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방 전후사 연표

(해방전후사연표에서 넘어옴)
해방전후사 연표
 1945  7.29   # 포츠담 선언.** 6   # 미군, 일본 히로시마에 원폭 투하.
    • 8 # 소련군, 두만강 넘어 경흥 일대로 진격.
    • 9 # 미군, 일본 나가사끼에 원폭 투하.
        # 소련, 대일선전포고.
 8.12   # 소련군, 나진.청진 점령.  8.14   # 일본정부, [포츠담]선언 수락.  8.15   # 일본, 연합국에 항복.
        # 여운형중심, 조선건국준비위원회 결성(위원장 여운형, 부위원장 안재홍 장덕수)
 8.16   # 蘇軍 入京說로 10만 민중 서울역에 환영마중.
        # 장안파 조선공산당 부활.         # 좌우익을 망라한 여성운동가들이 조직한 '건국부녀동맹' 창설(YMCA).
 8.17   # 平南건국준비위원회 결성 (위원장 조만식)
        # 敗戰日軍, 서울 要地에 바리케이트 설치.         # 치안대, 보안대, 학도대 결성.
 8.18   # 아베 日총독, 건준에 대한 행정권이양 취소 발표.
        # 김일성, 군사정치간부들에게 [해방된 조국에서의 당.국가 및 무력건설에 대하여]를 연설.
 8.19   # 日경찰, 한국인 시위 및 정치운동 금지, 탄압.  8.20   # 소련군 사령관 치스차코프장군, 조선인민에게 첫 포고.
        # 박헌영 등 공산당 재건협의회(再建派) 결성.         # 소련군, 元山 상륙.         # 日軍, 종로에 기관총대 설치.
 8.21   # 건준, 선언과 강령 발표.  8.22   # 일본군, 물자소각으로 민심 흥분.
        # 소련군, 평양에 진주 보고.
 8.23   # 건준, 부서 결정.  8.24   # 평양에 소련군사령부 설치.
        # 咸南인민위원회 조직 이어 各道 인민위 조직.         # 일본군, 군수품열차 폭파.
 8.25   # 미소 양군의 북위 38도선 분할점령을 미국에서 방송.
        # 소련군, 38선 일대 배치 완료.
 8.27   # 소련군 사령부명령으로 평남건준 해체하고 평남정치위원회로 개편.  8.29   # 소련군, 개성 진주.
        # 국군준비대 결성.
 8.31   # 건준위, 전원 사표 제출.
    • 1 # 조선국민당 결성(위원장 안재홍), 강령 [우리는 중경에 있는 대한민국임시정부를 절대 지지한다]
        # 대한민국 임시정부 환국환영준비위 조직.
    • 2 # 공산주의열성자대회 개최, 장안파 공산당 해체론.
        # 맥아더, 북위 38도선을 경계로 미.소 양국군 조선 분할 점령 정책 발표.
    • 5 # 미24군단 선발대 37명 김포 도착.
    • 6 # 건준, '조선 인민 공화국' 수립 선포.
    • 7 # 미 극동사령부, 남한에 군정 선포.
    • 8 # 하지중장 휘하 미24군단 인천상륙.
    • 9 # 남한에 미 군정 실시 포고(군정 장관 아놀드 소장 임명) 9.13 # 각지의 건준 지부, 인민위원회로 전환 시작. 9.16 # 38도선 이북 조선인민정부 수립에 대한 요강을 소련정치지도국에서 발표.
        # 한국민주당 결성(수석총무 송진우).
 9.21   # 북한, 소작료 3.7제 실시.  9.22   # 미군, 점령지역내에서의 토지소유 무변동을 발표.  9.25   # 미 군정, 일본 정부 및 일본인 재산을 미 군정 소유로 함.  9.28   # 국내파 공산당의 대표적 인물인 현준혁, 피살.
  • 7 # 건준, 발전적 해체. 10.10 # 아놀드 군정장관, 조선인민공화국 부인 성명.
        # 조선공산당 서북5도책임자 및 열성자대회 열림
          (김일성, <북조선민주기지 창설노선> 제시).
10.13   # 북한, 조선 공산당 북조선 분국 설치. 10.14   # 김일성, 평양 환영 군중 대회에 처음으로 모습을 드러냄. 10.16   # 이승만 환국. 10.20   # 빈센트 미국무부 극동부장 내한, 한국신탁관리 의사 천명. 10.25   # 독립촉성중앙협의회(이하 독촉) 결성 (총재 이승만) 10.26   # 정당 사회단체연합으로 신탁통치 반대 성명. 10.28   # 북한의 5도 인민위원회, 5도 행정국으로 정식 발족. 10.30   # 미군정, 패.태업 등 노동쟁의를 허용.
  • 3 # 북한에서 결성된 정당(당수 조만식, 부당수 이윤영 최용건).
