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대 신입생을 위한 도서목록

1 개요[ | ]

한의대 신입생을 위한 도서 목록
  • 1997년, 동의과학연구소에서 배포한 자료
   동의과학연구소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 Science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곡동 953번지 다림빌딩 3층  우 135-270
   전화 : 82-2-3462-7533 팩시밀리 : 82-2-3461-9270
   Dalim Bldg 3rd F, 953 Dogok-dong, Kangnam-gu, Seoul, Korea
   Tel : 82-2-3462-7533 Fax : 82-2-3461-9270

2 # 머리말[ | ]

한의대에 입학하신 신입생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동의과학연구소(이하 동과연)에서 인사드립니다. 여러분은 동과연이 무얼 하는 단체인지 아마 모르실 것입니다. 동과연에 대해서는 이 책의 제일 뒤에 나와 있는 동과연 안내를 보시면 되므로 여기에서는 자세히 말씀드리지 않겠습니다. 다만 같은 한의대를 졸업하고 또 앞으로 거의 100% 한의사라는 같은 길을 걸을 것이 분명한 여러분께, 먼저 그 길을 가고 있는 입장에서 여러분께 다소나마 도움이 될까 하여 이런 책자라는 형태로 만나게 되었습니다.

저희가 굳이 이런 책자를 통해 여러분을 만나려는 동과연의 입장은 몇 가지가 있습니다.

첫째는 누구라도 한의학을 공부하는 사람이라면, 한의학이 너무도 방대하고 큰 세계여서 자칫 그 안에 빠져 헤어 나오기 힘들다는 점을 들 수 있을 것입니다. 저희들도 대다수는 처음에는 그저 한의사라는 직업을 보고 한의대에 들어오게 되었고, 설혹 한의학을 조금 알고 들어온 사람들도 막상 닥친 한의학이라는 거대한 우주를 대하고 누구나 방황을 하기 마련이었습니다. 더군다나 한의대에 들어가면 한의학만이 아니라 서양 의학을 위시한 서양 과학이라는 것이 또 하나의 거대한 벽으로 다가오기 마련입니다. 고등학교까지는 숨을 쉬듯 자연스럽던 서양 과학(그전에는 '서양 과학'이라는 자각도 하지 못했던)이 한의학과 끊임없이 대비되고 나의 안과 밖에서 치열하게 다투는 경험을 하게 됩니다. 이런 과정에 동과연은 여러분과 함께 하고자 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동과연에서 제시하는 나름대로의 길이 오히려 더 큰 혼란과 방황을 가져올지도 모릅니다. 동과연에서 제시하는 길은 답이 아닙니다. 여러분의 고민을 함께 하고자 하는 것입니다. 다만 그런 고민 자체가 바로 전진이며 새로운 출발도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두 번째는 일부의 문제점인지 모르지만, 대부분 한의대에 들어오게 되면 한의학 이외에는 다른 분야에 관심을 좀처럼 돌리려 하지 않는 경향이 있습니다(또 한의대의 과중한 수업 부담 역시 이런 경향을 부채질하는 측면이 있습니다). 그래서 특히 임상에서 자기만의 견고한 세계를 구축하는데 성공하느냐 아니냐가 마치 한의사로서의 길을 제대로 걷는가 아닌가의 關鍵인 것처럼 간주되는 것입니다. 그러나 한의학은 단순한 기술(Technic)이 아닙니다. 물론 한의학에는 기술적인 면이 많이 있습니다. 辨證(診斷) 체계는 공식적으로 외울 수 있으며 진단에 따라 침을 어떻게 놓고 약을 어떻게 쓰고 하는 것은 아마도 2년제 전문대학 수준이면 습득이 가능할 것입니다. 바로 이런 생각이 藥은 다 같은 약이니까 2 주 정도의 강의만 들으면 양약사도 한약을 쓸 수 있고 나아가 침도 놓을 수 있다는 발상이 가능할 것입니다.

그러나 한의학이 단순한 기술이었다면 벌써 오래 전에 그런 면에서 훨씬 압도적인 서양 의학에 편입되었을 것입니다. 한의학이 한의학으로서 살아 남을 수 있었던 데에는 단순한 기술 이외에, 한의학만의 방법론이 있으며 그런 방법론을 뒷받침하는 독특한 자신만의 철학이 있었습니다. 그러므로 한의학을 단순한 의료 기술이라기보다는 하나의 학문 체계로 보기 위한 노력의 하나로 동과연이 여러분을 만나고자 합니다.

이와 연관하여 최근의 새로운 변화에 대해 언급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그것은 90년대에 들어와 다른 대학을 졸업한 사람들(흔히 '나사'라고 부르는데 일설에 의하면 '나아가는 사람들'이라고도 하고 혹은 '나이든 사람들'이라고도 하고 심하면 '나이 값도 못하는 사람들'이라고 부르는 못된 마음을 갖은 사람도 있다고 함)이 대거 한의대에 들어오게 되었습니다. 소위 '나사'들이 한의대에 들어온 것은 지금만이 아니었습니다. 한의대가 생긴 이래 아마도 초창기에는 나이든 사람들이 대부분이었으며 그 이후에도 나이든 사람들이 많이 들어왔습니다. 그런데 그때는 이들을 대개 예비역으로 분류했습니다. 다시 말하자면 군대를 갔다 왔느냐 아니냐가 중요한 辨別點이었던 셈입니다. 그래서 예비역의 역할은 대개 科에서의 맏형 같은 역할이 많았습니다. 그러던 것이 한의사의 사회적 지위 상승과 함께 한의대 붐이 일어나 나사들이 대거 들어오게 된 것입니다. 그것도 단순히 대학을 졸업한 정도가 아니라 그 중 많은 분들이 박사 이상의 전문적 지식을 갖춘 경우가 많다는 것도 또 하나의 특징입니다. 그리고 이런 특정 분야를 전공했다는 것은 이전에는 전혀 문제되지 않던 것이었습니다. 다시 말해서 나사와 달리 예비역은 그 사람이 과거 문학을 전공했든 수학을 전공했든 그런 과거 경력이 한의대생이라는 현재의 존재에 별 영향을 미치지 않았던 것입니다. 그런데 지금의 나사는 과거의 경력이 문제(?)되고 있다는 데에 과거와 다른 특징이 있습니다. 이는 한의학의 발전이라는 문제가 한 두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한의계 전체의 문제로 인식되고 있으며 또한 이를 위해서는 어떤 형태로든 한의학과 여타 학문과의 결합이 필요하다는 데에 의견이 모아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처럼 서로 다른 학문간의 결합과 연관성의 확대를 學際間 연구라고 하는데, 바로 이러한 학제간 연구의 가능성을 나사가 갖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여기에는 긍정적인 면만이 아니고 부정적인 면도 없는 것은 아닙니다. 다시 말하자면 한의학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상태에서 접근한다면 섣부른 학제간 연구로 한의학을 왜곡시킬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또 각 개인의 무관심으로 학제간 연구에 대한 기대에 못 미치기도 합니다. 이러한 학제간 연구에 대한 기대가 주로 나사에 쏠려 있다는 것 자체가 나사들에게는 큰 부담이 되기도 합니다. 물론 학제간 연구는 나이를 불문하고 모든 한의학도에게 지워져 있는 하나의 의무입니다. 따라서 가능하면 많은 분들이 학제간 연구에 나서기를 간절히 기원하는 바입니다.

세 번째는 東洋學의 전반적인 특징이기도 하지만, 한의학을 포함한 모든 공부는 곧바로 心身의 수양과 직결된다는 점입니다. 더군다나 한의학은 心과 身의 일체화를 요구합니다. 言行一致라고 해도 좋고 知行合一이라고 해도 좋습니다. 다시 말하자면 한의학을 익히고 배우는 과정이 바로 나의 몸과 마음을 닦는 과정이며 나아가 우리가 사는 사회를 건강하게 만드는 과정이기도 하다는 점에서, 올바른 한의학적인 삶, 정당한 한의사로서의 삶을 여러분과 함께 걸어가기 위한 노력이라는 점입니다. 修身과 齊家와 治國, 平天下는 결국 하나의 수평적 과정인 셈입니다. 어느 하나를 먼저 하고 나중에 하고 하는 문제가 아니라는 것입니다. 동과연은 바로 여러분과 함께 이런 한의사로서의 삶을 준비하고자 합니다.

이제 막 한의대에 들어오신 분들을 위하여 여러분의 학습에 도움이 될 만한 책들을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그런데 그 전에 여러분께 전반적으로 몇 가지 부탁의 말씀을 드리고 싶습니다. 그것은 먼저 우리의 한의학을 연구하기 위하여 가장 중요한 것의 하나가 語學을 충분히 습득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모든 학문의 기초는 言語입니다. 말로써 설명될 수 없는 세계가 분명히 있고 그런 세계는 언어 이외의 방법에 의해서만 내게 열립니다. 그래서 老子는 이미 "道可道, 非常道"(道를 道라고 하면 이미 그것은 道가 아니다)라고 說破했습니다. 그러나 우리가 지금 말하는 것은 개인의 得道가 아니라 학문이라는 점입니다. 학문에는 언어라는 수단이 있고 이 언어라는 수단에 의해서만 학문의 세계는 열립니다. 得道를 목표로 한다면 韓醫大라는 제도는 아무 의미가 없습니다. 왜냐하면 대학은 객관적인 일정한 규율에 의해 특정한 지식을 습득할 것을 목표로 하기 때문입니다. 현대는 封建制에서처럼 匠人 밑에서 徒弟式으로 배울 수 없는 상황입니다. 공장에서 물건이 대량 생산되듯이 커다란 강의실에서 일정한 언어 체계에 의해 똑같은 내용을 똑같이 습득할 것을 요구받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언어의 중요성은 그 무엇보다도 중요합니다. 여러분의 교과과정에 한문이나 중국어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언어에 대한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모자라지 않기 때문에 학교에서 배우는 언어(한문과 중국어)는 물론 최소한 영어와 일어를 기본으로 알고 있어야 합니다. 그래서 학교를 졸업할 때면 누구나 외국인과 만나서 영어로 한의학 이론을 설명하고 외국인 환자를 진찰할 수 있어야 합니다. 또 중국어와 일어로 된 책을 읽을 수 있어야 합니다. 한문은 한글 전용이라는 측면에서는 아쉽지만 아직까지는 무조건 잘 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 개별적으로 혹은 집단적으로 한문 선생님을 찾아 배우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그러면 이렇게 말하는 동과연 사람들은 다 언어에 道가 트였느냐고 반문하실지 모릅니다. 물론 답은 "전혀 아니올시다" 입니다. 그런데 무슨 염치로 이처럼 언어의 중요성을 강조하는가 ? 나름대로 변명은 있습니다.

