응용화학의 역사에 관해 폭넓게 다룬 교양서이자 개론서
편집자 LjRsACh8m Jmnote Fmbus3355
로그인하시면 댓글을 쓸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