  • 5 # 조선 노동조합 전국 평의회의(전평) 결성(전국의 1194개 노동조합 대표 참석)
  • 7 # 함흥에서 반공학생폭동 발생.
11.10   # , 인민공화국에 우호적이라는 이유로 미군정에 의해 정간. 11.12   # 여운형을 중심으로한 '조선인민당' 결성. 11.15   # 남원사건 발생, 인민위원 석방을 요구하는 사람들에게 경찰이 발포. 11.23   # 중경 임시 정부 제1진(김구 등), 개인 자격으로 귀국.
        #  복간.         # 신의주 반공학생 폭동.
11.25   # 의 후신인  간행. 11.27   # 김구, 여운형 허헌 등과 회담. 인공내각에 불참 표명. 11.30   # 북한, 김구 등 임정요인 귀국을 보도하였다고하여 평양민보 停刊.
  • 1 # 조선독립동맹 김두봉 최창익 무정 등 입북.
        #  복간.
  • 8 # 전국 농민 조합 총연맹(전농) 결성.
  • 9 $ 베트남, 호지명이 베트남민주공화국 건설. 12.11 $ 중국, 국공내전 시작. 12.15 # 모스크바에서 영, 미, 소 3국 외상회담 개막. 12.24 # 조공, 독촉과 絶緣 발표. 12.27 # 모스크바 미.영 .소 삼상회의에서 한반도 처리를 위한 '삼상 회의 결정안' 확정. 12.29 # 임정 주도, 탁치 반대 국민 총동원 위원회 구성. 12.30 # 송진우 피살. 12.31 # 朝鮮人民報, 테러단에 피습. 1946
    1. 2 # 조선 인공 중앙인민위원회, 연합국에 모스크바결정에 대하여 감사의 메시지 발송.
        # 공산당 중앙위원회, 신탁지지 선언.
 1.13   # 좌익계 23단체, 삼상회의 결의를 지지하는 공동성명서 발표.  1.15   # 대한민국의 모체인 '남조선국방경비대' 창설.  1.16   # 미소공위 예비회담(덕수궁 석조전).  1.25   # 미정부, 조선의 신탁통치 포기 가능성 시사.
        # 미곡 수집령 발표.
    1. 1 # 미곡수집령 발동, 1가마당 120원으로 강제수매.
        # 임정.이승만 주도로 비상국민회의 결성.
    1. 8 # 북조선, 임시인민위원회 수립 (위원장 김일성, 부위원장 김두봉)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결성(총재 이승만 부총재 김구).
 2.14   # 미군정 사령관의 자문기관인 남조선 민주의원 발족.  2.15   # 남한의 삼상회의 결성안 지지 세력, '민주주의 민족 전선' 결성
          (의장 여운형 박헌영 허헌 김원봉).
 2.21   # 미군정 법령 제52호로 미군정청의 토지관리회사인 신한공사 설립.
    1. 1 # 3.1운동기념행사, 우익은 서울운동장에서, 좌익은 남산공원에서 분리거행.
    2. 5 # 북한, 임시인민위원회에서 토지개혁법령 발표. 3.10 # 이승만 지지 청년 세력, 전평 타도를 목적으로 대한 독립 촉성 노동 총동맹(대한노총) 결성(15개 직장 대표 48명 참석) 3.20 # 제1차 미소공동위원회 개막(덕수궁)
    3. 8 # 이승만, 남한단독정부 수립설에 대한 견해 발표.
        # 쌀배급 1인 1일 1홉으로 결정.
    1. 1 # 메이데이 기념 행사.
    2. 6 # 제1차 미소공위 결렬. 5.15 # 미군정, 정판사 위조지폐 진상 발표. 5.16 # 조선공산당, 공보부의 정판사 위폐사건 관련 부인 성명. 5.18 # 조공본부 수색, 해방일보 정간처분, 정판사 폐쇄. 5.23 # 민간인의 38선 무허가 월경을 금지.
    3. 3 # 이승만, 남한임시정부 수립과 민족주의 통일기관 설치 필요성 주장(정읍발언). 6.19 # 군정청, 국립서울종합대학안(국대안) 발표. 6.24 # 북한, 8시간 노동내용의 '노동법령' 발표. 7.12 # 북한, 북조선 민주주의 통일 전선 결성. 7.17 # 이북으로의 航行을 금지. 7.26 # 조공, 박헌영의 '신전술'(정당방위의 역공세) 채택.
          ① 적극적 공세로의 전환       ② 반미운동의 적극화           ③ 북조선과 같은 제반개혁의 요구   ④ 인민위원회에 정권인계 요구
 7.29   # 북한, 북조선 공산당과 신민당의 합당으로 '북조선 노동당' 결성.  7.30   # 북한, '남녀 평등 법령' 발표.
    1. 4 # 조공, 인민당 합당제의를 수락. 8.10 # 북한, 산업 국유화 법령 발표. 8.24 # 법령 제108호로 조선과도입법의원 창설을 공표. 8.28 # 붑조선 노동당 창립대회.