그것은 진정 한의학의 발전을 위해서, 또한 한의학의 세계화, 그리고 이를 통한 나의 발전을 위해서 입니다. 한의학의 발전을 위해서는 과거를 몰라서는 안되며 또 나만이 아니라 다른 사람들의 연구 성과와 생각을 알아야 합니다. 현대는 무서운 속도로 모든 학문이 발달하고 있습니다. 한의학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예로 미국에서는 92년도의 통계이지만 의료 인력의 구성을 볼 때 洋醫師가 76000명, 간호사 231000명, 물리치료사 11000명, 발의사 2300명, 카이로프랙터 10000명, 한의사 3200명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한의사 중 가장 많을 것으로 생각되는 한국이나 중국계를 제치고 미국계가 1700명입니다. 일본계는 50명, 중국계 950명, 한국계는 500명에 불과합니다. 미국에서도 한의학의 주체는 동양인이 아니라 미국인입니다. 이는 그만큼 서구에서도 한의학을 인정한다는 의미이며 다른 말로는 미국인에 의한 한의학의 연구가 이미 일정한 수준에 도달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미국인 한의사들은 이제 미국적인 미국의 한의학을 창조해야 한다고 합니다. 미국의 풍토와 인종의 차이, 동식물의 차이 등을 고려한 새로운 미국 한의학을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잘못하면 미국의 한의학을 수입해야 할 날이 올지도 모릅니다. 언어의 중요성은 이루다 말로 할 수 없습니다. 무능한 선배를 나무라기 전에 여러분의 언어에 대한 투자를 진심으로 바라는 바입니다.

마지막으로 여러분께 무엇보다도 고민을 많이 하라는 부탁을 드립니다. 문제의식 없이 학습을 하는 것과 끊임없이 문제 제기를 하면서 학습하는 것과는 天壤之差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대표적인 처방의 하나인 四物湯을 공부할 때, 구성 약재가 무엇이고 이는 어떠 어떠한 증상이 나타나면 血虛로 보고 이때 쓰는 것이다"라는 식으로만 공부해서는 한의학을 이해하는데 별 도움이 되지 못합니다. 증상 하나 하나에 대해 꼼꼼히 생각해 보고 왜 그런 증상이 나타나게 되는지, 生理와 病理的인 機轉을 알아야 하며, 다른 증상과의 연관은 무엇인지, 그런 증상들이 모여 어떻게 血虛라고 하는 證의 개념을 만드는지, 만일 血虛에 포함되지 않는 증상이 나타난다면 왜 나타난 것인지, 이 약재는 이 처방에 들어가 어떤 역할을 하는 것인지 이것저것 따져 볼 필요가 있습니다. 그래야 四物湯에 대해 제대로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우리 나라 근대의 金昌浩라는 분은 四物湯 하나만으로도 수많은 병을 잘 고쳐서 金四物이라는 별명이 있을 정도로 四物湯은 활용도가 높은 처방입니다. 그런데 자기 고민을 하지 않고 그냥 외워서 치료를 한다면 그 무수한 처방을 病證마다 다 알아야 할 것입니다. 그러나 원리를 알게 된다면 굳이 秘方을 알려고 할 필요도 없습니다. 대부분의 秘方이라는 것이, 찾아보면 이미 醫書에 나와 있는 것에 불과하지만 설혹 秘方이 있다 하여도 고민을 하지 않은 사람은 그 처방을 제대로 쓸 수가 없습니다. 원리를 모르기 때문입니다. 결국 秘方이란 나름대로 능숙하게 활용할 수 있는 처방에 불과한 것입니다. 고민하면서 공부한다면 四物湯 하나로도 모든 병을 고칠 수 있으며, 四關이라는 穴자리 하나만으로도 모든 병을 치료할 수 있습니다. 그럴 때 소위 雜方('무슨 병에 무슨 약' 하는 식으로 좋다는 약을 모두 집어넣어 원칙이 없는 처방)을 쓰지 않을 것이며 침을 놓되 온몸을 벌집으로 만들지도 않을 것입니다.

또 하나, 학교에서의 수업이나 동아리 등에서 남과 함께 학습할 수도 있지만 각 개인마다 고전적인 醫書 한 권을 정하여 매일 조금씩 정독하며 생활하는 자세가 중요합니다. 이런 식으로 많이 보는 책으로는 {內經}, {東醫寶鑑}, {醫學入門}, {類經} 등이 있습니다. 이외에 어떤 책이라도 좋으니 나름대로 한 권을 정하여 늘 읽어 가는 습관을 갖도록 하기 바랍니다. 자칫 그 틀에 빠져 다른 것을 보지 못한다는 비판이 있을 수 있어도 그 틀을 완전히 이해하고 나면 다른 틀은 물론 자신이 담겨져 있던 틀마저 비판적으로 극복할 수 있을 것입니다.

여러분의 건투를 빕니다.

3 # 일러두기[ | ]

  1. 아래에 소개되는 책자들은 어떤 순서에 입각하여 작성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부문별로 혹은 저작별로 자신이 선택하여 읽으면 좋을 것이다.
  2. 가능하면 예과 2년 동안 讀破해야 할 책에 한정하여 선정하였으며 전문적인 저서나 특정한 분야에 한정된 저작보다는 문제 제기라는 측면에 중점을 두었다. 소위 '意識化'를 염두에 둔 것이다. 여기에서 말하는 '의식화'는 생각하고 활동하는 자기 자신의 사회적 존재에 대한 의식화(의식의 轉化)이며 '그 동안의 나'에 대한 의식화이며 동양학에 대한 의식의 轉化이다. 그런 만큼 그 저작의 비중이나 성과도 고려했지만 가능하면 문제 제기를 하는 책을 중심으로 선정하였다. 따라서 여기에 소개된 책자들은 그만한 한계를 갖는 입문서 역할을 한다고 보아야 하며 이 책들을 통해서 더 넓고 전문적인 분야로 나아가기 바란다.
  3. 책은 읽는 사람에 따라 다르게 읽힌다. 그러므로 가능하다면 같은 책을 여럿이 읽고 함께 토론하는 습관을 들이면 錦上添花겠다. 또 읽되 그저 저자의 흐름에만 따라 간다면 별 도움이 되지 못할 것이다. 나름대로 문제의식, 곧 실천적 관점을 견지하며 읽는 것이 올바른 독서법이라고 하겠다.
  4. 책을 널리 읽을 필요도 있지만 다른 한편 깊게 읽을 필요도 있다. '博而不精'해서는 곤란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꼼꼼히 읽되 읽으면서 느낀 점이나 생각을 옆에 메모하는 습관을 갖는 것이 좋다. 이를테면 자신의 手澤本을 만드는 것이다. 과거의 한 시골 선비가 {논어}나 {맹자}를 읽으며 옆에 적어 논 자신의 생각이 담긴 그 手澤本을 오늘의 우리가 읽게 된다는 것은 학문의 발전을 떠나 상상만 해도 즐거운 일이다.
  5. 가능하면 한의학 이외의 다른 전공 분야의 책에 관심과 주의를 기울이기를 바란다. 돌아가는 것이 지름길이 될 수 있다.
  6. 이 소책자에서 인용하는 책의 저자와 출판사, 출판 년도 등을 정확히 明記할 예정이었으나 일부 빠뜨린 부분이 있다. 추후에 기회가 있다면 논문의 작성 방법에 대해 따로 정리를 할 예정인데, 사소하게 보이지만 인용하는 자료에 대한 정확한 표기는 매우 중요하다.
  7. 외국의 저서를 소개할 때는 가능하면 국내에서 번역된 것을 위주로 하였으나 번역본이 없거나 꼭 필요하다고 생각되면 영어와 일어, 중국어 本에 한하여 원서를 소개하였다.
  8. 국내에서 구입할 수 없는 책자들은 학교 교수님이나 선배 등에서 도움을 받기 바라며 그래도 구할 수 없는 책자들은 동과연 연구실에 구비되어 있으므로 연락을 주면 좋겠다. 동과연 연구실은 아직 모든 한의사나 한의대생에게 공개되어 있지 않지만 앞으로 한의학 전문 도서관의 설립을 목표로 자료를 모으고 있다. 현재 한의학 관련 도서를 포함하여 약 1만 권의 장서가 있다. 여러분의 학습에 도움이 된다면 더 바랄 나위가 없겠다.
  9. 이 소책자에서 소개한 책은 대체로 300여 종에 달한다. 여기 소개된 책들이 모두 다음 항목에서 말하는 좋은 책의 조건에 드는 것도 아니다. 특히 한의서의 경우 교재를 포함하여 좋은 책의 조건에 드는 책을 찾기는 매우 힘들었다. 아래에서 소개된 책자들은 어떻게 보면 현단계에서의 次善일지도 모르겠다. 그러므로 소개된 중에서도 나름대로의 선택이 필요할 것이다. 또 모든 책을 精讀한다면 아마 2년으로 부족할지도 모르겠다. 이런 의미에서도 더욱 나름대로 선택해서 보아야 할 것이다. 그러나 일부 한의학과 직접 연관된 저서를 제외한다면 일반 대학생도 이 정도는 소화할 것으로 본다. 여기에 소개된 내용에 대해 한의대생으로서 꼭 보았으면 하는데 빠진 책이나 다른 의견을 제시하고 싶은 분은 동과연으로 연락을 주기 바란다. 이 자료집은 여러분의 적극적인 참여 속에서 더욱 완전한 것으로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10. 책 앞에 달린 표시는 글쓴이가 꼭 권하고 싶은 책들이다. 하나에서 세 개까지 붙어 있다. 표시가 많다고 해서 반드시 좋은 책은 아니며, 그 책의 진리성이나 비중과 관계없이 붙은 것이므로 여러분께서는 참조하기 바란다.

學而時習之 不亦說乎!

'學'이란 본받는다는 것이다. 사람의 본성이 모두 善하지만 이것을 깨닫는데는 앞서고 뒤서는 차이가 있으니, 늦게 깨닫는 자는 반드시 먼저 깨닫는 사람이 하는 바를 본받아야 善을 밝게 알아서 그 처음을 회복할 수 있다. '習'이란 새가 자주 나는 것과 같다. 배우기를 그치지 않는 것이 마치 새가 자주 나는 것과 같다. '說'은 기쁘다는 뜻이다. 이미 배웠지만 또한 때로 익힌다면 배운 것이 무르익어서 내 몸 안에 희열이 느껴져, 그 전진함이 스스로는 그만둘 수 없는 것이다. 程子가 말하기를 ... 배우려는 것은 장차 배움을 行하려고 해서이니, 때로 익힌다면 배운 것이 내 몸 안에 있게 된다. 그러므로 기쁜 것이다.

