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동 표본 검사

1 개요[ | ]

behavioral sample test
행동 표본 검사
  • 인지능력이나 성격을 알아보기 위해 행동표본을 뽑아서 검토하는 검사
  • 일상환경, 고용환경, 교육환경에서의 의사결정에 관계된 개인의 사회적 기술 및 행동방식에 대한 체계적이고도 표준화된 분석을 제공하기 위한 검사도구
  • 예컨대 대인기술, 발표기술, 글쓰기의 기술, 예술표현에 관계된 기술 등에 대한 검사도구가 그렇다.
  • 산업체나 군대에서는 업무표본이라는 검사도구가 종종 사용되고 있다.
  • 위와 같이 정의되는 검사의 범위와 형태를 기준으로 할 때, 개인생활의 중요문제는 물론 조직체의 활동방향이나 중요문제를 결정짓는 데 심리검사는 필연적으로 관여하고 있다.
  • 입학시험, 사법고시를 비롯한 각종 공무원시험, 입사 시에 치르는 전공시험이나 적성검사, 상담 시의 성격검사, 흥미검사, 이상에서 쓰이는 각종 심리진단용 검사, 아동이나 성인들을 위한 지능검사, 직장에서의 인사고과에 쓰이는 근무태도 평정이나 영업성적평가, 훈련이 끝난 후의 성취도 측정, 각종 여론조사를 위한 설문지, 정치가에 대한 인기도의 설문, 정책에 대한 국민의 의견설문, 자연보호나 환경보호에 대한 지역사회주민의 호응태도에 대한 설문, 어느 복지기관에서 발생한 성폭행 실태에 대한 면접 설문 등등 헤아릴 수 없이 많은 심리검사를 알게 모르게 실시하거나 권장하고 있다.
  • 특히 구조화된 과제에는 표준화된 능력검사 이외에도 학력고사, 대학수학능력시험, 취직시험 등도 포함된다.

2 같이 보기[ | ]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