    2. 6 # 좌익계 신문인 현대일보, 인민보, 중앙신문 등의 3개 신문이 포고령 위반으로 정간당함.
    3. 7 # 경찰, 조공 비밀서류 압수.
        # 朴憲永, 李康國, 李舟河 등을 지명수배.
 9.13   # 전평, '9월 총파업' 주도.  9.14   # 서울 철도국의 경성공장 노동자들, 파업.  9.23   # 부산 철도노동자들의 파업을 선두로 전 철도종업원 4만명 총파업.  9.25   # 출판노조와 대구우편국 종업원 파업.  9.27   # 서울중앙우편국과 중앙전화국 종업원등이 전평산하 각 산별노조원이 파업에 합류.
  • 1 # 대구에서 폭동사건 발생, 노동자 학생 폭동, 11월까지 전국에 파급.(3,700명 체포, 16명 사형)
  • 2 # 대구 노동자 학생의 경찰서 점거로 계엄령, 경찰관 사망 20명, 중경상 50명, 행방불명 30명.
  • 3 # 경북 일대에 긴장 고조, 경찰관 피살자 53명.
  • 7 # 좌우합작위, 합작 7원칙에 합의.
  • 3 # 북한, 도시별 인민위원회 선거. 11.23 # 좌익3당 통합강경파, 南朝鮮 勞動黨 결성(위원장 허헌, 부위원장 박헌영 이기석) 11.28 # 이승만, 국내운동 실패로 독립문제를 세계에 호소하겠다고 渡美이유 설명.
  • 1 $ 제1차 유엔총회.
  • 6 $ 사회주의인터내셔날 결성. 1947
 1.15   # 立法議院, 반탁결의.  1.24   # 임정계, 반탁투쟁위 조직.  1.28   # 社會勞動黨, 이승만 임영신의 南韓單獨政府樹立說을 비난하는 성명 발표.** 7   # 渡美중의 이승만, 남한과도정부수립을 電文으로 발표.
        # 영등포 左右勞組員 충돌로 무장경찰관 출동.
 2.11   # 공민증제 실시.  2.13   # 군정당국, 1946년 미국에서 수입한 식량은 16만톤이라고 발표.  2.20   # 長澤相 청장, 前경찰관에게 生死를 함께 할 것을 맹세하는 포고문 발표.
    • 1 # 3.1절 기념행사, 우익은 서울운동장에서, 좌익은 남산에서 分散 거행.
        # 3.1절 기념식을 마친 좌우익이 충돌하여 경찰 발포로 38명 死傷.
    • 5 # 북한, 面인민위원회 선거 실시. 3.12 # '트루만 독트린' 발표. 3.21 # 미국정부 대변인, 남한단독정부수립계획을 준비중이라고 언명. 3.22 # 越南 피난민 월 평균 1,500명. 3.31 # 하지 中將, 모스크바협정 있는 한 南韓軍政은 不能이라고 언명. 4.16 # 소작쟁위 급증. 4.21 # 이승만 귀국. 5.16 # 共委蘇側 선발대 入京.
        # 공위再開에 대비하여 시내 특별경계.
 5.17   # 行政命令 제 3 호로 미소공위 개회중 정치집회 엄금.  5.21   # 제 2 차 미소공동위원회 개막.  5.22   # 김규식, 애국자는 공위에 협력하라고 각 사회정당에 호소.  5.24   # 북한, 남한 당국에 電力공급비 5백만 달러 청구.
        # 근로인민당 창당(임시의장단 여운형 백남운).
 5.28   # 協議團體 범위에 대한 의견대립으로 미소공위 무기휴회.
    • 3 # 사실상 남조선과도정부 출범. 6.14 # 金日成, 北朝鮮民戰 산하 정당 사회단체열성자대회를 소집하고 조선민주주의 임시정부 수립에 관하여 논의. 6.16 # 臨政樹立대책위 발족. 6.18 # 북한의 각 정당.사회단체, 미소공동위 협의 참가에 관한 청원서 및 선언문 제출.
    • 8 # 미소공동위원회 본회의 개최. 7.10 # 제2차 미소공위 결렬. 7.19 # 呂運亨(勤民黨 당수)피살. 8.12 # 수도경찰청, 좌익계 인물에 대한 대량 검거 시작. 8.19 # 18개 청년단체가 통합하여 大同靑年團 결성.
    • 8 # 소련외상 모로토프, 조선문제 해결을 위한 4大國 회의 개최를 요청한 미국측 제안
          거부.
 9.16   # 이승만, 남한의 총선거 실시 주장.  9.19   # 마샬 미국무장관, 유엔총회에 한국문제 상정을 제의.
10.20   # 미소공위 휴회. 10.22   # 하지 중장, 한국군은 1년 이내에 북한의 침공을 막을 수 있을 만큼 강력해질 수 있다고 미 육군성에 보고.
  • 5 # UN정치위원회, 조선의 총선거 정부수립 등을 위한 UN조선감시위원회 설치안을 가결. 11.12 # 북한의 각 정당 사회단체, 유엔정치위원회의 한국문제 결의를 절대 반대한다는 담화문을 연이어 발표. 11.14 # 유엔총회, 한국 총선안.유엔한국임시위원단 설치안.정부수립 후 양군철회안 가결.
  • 2 # 장덕수 피살.