4 # 도서 선택의 일반적 조건[ | ]

1973년 馬王堆 제3호 漢墓에서 발굴된 竹簡을 비롯한 여러 서적들은 최소한 기원전 168년 이전에 쓰여진 것들이니 지금으로부터 최소한 2천 2백년 이상 이전의 책이다. 책은 문자가 만들어진 이후부터 컴퓨터와 온갖 최첨단 기기가 휩쓸고 있는 현대에 이르기까지 그 생명력을 잃지 않고 있다. 인류의 문화는 以心傳心으로 전해지는 부분도 있지만 적어도 언어와 관련된 정보는 종이와 인쇄라는 수단을 통해서 그 생명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글을 읽으며 사고를 할 수 있는 여백을 주는 것은 책 이외에는 불가능하기 때문에 책의 생명력이 유지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책을 보지 않으면 아무리 같은 내용이 컴퓨터 파일로 존재한다고 해도 사고의 여백을 갖기 어렵다. 그러므로 책은 공부를 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필수로 갖추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주위에는 너무도 많은 책이 범람하고 있다. 정보가 모자라서가 아니라 너무 많은 정보로 인한 정보의 빈곤을 느끼는 것이다. 풍요 속의 빈곤인 셈이다. 막상 책을 고르려고 해도 좋은 책이 어떤 것인지 알기 어렵다. 이 책자도 마찬가지지만 먼저 공부한 사람이 추천하는 책을 고르는 것이 일반적으로 안전한 방법이지만 다른 한편 자신만의 관점과 분야를 놓치기 쉽다. 그러므로 일정하게는 시행착오를 반복하는 것도 좋은 책을 고르는 하나의 길이 된다. 다만 객관적으로 좋은 책의 조건은 몇 가지 들 수 있으므로 참고하면 좋을 것이다.

아무런 정보 없이 책을 고를 때는 먼저 그 책이 누구에 의해 어떻게 쓰여졌는지를 확인해야 한다. 저자가 개인인 경우에는 그 책과 연관된 개인의 약력이 명기되어 있어야 한다. 그 분야의 전문가인지,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그럴 만한 경력과 다른 저서가 있는지 등을 보아야 한다. 간혹 존재 자체가 불분명한 단체 이름으로 되어 있는 경우도 있으며 존재하는 단체라도 그 책을 쓴 사람의 명단이 게재되어 있지 않다면 의심을 해보아야 한다.

다른 한편 저술의 형태 역시 문제 삼아야 한다. 완전한 개인의 창작물일 수도 있지만 번역한 것을 그냥 자신의 저술인 양 위장한 경우도 있으며(이런 경우는 매우 많다) 일부 자신의 글과 다른 사람의 글을 모아 한 사람의 이름으로 내는 경우도 있다. 그래서 ○ ○ ○ 라는 사람(혹은 단체) 이름 뒤에 著나 지음, 편집, 옮김 등을 명기한 책이 믿을 수 있다. 옛날에는 '撰'이나 '輯'이라고 했는데 '撰'은 요즈음의 저술에 해당하며 하며 '輯'은 '輯'과 마찬가지로 編纂, 編輯 등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남의 저서에 틀린 字나 명백한 오류를 수정한 경우 '訂'이라고 하며, 자신의 다른 견해를 달아 재해석했을 때는 '注'(혹은 '註')라고 하고 주를 달되 일정하게 평가를 더했으면 '評注'라고 했다. 그리고 과거에는 이런 구분을 정확히 해서 썼는데 비해 요즈음은 그런 엄밀한 구분을 두지 않고 쓰는 경우가 많다. 특히 監修라고 되어 있는 경우는 일단 의심해 보아야 한다. 실제로 감수는커녕 책을 한 번도 보지 않고 감수라는 말을 쓰는 경우가 매우 많기 때문이다. 그래서 編이나 번역된 책이, 編이나 번역한 대상이 되는 책을 정확히 明記(저자, 책제목, 출판사, 출판 연도 등)하고 있지 않으면 일단은 의심해야 한다.

최근 중국에서 나오는 책은 집단 저작이 대부분이다. 그래서 ○ ○ ○ 主編이라고 쓰는 경우가 많다. 이런 책 중에는 ○ ○ ○라는 사람은 전문가이고 유명한 사람이지만 의외로 내용이 허술한 경우가 많고 또 같은 주제의 다른 책과 비교해 보아 그게 그것인 경우가 비일비재하다(물론 {상한론}의 劉渡舟나 {내경}의 任應秋, 郭靄春, 王琦, 병리학의 匡調元 등과 같이 그 이름만으로도 신뢰를 주는 사람들은 있다). 그래서 처음에는 중국에서 나오는 책을 열심히 모으다가 나중에는 아예 거들떠보지도 않게 되는 경우가 있다. 특히 고전을 주석하거나 번역한 경우 혹은 기초 이론 쪽보다는 臨床書에서 이런 경향이 강하다.

다음으로는 출판사를 본다. 일반적으로 대형 출판사라면 일정한 신뢰를 할 수 있지만 오히려 군소 출판사이면서도 탄탄한 내용의 책을 내는 곳이 많다. 현재 우리 나라의 출판 유통 구조상 대형 출판사들은 매월 일정한 숫자 이상의 책을 발간하지 않으면 부도가 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의외로 대형 출판사에서 나온 책의 내용이 부실한 경우가 많다. 오히려 군소 출판사이지만 전문적으로 어떤 한 분야의 저술을 지속적으로 내는 곳이 믿을 만하다. 한의계 쪽을 보면 상황은 참으로 열악하다는 정도를 넘어서 차마 평가하기조차 어려운 실정이다. 왜냐하면 한의서 시장이 너무 협소하다 보니(한의사의 수 자체가 절대적으로 적지만 이들이 책을 거의 안 산다는 것이 출판계의 정설이다. 이러다 보니 출판사로서는 한의사나 한의대생을 대상으로 한 책을 만들기 어렵게 되고 자연히 한의서에 대해 왕성한 구매력을 보여주는 약사들과 소위 전문적으로 민간요법이나 약을 짓는 일반인을 판매 대상에 포함하게 된다. 그래서 전문 한의서가 나오지 못하고 적당히 약사나 일반인의 구미에 맞는 책이 나오게 되는 것이다. 물론 여기에는 출판사의 양식도 문제가 되기는 한다. 다시 말하여 전문 한의서 출판사를 표방하면서도 非醫療人의 저작을 출판하거나 자신의 저술이 아닌데도 유명인의 이름을 걸어 주는 일이 많다는 것이다) 한의서 전문 출판사가 설 자리가 너무 비좁은 것이다. 그러다 보니 졸속으로 나오는 저서가 많다. 책이라기보다는 假製本 상태라고 해야 할 정도로, 편집이나 교정도 거치지 않은 듯한 느낌을 주며 거기에 장정도 엉망이다. 아무리 醫書가 實用書라고는 해도 너무한 것이다. 옛 醫書들을 들쳐 보면 비록 오래되어 낡았지만 눈에 잘 들어오는 편집은 물론 1, 2 백년은 너끈히 견디는 종이에 정성 들여 제본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현대의 아무리 뛰어난 편집자가 편집을 한 의서라고 해도 옛 의서만큼 눈에 확 들어오면서 찾기 쉬운 책을 만들지 못하고 있다. 여기에는 韓醫書 시장이 너무 좁아서 이런 분야에 충분한 투자를 할 수 없다는 사정이 있지만 앞으로는 한의계의 출판 문화도 바뀌어야 한다. 그리고 그런 변화에는 앞으로 한의서의 저자가 될 여러분들의 자각이 없이는 불가능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국내에서 이 출판사에서 나온 것이면 안심하고 사도 된다고 추천할 만한 한의서 전문 출판사는 없다. 이런 저런 출판사에서 간혹 좋은 책이 눈에 띌 뿐이다. 또 하나 지적해야 하는 것은 일부 복사본이 대량으로 나도는 것도 문제이다. 출판사에서 나름대로 책을 내도 가격이 너무 비싸거나 돈주고 사기에는 아깝다는 판단에서 쉽게 복사를 해 버린다. 아무리 가치가 적게 보이는 책일지라도 또 가격이 다소 비싸더라도 책만큼은 반드시 사서 보아야 한다. 독자가 책을 사지 않고 복사를 하니 이런 수요자까지 예상하여 더 비싸게 가격을 정하게 되는 것이 출판사의 논리이다. 그러니 가격은 점점 더 비싸 지고 출판사는 그래도 별 수지 타산이 맞지 않고 ... 하는 악순환이 반복되는 것이다. 물론 출판사 입장에서도 설혹 복사하는 사람들이 있다고 해도 적정한 가격을 매기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원래 의서들이 비싼 전통을 갖고 있기는 하지만 西洋醫書의 경우, 최근에는 가격이 거의 현실화되어 있다.

얘기가 많이 옆으로 새었는데, 한편 중국의 사정도 마찬가지이다. 예전에는 人民衛生出版社에서 나오는 저작들이 대부분 신뢰할 만한 것이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개방과 자유화로 각 출판사들이 자기 책임 하에 경영을 해야 하기 때문에 그럴듯한 책만 내려 하지 좋은 책을 내려 하지 않는다. 다만 중국의 책들은 아직도 국가 계획 하에 출판하던 습성이 남아 있고 또 이윤 추구에 민첩하지 못하여 한번 나온 책이 다시 재판을 찍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특히 전문서들은 중국 역시 시장이 좁아서 구하기가 쉽지 않다. 그러므로 내용을 확인하기 어려워도 중국에서 나온 책들은 그때그때 사 두는 것이 좋다. 이는 출판 왕국이라고 하는 일본에도 어느 정도 해당되는 말이다. 일본은 新刊 시장 이외에도 고서점이 잘 발달해 있어서 이러 저러한 경로를 통하면 원하는 책을 구할 수 있지만 그래도 구하기 어렵기는 마찬가지이다. 일본에 거주하는 사람이라면 도서관을 통해 분명히 구할 수 있지만 한국에서는 이 역시 어려운 일이다. 어떤 책이든(국내에서 출판된 책일지라도) 필요하다고 생각되면 그때 바로 사는 습관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 아무런 정보 없이 책을 구할 때 저자와 출판사가 가장 중요한 요소이지만 몇 가지 요소들, 예를 들면 색인이 있는가, 注가 달려 있는가, 참고문헌이 정확히 명기되어 있는가, 서문이나 추천사가 있는가, 있더라도 책 내용과는 무관한 말만 늘어놓지 않았는가(추천사를 잘 읽어보면 저자의 학문에 대해 잘 알고 쓴 것인지, 그 책을 읽고 쓴 것인지 아닌지 금방 알 수 있다), 목차가 일목요연하게 되어 있는가, 편집이나 장정에 신경을 썼는가 등을 따져 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그러나 가장 좋은 방법은 스스로 책을 고르고 또 그 책을 정독한 결과 나름대로의 안목을 기르는 것이다. 평생 남이 권하는 책만 볼 수는 없는 일이 아닌가.

5 # 한의학 학습을 위한 工具書[ | ]

모든 학습의 출발은 언어이지만 언어의 출발은 辭典이라고 할 수 있다. 어느 학자의 실력이 어느 정도이고 연구를 얼마나 하는지 알아보려면 사전이 몇 가지나 있는지 세어 보면 된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사전 종류는 가능하면 많이 갖추는 것이 학습에 도움이 된다.

한자 사전으로 들고 다닐 수 있는 것으로 다음 사전이 가장 많이 쓰이고 있다. 이상은 감수, {漢韓大辭典}(민중서림)이 있고 책상에 놓고 볼 수 있는 것으로는 최근에 나온 이가원.권오순.임창순 감수, {東亞 漢韓大辭典}(동아출판사)이 좋다. 이외에 대형 사전을 갖추려면 諸橋轍次, {大漢和辭典}(全13卷. 大修館書店, 日本, 東京, 1983年 修訂版)과 {漢語大詞典}(全十三卷. 漢語大詞典出版社)과 {漢語大字典}(全八卷. 湖北.四川辭書出版社, 1986)을 대표적으로 들 수 있다. {大漢和辭典}은 일어로 되어 있고 이미 전세계적인 권위를 갖고 있으며 동양학을 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하나씩 갖추고 있을 정도로 그 활용도가 높다. {漢語大詞典}은 최근 중국이 한자 종주국의 이름을 걸고 편찬한 것이다. 최근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에서 {한국한자어사전}(전4권)이 나왔다. 전22책으로 구성될 {漢韓大辭典}의 일부로 중국이나 일본과는 다른 우리 한자어에 대한 사전이다. 위에서 언급한 기존의 일본과 중국의 사전을 뛰어 넘으려는 의지로 시작된 방대한 작업이다.

한문을 보다 보면 자주 막히는 虛辭의 쓰임새를 알기 위해서는 김원중 편저, {허사사전}(현암사)을 권한다. 한의학 고전 중의 어려운 字에 대한 참고는 上海中醫學院 中醫硏究所 編, {中國醫籍字典}(江西科學技術出版社, 1989)이 좋다.

중국어 사전으로는 고대민족문화연구소.중국어사전편찬실 편, {중한사전}(고대민족문화연구소)이면 충분할 것이다. 단순히 중국어만이 아니라 淸代의 문헌을 읽거나 때로 더 오래된 醫書를 볼 때도 참고가 된다. 일어 사전은 {민중 日韓엣센스辭典} 등이 있고 한자 읽기 사전으로는 시사문화사의 {일본어 한자읽기 사전}, 김영진, {일본어 한자 읽기 사전}(진명)을 구비해야 한다.

한의학 사전 중 한글로 된 것으로는 북한의 과학 백과사전 종합 출판사에서 나온 {동의학 사전}(여강출판사 영인)이 유일하게 권할 만하다. 다만 북한의 용어를 그대로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語順도 다르고 용어도 차이가 많다. 이외에 한의학 대사전 편찬 위원회에서 낸 사전 중 {한의학 대사전} 의사문헌편과 한국의사문헌편(모두 성보사 출판)만큼은 갖추고 있어야 한다. 한글로 된 것 이외에는 中國中醫硏究院과 廣州中醫學院에서 펴낸 {中醫大辭典}(人民衛生出版社, 1995)이 좋다.

이상은 필수적으로 갖추어야 하는 사전들이며 이외에도 침구학 사전이나 황제내경 사전, 人名사전, 상한론 사전 등 수많은 사전이 있다. 사전류는 자신의 관심사에 따라 다양하게 많이 구비할 수록 좋으므로 사전에 대한 투자만큼은 아끼지 않는 것이 좋다.

6 # 한의학과 연관된 저작들[ | ]

한의학은 철학이라고 말하는 사람들이 있다. 이 말의 진위는 더 따져 보아야 하지만 그만큼 한의학과 철학, 특히 동양철학과의 연관은 깊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동양철학이라고 해도 사실은 저마다 지칭하는 바가 너무도 큰 차이가 있다. 동양 중에서 중국에만 한정하고 그 중에서도 성리학적인 전통만을 고집 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그 근거가 애매한 이러저러한 說들을 모아 놓고 동양철학이라고 하기도 한다. 심지어는 命理가 동양철학의 전부라고 보기도 한다. 따라서 여기에서 동양철학이 무언지 논의하기보다는 여러분들이 직접 그 세계에 들어가 여기 저기 휘젓고 다닐 필요가 있다.

그런 의미에서 동양철학에 '오해'가 있는 사람이라면 김교빈과 이현구가 지은 {동양철학 에세이}(동녘)를 읽어보면 좋다. 누구나 읽기 쉽게, 또한 問題 提起式으로 쓰여진 입문서이다. 더 나아가 한국철학사상사연구회, {우리들의 동양철학}(동녘, 1997)을 읽기 권한다.

외국에서의 동양학 연구 동향을 알기 위해서는 김영식 편, {중국 전통 문화와 과학}(창작과 비평사)을 권한다. 다소 오래 전의 논문들이지만 앞으로 동양학(한의학을 포함하여) 을 어떻게 할 것인지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줄 것이다.

이와 더불어 서구에서의 동양학 붐을 주도한 카프라의 {현대 물리학과 동양 사상}(범양사) 역시 일독을 권하는 책이다. 다만 이 책을 필두로 한 신과학 운동에 대한 비판은 단순한 이론적 비판을 넘어서 매우 실천적인 문제를 갖고 있는 것이다. 신과학 운동에 대한 비판에도 귀를 기울이기 바란다. 한편 김용옥(알다시피 김용옥 씨는 원광대 한의대를 졸업하고 현재 한의사로 개원 중이다)의 {동양학 어떻게 할 것인가}(통나무)의 일독을 권한다. 저자의 다른 저서가 많지만 이 책에서 그의 거의 전모를 볼 수 있다. 김용옥 씨에 대한 절대적인 지지와 더불 비판 역시 만만하지 않다. 그러나 저자에 대한 찬반을 떠나 많은 啓發을 받을 것으로 생각된다. 김용옥 씨에 대한 비판은 神學的인 관점에서 박삼영, {기철학을 넘어서}(라브리, 1991)와 甑山敎의 입장에서 비판한 안원전, {동양학 이렇게 한다}(대원출판사, 1988) 등이 있고 논문으로 박석준, [동양학에서의 환상과 과학 1](대전대 한의대 편집국, {의륜} 창간호, 1985년) 등이 있다.

동양학에 관한 본격적인 저작은 아니지만 조동일의 {우리 학문의 길}(지식산업사)은 우리적인 학문이 무엇인지에 대한 고민을 구체화할 수 있을 것이다. 저자는 최근 한약 분쟁과 연관하여 글을 쓰기도 했다.

그러나 본격적으로 동양철학 혹은 동양학을 말하려면 무엇보다도 먼저 니이덤의 {중국의 과학과 문명}( 1, 2, 3권. 을류문화사. 번역에 상당한 문제가 있으므로 성실한 독자는 英語本을 구해서 대조하며 보는 것이 좋다. 혹은 최소한 中國語本이라도 참조하기 바란다. 그리고 思想史에 해당하는 2, 3권은 필독해야 한다)을 보아야 할 것이다. 이 책은 방대한 同名의 저서 중 서론에 해당하는 저작인데, 저자의 입장에 대해 논란이 있지만 동양학에 입문하는 자로서 이 책을 건너지 않고는 그 문에 들어갈 수 없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매우 중요한 책이다.

영어본 : Joseph Needham & Wang Ling, Science And Civilization In China, Vol. 2, 3, Cambridge Univ. Press, 1954
중국어본 : 李約瑟, {中國科學技術史} 第二卷 科學思想史, 科學出版社.上海古籍出版社, 1990

호랑이를 잡으려면 호랑이 굴에 들어가라는 말처럼 역시 원전을 직접 대하는 것이 가장 지름길일지도 모른다. 너무 해석서 위주로 보다 보면 자신의 관점이 없어지기 쉽다. 역시 고전적인 四書를 권한다. 흔히 한문 공부 겸 읽기도 하는데 그냥 번역문만 보아도 좋다. {논어} 등 四書에 대한 번역이 매우 많다. 하나를 고른다면 성백효의 譯註에 의한 {懸吐完譯} 시리즈(전통문화연구회)를 권한다. 十三經에 대한 解題는 {經學개설}(청아)을 보면 된다.

그런데 四書에는 각 저서마다 읽는 때가 있다고 한다. 다시 말하여 온화한 내용이 많은 {논어}는 반대로 추운 겨울에 읽는 것이 제격이고, {대학}은 학문을 시작하는 의미로부터 출발하기 때문에 만물이 발생하는 봄에 읽는 것이 좋고, 무더운 여름에는 시원시원한 필체와 명쾌한 논리가 돋보이는 {맹자}를 읽으며, 어려워 읽기 난망이라고 하는 {중용}은 사색의 계절인 가을에 읽어야 한다는 것이다. 배우는 자에게 공부하는 때가 있으리라는 법은 없지만 참고할 만 하다.