1948

  1. 6 # 로얄 미육군장관, 미국의 일본 반공군사기지화정책 선언.
  2. 7 # 남한, 의무교육제도 실시.
  3. 8 # 유엔한국임시위원단(UNTCOK) 내한.
  4. 9 # 김일성, 유엔위원단은 북한에 한발도 못들어온다고 언명.
  5. 7 # 좌익계열, 유엔韓委 입국을 반대, '2.7 구국투쟁'을 전개(五臺山 太白山 智異山등)
        # 좌익계 철도 통신 등 종사원, 총파업.
  1. 8 # 북한군(人民軍) 創軍. 2.10 # 김구, 단선 단정 반대하는 [삼천만 동포에 읍소함] 발표.
        # 북한, 조선임시헌법초안 발표.
 2.16   # 북한, 民主人民共和國 수립 선포 방송.  2.26   # 유엔小總會, 가능지역 總選擧案을 가결.
  1. 8 # 김구, 남북 협상 제의. 3.12 # 김구 김규식 조소앙 등 7인의 정치인, 남한단독선거의 불참 표명. 3.16 # 북한 중공, 비밀군사협정 체결. 3.25 # 북한측, 김구가 제의한 남북협상을 수락. 3.27 # 북조선 노동당 제2차 전당대회.
  2. 3 # 제주도 '4.3 민중항쟁' 발생.
  3. 8 # 트루만 美대통령, 戰時動員體制 해제 방침에 따라 駐韓미군 철수 정책 승인. 4.19 # 金九 金奎植, 남북 대표자 연석 회의 참석. 4.20 # 남북한 제정당.사회단체지도자협의회에서 공동성명서 발표, 외국군대의 즉각적인 동시철수 주장.
  4. 5 # 하지 중장, 선거참가 호소성명.
        # 김구 김규식, 평양으로부터 歸京.
  1. 8 # 5.10선거에 대비 미군에 특별경계령. 5.10 # 남한 단독선거 실시(제헌 국회의원 선거). 5.14 # 북한의 送電中斷으로 節電 캠페인 방송. 5.31 # 제헌국회 제1회 국회 개회식.
  2. 1 # 북한 최고 인민회의 대의원 선거 시행 발표. 7.12 # 대한민국헌법, 국회통과. 7.17 # 제헌 헌법 공포. 7.19 # 김구 김규식, 북한측에 남북협상 결과의 이행을 촉구하는 공동성명 발표. 7.23 # 북한, 인공기 제정과 태극기 폐지에 관하여 발표.
  3. 8 # 북한, 최고인민회의 입후보자 등록 완료. 8.15 # 대한민국 수립을 선포(미 군정 폐지) 8.21 # 해주에서 남한지역의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선거를 위해 '남조선 인민대표자회의' 열림 8.24 # 대한민국 대통령과 주한미군사령관 간에 체결된 과도기에 시행될 잠정적 군사안전에 관한 행정협정 조인. 8.26 # 이승만, 하지 중장과 軍事總帥權 이양에 관한 협정에 조인.
  4. 1 # 북한, 총선 실시 및 최고 인민회의 개최.
  5. 7 # 국회, 반민족행위자 처벌법 제정.
  6. 9 # 북한, '조선 민주주의 인민 공화국' 성립 선포. 9.11 # 미군정 관리하의 재정 및 재산에 관한 협약인 '한미간 재정.재산에 관한 협정' 체결. 9.19 # 소련, 북한에서 철병하겠다고 성명. 9.22 # 국회에서 '반민족행위처벌법' 공포. 9.29 # 제헌국회 산하 특별기구인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 설치.
10.19   # 소련철수군 제1진, 평양 출발. 10.20   # 麗水.順川에서 군인 폭동(여순반란 사건) 10.25   # 여수 순천지구에 계엄령 선포. 11.20   # 국가보안법 제정. 12.12   # 유엔총회, 대한민국을 유일 합법정부로 승인. 12.26   # 북한, 소련군은 12월 25일에 철수 완료했다고 발표.

1949

  1. 4 # 駐日대표부 설치.
  2. 8 # 反民族行爲特別委員會 발족.
  3. 9 # 이승만, 反民처단에 신중하라고 담화. 1.27 # 한민당 해체. 2.21 # 반민특위, 反民者 전면 검거 착수. 2.22 # 북한, 訪蘇대표단(단장 김일성) 일행, 모스크바로 향발. 3.23 # 미국, 주한대사 무쵸(Jofn I. Muccio) 임명.
  4. 2 # 주한미군사령부에 최종 철군 명령 하달.
  5. 5 # 監察委, 임영신 상공장관을 賣職사건 관계로 罷免 결의.
  6. 1 # 전국인구조사 실시(남한인구 20,166,758명).
  7. 4 # 개성 송악산에서 인민군과 국군이 치열한 전투.
  8. 5 # 표무원 강태무소령 월북사건 발생.
  9. 8 # 포천군 영중면 일대에서 인민군과 국군의 대대급 전투 진행. 5.20 # 국회 프락치 사건 발표, 李文源 등 국회의원 구속. 5.31 # 국회, 웅진군 일대 인민군과의 충돌사건 調査 緊急議案 가결.
  10. 5 # 市警, 特警隊 해산.
        # 웅진지구 전투사령부 설치.
 6.21   # 농지 개혁법 공포.  6.26   # 북조선, 조국통일민주주의전선 결성대회 개막.  6.29   # 김구 피살.
        # 주한미군 철수 완료, 미군사고문관 5백명 잔류.
 6.30   # 평양시 남.북로당연합위원회 개최, 합당하여 조선노동당으로 발족.
          (위원장 김일성, 부위원장 박헌영)
  1. 6 # 북한, 9.15 남북한총선거안 제시.
  2. 7 # 반민특위조사위원 총사직. 7.13 # 장면 조병옥, 미국서 북한의 총선거 제안을 반박 성명. 7.15 # 개성지구에서 치열한 38선 무장충돌. 7.26 # 美 트루만 괴수, 미국회에 대한무기원조안 제출.
  3. 6 # 洪川 新南지구에서 격렬한 38선 무장충돌. 8.22 # 반민특위 폐지안이 국회에서 통과.
10.16   # 신성모 국방장관, 미군사고문단에 戰車 요청했으나 거절당함. 12.19   # 여러 우익청년단체가 '대한청년단'으로 통합. 12.25   # 중공.북한간 通商友好協定 체결.