한편 중국철학 전반에 관한 이해를 위해서는 철학사를 보는 것이 좋은데 중국 철학사는 많다. 저자마다 너무 다양한 관점에서 쓰여졌기 때문에 어떤 것이 定說이라고 하기 어렵다. 이 글을 쓰는 이의 편향이겠지만 어차피 한 둘을 고르라면 역시 馮友蘭, {중국철학사}(일신사)를 권하고 싶다. 이 책은 저자의 {중국철학사}라는 두 권짜리 저서를 짧게 편집한 것인데, 영어 판인 Fung Yu-Lan, A Short History of Chinese Philosophy(Free Press, 1948)을 함께 읽기 권한다. 그리고 같은 저자의 {新原道}(서광사) 역시 중요한 저작이다. 그러나 저자는 뒤에 철저한 유물론자로 전향하였다. 그것이 저 유명한 {中國哲學史新編}(全六冊, 人民出版社)이다. 저자의 전혀 다른 관점에서 서술된 이 두 저작을 비교해 본다면 중국 철학의 흐름을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이외에 중국 철학사로 任繼愈 主編, {중국철학사}(까치)를 권한다. 어찌 보면 중국 當局의 교과서 같은 역할의 저작일지도 모르지만 적어도 70년대까지의 중국 철학의 모든 연구 성과가 집대성된 저작으로 인정해야 할 것이다.

성리학의 理에 비해 心을 강조한 陽明學에 대해서는 양국영의 {陽明學}(예문서원)을 권하고 싶다. 또 철저히 유교를 비판적으로 본 책으로는 조기빈, {反論語}(예문서원, 1996)가 있다. 그리고 중국의 비판적인 사상적 흐름에 대해서는 이운구, {중국의 비판사상}(여강, 1987)을 권한다. 한의학이 도교적인 근원을 갖는다는 점에서 {노자}나 {장자}를 읽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번역본 역시 매우 많은데 {노자}의 경우 金敬琢 씨의 {노자} 번역본(명지대학 출판부, 1976)이 많이 읽히며 김학주(명문당의 新完譯 시리즈 중 하나) 등 여러 판본이 있다. 특이한 것은 유영모의 {빛으로 쓴 얼의 노래}(無碍)이다. 저자는 {노자}를 순우리말로 풀고 있다. 저자의 독특한 사상이 함께 우러나와 있다. 문고본이든 어떤 것이든 {장자}와 함께 여러 번 읽어보는 것이 좋을 것이다.

도교에 관심이 있는 사람에게는 진고응, {노장신론}(소나무)을 권하며 葛兆光의 {도교와 중국 문화}(동문선), 허항생의 {노자 철학과 도교}(예문서원) 등을 더 보면 좋을 것이다. 한의학과 보다 직접적인 관계를 갖는 黃老之學에 관하여 류웨이화.먀오룬티엔, {직하철학}(철학과 현실사)과 {장자}에 대한 새로운 해석인 {장자철학}(소나무)을 권한다.

{주역}은 많은 사람들의 관심과 연구의 대상이다. 그러나 {주역}을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 그 해석은 엄청나게 달라진다. 繫辭傳에 대한 해석에 한정되어 있지만 중국 {주역} 연구의 大家인 김경방과 여소흥의 {역의 철학}(예문서원)을 읽으면 도움이 될 것이다. 더 관심이 있는 사람은 진고응의 {주역, 유가의 사상인가 도가의 사상인가}(예문서원)와 {주역철학사}(예문서원)를 읽으면 {주역}에 대한 다양한 해석의 갈래를 짚을 수 있을 것이다. {주역}에 대한 고증학적 접근으로 새로운 해석을 가한 {高亨의 주역}(예문서원)은 현대의 고전이다. 상수역학에 대해서는 까오 화이민, {상수역학}(신지서원, 1994)을 참고하기 바란다. 朱喜의 {역학계몽}(예문서원) 역시 번역되었다. {주역} 자체의 번역본으로는 매우 다양하지만 김경탁의 {신완역 주역}(명문당)이 많이 읽히고 있다.

그밖에 {史記列傳}(까치)을 비롯하여 {산해경}(민음사), {열자}, {묵자}, {순자}, {삼국지}(신원), {十八史略}, {근사록}(명문당) 등 동양의 여러 고전을 두루 섭렵하는 것이 한의학은 물론 다양한 사고의 발전을 위해 도움이 될 것이다.

7 # 서양의 철학[ | ]

한의학을 하는데 서양 철학이 필요 없다고 하는 사람이 있다. 그러나 그것은 거울을 보지 않고 내 얼굴을 볼 수 있다는 말과 비슷하다. 서양 철학의 흐름을 알고 중요한 思潮의 내용을 알 수 있다면 그 사람에게 한의학은 다르게 보일 것이다.

한국철학사상연구회에서 쓴 {삶과 철학}(동녘)을 권한다. 역시 한국철학사상연구회에서 쓴 {철학의 명저 20}(새길)도 동서양 철학의 중요한 저작에 대한 소개다. 모든 소개된 저작을 읽을 수는 없지만 한두 가지라도 精讀할 수 있다면 좋을 것이다.

서양 철학사로는 러셀, {서양철학사}(대한교과서주식회사)를 비롯하여 여럿이 있다. 그러나 입문서로서 하나를 고르라면 玉井茂, {서양철학사}(일월서각)를 권하겠다. 각 철학 학파들의 흐름을 일목요연하게 보여주고 있으며 더욱이 각각의 문제의식이 어디에 닿아 있는지를 추적하고 있다. 철학에 더 관심이 많은 사람이라면 앞의 {삶과 철학}(동녘)에서 소개하는 참고 도서들을 보면 좋을 것이다.

글쓴이의 私的인 견해로는 한의학을 이해하기 위하여 서양철학에서 특히 Kant, Hegel과 Marxism의 극복은 필수적인 것으로 보인다. Kant와 Hegel은 서양 철학의 모든 흐름이 모인 곳이자 다시 여러 갈래로 흘러 나가는 근원이라고 할 수 있으며 Marxism은 비록 현실 사회주의의 붕괴에도 불구하고 미래 사회의 전망이라는 측면에서 유일한 대안은 아니지만 가능한 하나의 提案이라는 측면에서 신중한 검토가 필요하다. 또한 사회주의화된 중국의 중의학을 이해하기 위해서도 필수적인 것이다. 중의학의 한 근거가 되는 Marxism을 이해하지 못하고 중의학을 이해한다는 것은 매우 불완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중의학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나오는 것 중의 하나가 '整體'라는 말이 있다. 이 개념은 중의학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핵심적인 것의 하나로, 이를 이해하지 않고서는 사실상 그 나머지의 어떤 설명도 충분히 이해하지 못한 것이 된다. 그런데도 현실에서는 아직까지 이 단어의 적절한 설명이나 번역을 찾을 수 없다. 기껏해야 全一, 全體 따위로 번역되거나 혹은 整體라는 말을그대로 쓰고 있다. 이런 이유 중 하나는 중국이라는 사회주의 체제(경제는 물론 정치와 사상 등의 모든 방면을 포함한다)에서 사용되는 정체 개념의 역사적 맥락을 이해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整體 觀念은 {漢英辭典}(The Pinyin Chinese English Dictionary)을 찾아보면 "어떤 상황(사물)을 전체로서 파악하는 개념. 중의학에서는 인체의 상이한 각 부분(요소)이 유기적 전체를 형성하고 있다고 보는 인체에 관한 유기적 개념"이라고 되어 있다. 이는 곧 총체성(Totalit t)이다. 총체성이란 구조화된 辨證法的 全體로서의 現實 바로 그것이며 바로 이러한 전체 속에서만, 그리고 그것으로부터 모든 특수한 사실을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 전체는 단순한 "부분"이 모여진 것이나 집합이 아니라는 점, 따라서 전체는 부분의 총계 그 이상이라는 점을 총체성은 말한다.

총체성에 대한 파악에는 역사상 세 가지의 입장이 있다. ① 데카르트에서 비트겐슈타인에 이르는 원자론적 합리주의적 개념. 이는 현실을 가장 단순한 요소들과 사실들의 총체성으로 본다. ② 유기체론적 개념. 이는 전체를 설정하고 부분들에 대한 전체의 우위성을 강조한다. 셀링이 그 대표자이다. ③ 변증법적 개념. 이는 현실을 구조화되고 발전하며 자기 형성하는 전체로 본다. 헤라클레이토스, 헤겔 등이 이런 견해를 주장하고 있다.

①의 경우에 있어서 우리가 어떤 사물을 그 구체적인 측면에까지 이해하고 할 때에는 이와 같은 분석의 방법, 다시 말하여 하나의 측면을 다른 측면과 분리시키고 구별하는 것은 올바른 것이다. 그러나 그러한 분리는 어디까지나 전체를 구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수단, 하나의 과정에 불과한 것이라는 사실을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 현실은 결코 고립되어 존재하는 개별(부분)의 집합이 아니라 불가분하게 상호 연관되어 있으며 끊임없이 자신의 대립물로 이해하고 있다. 그리고 이 입장은 자신이 분리해 낸 "순수한" 부분들(사실들) 자체가 이미 어떤 이론 체계나 가치 체계에 의해 해석된 것이라는 점을 隱蔽하거나 看過하고 있다.

②는 部分에 대해 우위를 갖는 全體를 설정하고 이를 實體化함으로써 마치 그것이 自律成을 갖는 것처럼 설명한다. 이는 全體는 部分의 總計 이상의 것이라는 점에서는 올바르다. 그러나 여기에서의 部分은 상호연관이 배제되어 있었던 것에 불과하며, 따라서 全體는 역동적인 내적 연관을 갖는 部分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각 部分들의 운동, 그 모순성이 全體의 본질을 이루고 있는 것이라는 데서, 全體는 部分 이상의 것이라고 한다는 점을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 다시 말하면 部分과 全體는 그것들이 완전히 異質的이어서 대립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그 현실적인 운동의 관점에서 보았을 때 그 존재 형태 자체가 운동이며, 따라서 모순이기 때문에 대립하고 있다는 점을 무시한 것이다. 이는 명백한 주관주의다. 이렇게 되면 이 입장은 현실과는 유리된 신비의 세계를 떠돌게 되는 것이다. 이것이 이승과 저승을 끊임없이 헤매며 동요할 수밖에 없는 主觀主義의 예정된 운명이다.

總體性에 관한 변증법적 견해는 이러한 견해와는 아무런 관계가 없다. 변증법에 있어서 총체성이란 部分을 규정하거나 파생시키는 완성된 全體, 固定된 形式이 아니다. 오히려 총체성은 자기 자신을 구체화하며 이 구체화의 내용의 형성 과정일 뿐만 아니라 전체의 형성 과정이기도 하다. Hegel의 言表처럼 "모든 定立된 것(Gesetz)은 동시에 前提(Voraussetzung)"인 것이다. 다시 말하자면 어떤 사물이 발생되기 위한 역사적 前提들이, 그 사물이 형성되고 난 이후에는 그 사물의 자기 실현과 재생산의 결과로 나타나게 된다. 이때에 각 개별적 요소(부분)는 비로소 전체의 유기적 요소로 전환된다. 변증법적 총체성은 반성, 분석이 결여된 공허한 총체성, 부분과 대립된 전체로서의 형식적, 추상적, 총체성을 거부한다.

이렇게 볼 때 '정체'라는 말은 총체성으로 번역되거나 아니면 최소한 '정체' 그 자체로 써야 올바를 것이다. 그런데 중국의 오늘이 있기까지의 철학적인 변화를 알지 못하고서는 설혹 '정체'라는 말을 그대로 쓴다고 해도 그 의미를 이해하고 있다고 볼 수는 없다. 과연 정체라는 말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오늘의 중의학을 온전히 이해할 수 있겠는가! 그런 의미에서 적어도 다음의 저서들만큼은 비판적으로 독파하기 바란다.

마르쿠제, {이성과 혁명}, 중원문화
카렐 코지크, {구체성의 변증법}, 거름, 1984
윤영만 엮음,  {강좌철학}(1, 2권. 세계, 1985, 1986)
모택동,  {실천론.모순론}(두레, 1989)

8 # 한국 철학의 중요성[ | ]

한국 철학은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자연과학을 포함하여 어떤 이론이든 모든 이론은 그 이론이 胚胎된 그 사회의 사회 경제 역사적인 바탕 속에서 나온 것이며, 이러한 바탕 위에서 형성됨과 동시에 그 바탕을 지도하는 원리가 바로 철학이다. 따라서 그 사회의 철학 사상적인 배경을 알지 못하면 그 이론에 대한 총체적이고 완전한 이해에 도달할 수 없다. 예를 들어 사상의학은 사상의학이 나오게 된 당시의 사회, 특히 성리학적인 흐름에 대해 알지 못하면 하나의 의술로밖에는 이해할 수 없다.

한국 철학사로는 한국철학사상연구회, {강좌 한국철학}(예문서원, 1995)을 보면 한국 철학 사상과 그 역사, 논쟁점 등이 잘 정리되어 있다. 특히 근대 부분에 대해 더 많은 연구와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며, 이 책을 통해 한국 철학의 문이 더 열리기 바란다. 참고로 사상의학이 배태된 시기를 전후한 철학 사상에 대해서는 한의학과 연관해서는 역시 다산 정약용과 惠岡 최한기를 보아야 할 것이며 이을호 씨를 위시하여 東武 이제마에 대한 연구가 일부 있다. 私的인 논의가 되겠지만 한국 철학사에 대한 개설서가 별로 없다. 따라서 다소 편향에 치우친다는 비판을 무릅쓰고 몇 가지 저서를 열거하기로 하겠다.

박종홍, {한국사상사논고}, 서문사, 1977
역사학회, {실학연구입문}, 일조각, 1983
금장태, {한국실학사상연구}, 집문당, 1987
윤사순, {한국의 성리학과 실학}, 열음사, 1987
이을호, {한국개신유학사시론}, 박영사,  1982
정성철,  {조선철학사}2, 이성과 현실, 1988
주홍성.이홍순.주칠성, {한국철학사상사}, 예문서원, 1993
최익한, {실학파와 정다산}, 청년사, 1989
한국사상사연구회,  {실학의 철학}, 예문서원 서경덕, 김학주 역주, {화담집}, 세계사
최길성, {한국무속지}, 아세아문화사
민족과 사상연구회, {사단칠정론}, 일조각
이우성,  {한국의 역사상}, 창작과 비평사
이희덕, {고려 유교 정치사상의 연구}, 일조각
조요한 외, {한국의 학파와 학풍}, 우석
김태곤, {한국의 무속}, 대원사
한국사회사연구회, {한국의 전통사회와 신분구조}, 문학과 지성사
조명기 외, {한국사상의 심층연구}, 우석

茶山에 대한 연구는 주로 經學과 그의 문학에 치우친 감이 있다. 더욱이 다산과 혜강의 의학 이론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태이며 박성래([실학파의 과학사상], {한국사상의 심층탐구}, 우석문화사, 1982 및 [정약용의 과학사상], {다산학보}1, 1978 등)와 이현구의 논문( [최한기 氣學의 성립과 체계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동양철학과 박사학위 논문, 1992) 외에는 이들의 과학 사상이나 의학 이론에 접근한 경우가 적다. 또한 문제가 되는 것은 실학파들의 전반적인 동양 전통 사상에 대한 비판적 입장(예로 음양 오행론에 대한 비판)을 그 시대적 한계를 감안하지 않고 무비판적으로 수용하는 태도이다. 이는 남북한의 연구 동향에서 비교적 공통으로 나타나는 문제점이다. 이 부분에 대하여는 한국철학사상연구회 기철학 분과와 동의과학연구소 공동 연구 논문집인 {한의학과 동양철학}(가제. 대우 학술 총서로 민음사 출간 예정)의 기 및 음양 오행에 대한 견해를 참조하기 바란다. 또한 이제마의 사상을 정확한 이해 없이 이러저러하게 裁斷하는 태도 역시 최근 한의계에서 일부 나타나고 있다. 한국 철학에 대한 보다 깊은 천착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앞으로 한의학의 발전은 결국 우리의 독자성 여부에서 결판이 날 것이며 그것은 바로 우리의 전통을 얼마나 정확히 현대에 재해석해 내느냐에 달려 있다고 보아야 한다. 그러므로 한의학 고전을 읽더라도 이제부터는 우리의 {동의보감}을 비롯한 '동의학'의 고전에 더 많은 관심과 투자가 필요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이를 위해서는 바로 우리의 철학을 제대로 이해하느냐 못하느냐에 관건이 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참고로 삼성출판사의 한국사상전집(全六卷. 1 {한국의 불교사상}, 2 {한국의 유학사상}, 3 {한국의 실학사상}, 4 {한국의 민속.종교사상}, 5 {한국의 역사사상}, 6 {한국의 근대사상})은 중요한 한국 저작을 번역해 놓아서 많은 도움이 된다. 이외에도 각 출판사에서 나온 전집류 등을 참고하면 좋을 것이다.

9 # 한국의 사회와 역사에 대한 이해[ | ]

우리의 역사를 이해하는 것은 우리 나라 사람이라면 당연한 것이겠지만 특히 한의학과 연관해서는 그 생활사나 문화사를 중심으로 보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다.

우리의 고대사에 대한 재조명이 활발한데 최인, {한국사상의 신발견}(오늘, 1988)과 윤내현의 {한국고대사신론}(일지사, 1986) 등이 재야와 학계의 의견을 반영하고 있다.

이영훈의 {조선후기사회경제사}(한길사, 1988)와 같은 저작을 한두 권 읽어보면 조선 사회의 구조에 대한 이해에 도움이 될 것이다. 이러한 이해 위에서 한국고문서회, {조선시대 생활사}(역사비평사, 1996), 한국역사연구회, {조선 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1, 2}(청년사, 1996)나 권오호, {우리문화와 음양 오행}(교보문고, 1996) 등을 읽는다면 조선 시대를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이 책은 원래 1946년에 출판되었다가 최근에 출판되어 한국의 문화 전반에 대해서는 홍기문, {洪起文 朝鮮文化論選集}(현대실학사, 1997)을 반드시 읽기 바란다. 홍기문은 소설 {임꺽정}으로 유명한 벽초 홍명희의 아들이기도 하고 국어학의 大家이기도 하다. 잡다한 서적 100권을 읽는 것보다 이런 책 한 권을 읽는 것이 더 좋다. 홍기문은 북한에서 이루어진 {이조실록}의 한글 번역을 주도한 사람으로서도 영원히 기억될 것이다.

한편 일제와 현대에 관심이 있다면 {해방 전후사의 인식}(한길사)이나 {청년을 위한 한국현대사}(소나무)와 박세길, {다시 쓰는 현대사}(돌베개) 등을 읽으면 좋을 것이다. 세계사에 대해서는 유시민, {거꾸로 읽는 세계사}(푸른나무) 등이 있고 역시 네루, {세계사편력}(1, 2, 3. 일빛)은 고전적인 저작이다.

한국만이 아니고 세계를 인간의 삶이라는 측면에서 보기 위해서는 소설을 읽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훌륭한 예술이란 결국 삶의 한 측면을 보여줌으로써 삶의 전체를 보여주는 것이기 때문이다. 흔히 "의학 계열 학생들은 책을 잘 안 본다"고 할 때의 '안 본다는 책'은 대부분 예술 계통이기 쉽다. 그러나 70년대의 대학 풍토는 科를 막론하고 술자리에서 {창작과 비평}이나 {문학과 지성}과 같은 문학평론 잡지에 실린 글들이 푸짐한 안주 거리로 등장하곤 하였다. 의학이란 병이 아니라 병을 앓는 인간을 대상으로 하는 학문일진대, 인간 삶의 총체를 보여 줄 수 있는 문학을 멀리 한다는 것은 곧 스스로 기계가 되기를 자처하는 것과 다를 바가 없는 것이다. 어느 소설이 좋고 나쁘고를 들지 않겠다. 국내외를 막론하고 고전적인 평가를 받는 소설들을 권한다.

10 # 보건 의료와 연관된 저작들[ | ]

먼저 의료인의 자세를 다룬 소설을 하나 소개하겠다. 많이 읽힌 책이지만 아직 읽지 않았다면 테드 알렌과 시드니 고든이 쓴 {닥터 노먼 베쑨}(실천문학사)을 반드시 읽기 바란다. 캐나다의 저명한 흉부외과 의사로서 중국의 혁명 과정에 뛰어든 주인공의 삶은 본받아야 할 의료인의 典型이다. 이에 버금가는 것으로 역시 많이 알려진 이은성의 {소설 동의보감}(창작과 비평사)을 빼놓을 수 없을 것이다. 이 두 소설은 의료인만이 아니라 일반인에게도 애독되었던 책들인데 언제 읽어도 감동을 주는 一篇이다. 기대에는 못 미친 소설이지만 한의대생에게 관심이 가는 책으로 이제마의 생애를 다룬 노가원의 {사상의학}(전5권, 친구)이 있다. 최근 정소영씨가 {태양인}이라는 제목으로 {매일경제신문}에 이제마의 삶을 소설로 연재하고 있다.

한의사 역시 의료인인 이상 일반적인 한국의 의료 상황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김용익 감수, 의료연구회 엮음, {한국의 의료}(한울, 1989)는 서양 의학에 한정된 것이고 또 발간된지 오래되었지만 기본적인 한국 의료 상황을 알기에 필수적인 책이다. 그 외에 황상익의 {재미있는 의학의 역사}(동지)와 이종찬, {서양의학과 보건의 역사}(명경), 맥닐, {전염병의 역사}(한울)는 서양 의학사에 대한 개괄적인 이해를 준다.