1950년

 1.10   # 애치슨 미국무장관, 한국은 미국의 태평양방위선 밖이라고 언명.  1.26   # 한미상호방위원조협정 체결.  3.27   # 남로당 총책 김삼룡 이주하 검거.  4.10   # 농지개혁 실시.  5.30   # 제2대 국회의원선거 (여당인 국민당 패퇴)  6.10   # 평양방송, 조만식과 이주하의 교환을 제의.  6.12   # 한국은행 발족.  6.25   # 한국전쟁 발발.  6.26   # 북한 최고인민회의 상임회의, 김일성을 위원장으로 하는 군사위원회를 구성.  6.28   # 북조선인민군, 서울 함락.* 1   # 유엔군 지상부대, 부산 상륙.
  • 4 # 최고인민위원회 상임위원회, 남한토지개혁실시에 관한 정령을 채택.
  • 7 # 유엔 연합군의 구성.
  • 9 # 맥아더, 주한 유엔 총사령관에 임명. 7.12 # 戰時下 駐韓미군의 지위 및 재판 관할권에 관해 한미간에 협정체결(대전협정). 정식명칭은 [재한 미국군대의 관할권에 관한 대한민국과 미합중국간의 협정] 7.13 # 맥아더의 명령하에 대구에 유엔군사령부 설치. 7.14 # 맥아더에게 한국군의 지휘권을 이양하겠다고 이승만이 서신. 7.16 # 이승만의 서신에 맥아더 승낙. 7.17 # 한국군 지휘권, 한국정부에서 맥아더로 이양. 8.18 # 정부, 부산으로 옮김. 9.15 # 유엔군, 인천상륙작전을 감행. 9.28 # 서울 완전 수복.
10.13   # 유엔군의 평양점령. 10.25   # 중국인민지원군, 한국전쟁에 개입. 10.26   # 한국군 일부가 압록강 근처 초산까지 진격.* 6   # 朝.中 연합군, 평양을 탈환. 12.21   # 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제3차 전원회의 진행. (23일 폐막)
        # 국회에서 국민방위군 설치법 공포.

1951년

  1. 4 # 서울 다시 함락됨.
  2. 1 # 유엔총회, 중국을 침략자로 규정하는 비난결의안 채택. 2.11 # 거창양민학살사건. 3.27 # 문교부 6.3.3.4 新학제 실시. 3.29 # 국회, 국민방위군 사건 폭로. 4.11 # 맥아더, 유엔군 총사령관에서 해임.
  3. 9 # 이시영 부통령, 이승만을 성토하고 사직. 5.15 # 국회, 부통령에 김성수 선출.
 6.23   # 유엔소련대표 말리크, <평화의 가치>방송을 통해 조선문제의 평화적 해결을 주장.  6.30   # 유엔군 총사령관, 북한측에 停戰담판을 제의.  7.10   # 휴전회의 본회담, 개성에서 시작.

1952년

  1. 4 # 국제민주법률가협회, 유엔군의 세균전감행 규탄조사를 위해 조사단을 북한에 파견
  2. 9 # 거제도 공산포로 폭동(도드 준장 납치). 6월 10일에 무력으로 포로소요를 진압. 5.26 # 부산정치파동 발생. 6.22 # 유엔폭격기, 수풍발전소 폭격. 6.25 # 이승만 암살미수사건 발생(유시태 체포).
  3. 4 # 국회, 제3.제4개헌안 발췌 통과(1차개헌, 기립표결 163표 대 0, 기권 3). 7.18 # 중석불사건 국회비화, 조사위 구성.
  4. 5 # 정.부통령선거(대통령 이승만, 부통령 함태영). 8.13 # 근로기준법, 국회 통과.
  5. 1 # 남한, 징병제 실시.
12.15   # 조선노동당 중앙위, 제5차 전원회의 진행, 김일성 연설 [당의 조직적.사상적 강화는 우리 승리의 기초].

1953년

 2.15   # 남한, 긴급통화조치(통화 100대1로 인하, 환 단위 사용).* 5   # 소련수상 스탈린 죽음(후임에 말렌코프).
  • 8 # 노동조합법.노동쟁의조정법.노동위원회법 공포. 5.10 # 근로기준법 공포.
  • 8 # 포로교환협정 조인 6.18 # 정부, 반공포로 석방(2만 5천 명). 7.27 # 판문점에서 휴전협정 조인.
  • 5 # 포로교환 시작.
  • 3 # 이승엽 일파 간첩사건 공판진행.
  • 5 # 노동당 중앙위 제6차 전원회의 진행.
          김일성, [모든 것을 戰後 인민경제 복구발전을 위하여] 보고.
  • 8 # 한미상호방위조약, 서울에서 가조인. 8.15 # 정부, 서울환도.
        # 인민군 최고사령부와 중국인민지원군 사령부에서 종합전과 발표.
  • 1 # 김일성, 소련방문차 평양 출발..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