그리고 이 책만큼은 비록 西洋醫에 의해 쓰여졌지만 의료인이라면 반드시 보아야 할 것이다. 이부영 편, {의학개론}(1, 2, 3권. 서울대 출판부)이 바로 그것이다. 1권이 의학의 개념과 역사, 2권이 인간과 의학, 3권이 건강과 질병, 의학 윤리로 되어 있다. 의학의 전반에 대해 다루고 있으며 한양방을 막론하고 의료인이라면 누구나 필독해야 하는 책이다. 반드시 읽기 바란다.

예술에 관한 말이 나온 김에 특별히 음악에 관하여 몇 마디 하고 넘어 가고 싶다. 음악은 예술 중에서도 가장 추상적인 영역이라고 한다. 그런 만큼 음악에 대한 好惡나 選好에는 정해진 기준이 있을 수 없다. 클래식을 듣는 사람은 고상하고 뽕짝을 듣는 사람은 저질이라고 할 수가 없는 것이다. 다만 여기에서 음악을 언급하고자 하는 것은 음악과 질병과의 관계에 여러분의 관심을 촉발하기 위한 것이다. 최근 음악 치료라는 분야도 나오고 있지만 韓醫學은 원래 음악과 연관이 깊은 학문이다. {악학궤범}(북한의 번역본이 여강에서 영인 되어 나와 있다) 서문 첫머리에 이런 말이 나온다.

"樂이란 것은 천연으로 생겼으나 사람에게 매여 있으며, 虛에서 發하여 자연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니, 사람의 마음으로 하여금 느껴 血脈을 고동치게 하며 精神을 流通케 하는 것이다."

우리는 흔히 자연의 모든 것을 음양오행의 配屬에 맞추면서 정작 角徵宮商羽라고 하는 음률은 무시한다. 이를 제대로 의학적으로 해석하기 위해서는 먼저 음악을 알아야 한다. 이는 굳이 국악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유행가라고 해도 이미자의 목소리와 나훈아의 목소리, 서태지의 노래와 조용필의 노래가 갖는 각기의 차이점과 느낌을 알지 못하면(다시 말해서 음양오행으로 설명할 수 없으면) 환자의 생활상의 주의점에 대해 충분히 설명할 수 없다. 너무 슬픈 감정에 빠져 있는 환자에게 기쁜 노래를 들려주되 랩 송과 같이 단순히 박자가 빠른 것만 권해서는 안된다. 사용된 악기와 調의 구성, 가사의 의미까지 파악한 후 거기에 맞는 음악을 권해야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가장 먼저 국악을 필수적으로 이해해야 한다. 단지 음악만을 듣지 말고 연주도 해보는 것이 좋다. 또 국악인들과 많은 대화를 갖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그리고는 클래식이나 재즈를 비롯하여 각종 유행가도 섭렵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는 환자를 전인격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이다.

최근 명상 음악이나 태교 음악이 많이 나오고 있지만 그 수준은 매우 낮다고 할 수 있다. 대부분이 클래식을 중심으로 자연의 효과음을 넣은 정도에 불과하다. 한의학적인 해석이 가해진 음악은 찾아 볼 수 없다. 또 우리 음악을 기초로 만들어진 것도 적다. 김영동의 명상 음악 禪 ⅠⅡ(서울음반)가 우리의 소리를 담은 것으로 눈에 띈다. 그 이외에는 대부분 서양음악을 기초로 만들어지고 있다. 이런 음악 중 가장 대규모로 창작이 이루어진 것은 아마도 김도향의 태교 음악(전 30개. 서울음반)일 것이다. 그러나 외국의 여러 명상 음악과 비교해 보면 아직 귀에 와 닫지 않는 부분이 많고 주요한 작업은 일본인에 의해 이루어진 것이다.

음악만이 아니라 스포츠 역시 음양오행으로 나눌 수 있을 것이다. 음양오행에 기초한 한의학적인 사고 방식을 이해하게 된다면, 四象 체질에 따라 적합한 운동만이 아니라 그 운동에서 각개인에게 적합한 포지션도 자연스럽게 알게 될 것이다. 모든 것이 마찬가지이다. 고민하고 스스로 생각하는 사람에게는 거꾸로 모든 것이 마찬가지이다. 이런 例는 음악, 운동 말고도 정말로 "不可勝數也."

11 # 醫學史[ | ]

한국의 의학사는 불행하게도 제대로 권할 만한 저작이 없다. 거의 유일하게 이종형, [韓國東醫學史]({한국현대문화사대계3},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77)와 김두종의 {한국의학사}(탐구당)를 들 수 있다. 그러나 이종형의 저작은 절판된 상태이며 김두종의 저작은 특히 일제 시기를 넘어오면서는 매우 불만족스럽다. 북한의 연구 성과는 이데올로기적인 제약이 있지만 홍순원, {조선보건사}(과학, 백과사전출판사, 평양, 1981)는 全時期를 아우른 우리 나라 의학사 책이다. 정성민의 {우리 의약의 역사}(학민사)는 김두종과 홍순원의 저작에 영향을 받아 쉽게 쓰여진 것으로 참고가 된다.

의학사에 관심이 있는 사람은 의학사 책은 아니나 이용태의 {우리 나라 중세과학기술사}(과학기술백과출판사, 평양, 1990. 백산자료원 영인)나 김용운.김용국, {동양의 과학과 사상}(일지사, 1984)을 읽으면 의학을 포함한 전반적인 과학기술의 발전 상황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또한 손홍렬의 {한국 중세의 의료제도연구}(수서원) 역시 도움이 될 것이다.

앞으로 한국 의학사를 공부하고자 하는 사람이라면 史觀의 오류나 史實의 고증 여부를 떠나 三木榮, {朝鮮醫學史及疾病史}(私家版 1955, 限定版 1963)를 반드시 독파해야 할 것이다. 한국에서 이 책을 독파한 사람이 열 손가락 안에 든다는 말이 사실은 아니겠지만(寡聞한 탓으로 글쓴이가 아는 사람 중에 한의사로서 이 책을 독파했다는 말을 아직 듣지 못했다) 그런 말이 나올 수 있는 풍토가 바로 한국 한의학사의 연구 수준을 보여주는 것이다. 한국 의학사의 발전을 기대해 본다.

중국 의학사로는 傳維康 主編, {中國醫學史}(上海中醫學院出版社, 1990)를 보아야 한다. 馬伯英의 {中國醫學文化史}(上海人民出版社, 1994)가 정우열 교수의 번역으로 곧 출판될 예정이다. 꼭 참고하기 바란다. 嚴世藝 主編의 {中醫學術史}(上海中醫學院, 1989)는 본격적으로 한의학을 시작하기 전 참고해야 할 책이다.

일본 의학사로는 일본의 여러 저작이 있지만 오히려 중국에서 쓴 것으로 潘桂娟.樊正倫, {日本漢方醫學}(中國中醫藥出版社, 1994)이 정리가 잘 되어 있다. 다만 여기에도 중국 특유의 中華思想이 넘치고 있다.

그밖에 한의학에 미친 외국의 영향을 보려면 김두종, {한국 의학 발전에 대한 歐美 및 西南方醫學의 영향}(한국연구도서관, 1960)이나 馬伯英.高 .洪中立의 {中外醫學文化交流史}(文匯出版社, 1993) 이외에 프랑케의 {동서문화교류사}(단대출판부, 1995), 王孝先, {絲綢之路醫藥學交流硏究}(新疆人民出版社, 1994) 등을 참고하면 좋을 것이다. 참고로 '絲綢'는 실크 로드를 말한다.

한국 의학사가 제대로 쓰여지려면 반드시 한의사에 의해 저술되어야 한다. 이는 한의학적인 편견을 드러내고자 하는 의도가 아니다. 근대 이후를 제외하면 한국 의학사의 거의 대부분이 한의학에 의해 진행되었고 따라서 연구의 대부분이 한의학을 대상으로 하고 있음에도 한의학에 대한 이해가 없이 한국 의학사를 쓴다는 것 자체가 절대적인 한계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한의학을 알지 못하는 저자에 의한 의학사는 의학 이론의 내적 발전과 쇠퇴에 대해 서술할 수 없으며, 의료 제도에 관한 부분 역시 왜 그런 제도일 수밖에 없는지에 대해 당대의 사상적인 배경과 연관하여 설명할 수 없다. 오로지 정치.경제적인 배경과의 연관 속에서만 설명할 수 있을 뿐이다. 우리는 그런 의학사를 완전한 것으로 보지 않는다.

이러한 한계는 서양 의학을 전공한 저자들에 의한 한국 의학사가 천편일률적으로, 근대에 들어오면(고대와 중세도 마찬가지지만) 일제의 침략과 미군정을 통한 서양 의학의 헤게모니 장악 과정을 매우 중립적이고도 정치적인 사건으로만 다루는 데서도 알 수 있다. 더군다나 대부분의 의학사 책에서는, 어떤 면에서는 미개한 또는 낙후한 한국의 의료계에 서양 의학이 들어오게 되어 비로소 의학다운 의학이 꽃피게 된다는 식으로 서술하고 있다. 그러므로 韓末의 韓醫學 이론에 대해서도 種痘法과 같은, 서양 의학이 우위를 내세울 수 있는 분야의 발전에만 주목하고 있다. 이런 극단적인 편향성은 韓醫學 이론을 알지 못해서 나온 것이라기보다는, 앞으로 서양 의학의 도입과 발전이라는 결론을 염두에 둔 다소 作意的인 것으로 보인다. 왜 한말의 의학 이론이 種痘法밖에 없으며 왜 서양 의학의 도입이 긍정적인 면만 갖고 있겠는가. 이런 史觀이 맥도날드 햄버거와 KFC의 닭고기가 들어오기 위해 우리의 전통 음식이 갖는 한계가 들먹여져야 하고 서양 음식은 현대 생활에 가장 적합할 뿐만 아니라 충분한 영양가(!)를 갖고 있다는 선전을 하는 것과 다를 것이 무엇인가.

의학사에서 세브란스나 京城帝國大學 의학부가 그토록 자랑스럽게 지면을 장식하게 되는 데에는 바로 이러한 沒歷史的인 史觀이 근저에 깔려 있다. 이런 과정이 곧바로 외세의 침략 과정과 맞물려 있다는 지적은 차치하고라도, 그럼으로써 韓醫學(그전까지는 그냥 의학) 이론에 어떤 변화가 왔으며 내부의 대응은 어떠했는지, 당시 도입된 서양 의학의 특수성은 무엇이었는지에 대해 제대로 언급된 책을 찾아 볼 수 없다. 오로지 '객관적인' 제도의 변화와 그 이후의 결과(한의학의 말살과 서양 의학의 헤게모니 장악)에 대해서만 '중립적으로' 서술되어 있다. 그리고 그 이후는 오로지 앞을 향한(前向的인!) 서양 의학의 발전만이 쓰여지게 되는 것이다.

북한의 의학사 서술 역시 많은 점에서 비판을 면치 못한다. 그것은 지나친 이데올로기의 강조가 의학 이론의 내적 변화와 발전.성쇠라는 중요한 축을 놓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의료 제도나 의학 사상의 변화가 사회.경제적인 토대와의 상관 관계보다는 정치 논리에 의해 설명되고 있다는 것도 결정적인 한계다(이는 심하게 말하면 外因 결정론이다). 또 근대로 오면서 서양 의학의 도입과 연관된 부분에서는 제국주의의 침탈이라는 점을 정확히 지적하면서도 그에 대한 대응으로는 오로지 '위대한 수령 김일성 동지'의 업적과 純 제도적인 면 이외에는 의학사라고 할 수 있는 서술이 별로 없다. 그럼에도 이 내용이 의학사 서술의 반을 차지하고 있다.

그러므로 한국 의학사는 반드시 한의사에 의해, 그것도 올바른 사관을 갖은 한의사에 의해서만 쓰여질 수 있다. 글쓴이의 이런 주장이 어느 정도 수긍은 가더라도 매우 감정적이고 주관적이라는 비판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글쓴이는 그런 비판을 기꺼이 받아들인다. 감정이라는 主觀은 다름아닌 객관의 또 다른 반영이며 그런 다양한 層差를 갖는 주관 속에 객관이 존재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글쓴이가 왜 주관적임을 두려워하랴.

전반적으로 의학사 부분에서는 다소 전문적인 저작들도 언급하였다. 그만큼 의학사의 발전을 기원하는 마음이 깔려 있음을 이해해 주기 바란다. 자기의 역사를 갖지 못하는 민족은 영원히 노예일 수밖에 없음을 想起하면서 여러분들의 분발을 바란다.

12 # 인문과학에서 본 한의학[ | ]

한의학과가 理科냐 文科냐 묻는 사람들이 의외로 많다. 지식층일수록 이런 질문을 많이 한다. 이는 아마도 한의학이 자연과학적인 측면도 있지만 인문과학적인 성격을 많이 띄기 때문일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한의학에 대한 인문과학적인 접근은 필수적인 것이다. 그러나 우리 나라에서의 이런 접근은 그다지 많지 않다. 인문과학이 발달한 일본에서 비교적 활발히 연구되고 있으며 그중 중요한 저서들이 많이 번역되어 있는 편이다.

일본의 한의학에 대해 우리 나라의 老壯年層에서는 잘 알고 있으나 젊은 세대들은 접근할 기회도 적고 이해도 낮은 편이다. 그러나 일본의 傷寒論과 鍼灸에 관한 연구는 매우 높다고 할 수 있고 韓藥과 方劑에 대한 서양 과학적 접근 역시 일정한 수준에 이르렀다고 볼 수 있다. 이런 연구 방향에 대한 평가는 사람마다 다를 수 있지만 韓醫學이 나아가고 있는 현실적인 한 방향임에는 분명하다. 그리고 이런 분야에서 일본의 수준은 아무나 쉽게 따라잡을 수 있는 정도는 아니다. 이는 歷代의 {傷寒論}이나 針灸에 관한 일본의 저서가 중국어는 물론 영어나 獨語, 불어 등으로 꾸준히 번역되어 왔다는 데에서도 알 수 있다.

특히 고금 의서에 대한 문헌적 정리와 인문과학적 접근에서는 세계 최고 수준이라고 할 수 있다. 아래의 저서들이 그러한 성과의 일부이다. 여기에서 {傷寒論}이나 針灸에 관한 저서는 제외했다. 이들 저작에 관한 소개는 다음 기회로 미룬다.

가노 요시미츠 지음, 한철연 기철학분과 옮김,   {중국의학과 철학}, 여강, 1991

이 책은 뒤에서 언급할 {기의 사상}에 실린 저자의 논문을 확대 발전시킨 것이다. 특히 제3장의 기에 관한 장은 일본에서 기 연구의 수준을 가늠하게 하는 글이다. 5장은 한의학에서 정신 혹은 뇌가 어떤 위상을 갖고 있는지에 대한 논의이다. 개별적인 논의에 대하여도 그렇지만 저자의 독특한 방법론에서도 계발 받는 바가 크다. 한편 저자는 한국의 法醫學에도 관심을 쏟고 있다. 법의학과 연관하여 西洋醫로서 법의학계의 원로인 문국진의 {古今 無寃錄}(고려의학, 1996)이 나왔다. 이 책은 諺解로 된 具宅奎 {增修無寃錄諺解}를 현대어로 옮기고 각 구절에 대해 현대 의학적인 설명을 붙인 것이다. 한국의 법의학은 중국과도 달리 독자적인 체계를 갖는 것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나아가 일본에 전해져 일본 법의학의 뿌리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정작 한의대 교과과정에는 한의학적인 법의학 과목이 없다. 이제 한의사에 의해 이 책의 典據가 되는 {新註無寃錄}이 번역되고 이에 근거하여 한방 법의학이 발전되어야 할 차례이다.

야마다 게이지 지음, 박성환 옮김,  {중국 과학의 사상적 풍토}, 전파과학사, 1994

의학사는 물론 중국 과학 일반에서 세계적인 수준의 연구를 정력적으로 진행하고 있는 저자의 글을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 이 책에서는 특히 [의학에 있어서 전통으로부터의 창조]라는 장을 두고 있다. 저자의 중국 의학의 형성 과정에 대한 견해는 매우 독자적인 것이다. 저자의 다른 책으로는 {朱子의 자연학}(통나무, 1991)과 編纂한 저서로 {新發見 中國科學史資料の硏究} 譯註篇.論考篇(京都大學 人文科學硏究所, 1985)이 있다. 특히 논고편의 몇 논문들은 반드시 검토해야 할 것이다. 예로 여기에서 山田은 탕액과 침구의 기원에 대한 가설을 내세우고 있다. 앞에서 언급한 {중국 전통 문화와 과학}에도 저자의 논문이 실려 있다. 96년에 출간된 {中國醫學の思想的風土}(소나무출판사에서 번역, 출간 예정) 역시 일독 해야 할 저서이다.

이시다 히데미 지음, 이동철 옮김,  {기 흐르는 신체}, 열린책들, 1996

저자는 인체를 기의 흐름으로 보고 있다. 이 책에서 앞의 야마다의 극구조론에 대한 비판이 가해지고 있다. 저자의 다른 저작으로 石田秀實, {中國醫學思想史}(東京大學出版社, 1992)와 {ところとからだ - 中國古代における身體の思想}(中國書店, 1995) 등이 있다.

한편 중국 고대 의학의 체계화를 시도하고 있는 丸山敏秋, {黃帝內經と中國古代醫學 - その形成と思想的背景および特質}(東京美術, 1988)도 역시 참고해야 한다.

중국의 과학에 대해서는 야부우치, {중국의 과학문명}(민음사, 1997)과 중세의 과학 상황에 대해서는 같은 저자인 藪內淸 編, {中國中世科學技術史の硏究}(角川書店, 東京1963)를 권한다. 이 책에서 의학 부분 역시 연구되고 있다. 천문학에 관한 동양의 자료를 원한다면 藪內淸, {중국의 천문학}(전파과학사, 1985)과 이은성, {曆法의 원리분석}(정음사, 1985)을 보면 될 것이다.

기에 관하여는 번역과 무수한 誤字가 거슬리기는 하나 小野澤精一.福永光司.山井湧 編, {기의 사상}(원광대학교 출판부, 1987)을 보아야 할 것이다. 이 책은 중국에서도 번역되었다. 기에 대해서는 철학적인 고찰로 張立文 主編, {氣의 철학}(예문서원, 1992)의 정리가 돋보인다. 하야시 하지메, {동양의학은 서양과학을 뒤엎을 것인가}(보광재, 1996)는 전문적인 저작이라기 보다는 하나의 소설과 같다. 저자는 해박한 지식을 구사하며 자유분방하게 과거와 현재의 중국 의학이 어디로 갈 것인지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음양 오행은 기와 함께 한의학의 핵심적 개념이다. 이에 대해서는 양계초 외, {음양오행설의 연구}(신지서원)의 정리를 보면 좋을 것이다. 한의사로서 음양 오행만이 아니라 그야말로 우주의 원리에 대해 서술한 한동석의 {우주변화의 원리}(행림출판사)가 있다.

한편 중국의 저작으로 김관도.유청봉 지음, 김수중.박동헌.유원준 옮김, {중국 문화의 시스템론적 해석}(천지, 1994)을 읽기 권한다. 이 책은 중국의 정체 구조를 초안정 시스템으로 분석하여 개방과 개혁을 내세운 저자들의 논문 모음집으로, 저자의 독특한 시스템론적 해석이 잘 드러난 책이다. 특히 [사이버네틱스를 통해 본 한의학의 현대적 이해]라는 글은 한의학에 대해 현대 과학을 응용하여 분석한 논문이다. 최근 시스템론(계통론)으로 한의학을 이해하려는 중국 의학의 경향을 철학적으로 대변하는 글이라고도 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많은 논란이 있지만 현대 중의학의 흐름을 볼 수 있는 글이다.

중국에서 한의학에 대한 인문과학적인 접근은 양도 적고 수준도 일본에 비해 그다지 높다고 할 수 없다. 그러나 劉長林의 {內經的哲學和中醫學的方法}(科學出版社, 1982)은 철학자인 저자의 한의학에 대한 견해만이 아니라 中醫學界의 한 흐름을 대변하는 저서이다. 이 책은 소나무출판사에서 번역되어 나올 것이다. 또한 山田慶兒 선생에게 배운 廖育群, {岐黃醫道}(遼寧敎育出版社, 1991) 역시 중국 학계에서는 인문과학적인 접근의 드문 저작의 하나이다. 劉長林이 계통론을 초기에 한의학에 도입했다면 이를 더 확충한 것은 祝世訥.孫桂蓬, {中醫系統論}(重慶出版社, 1990)이다. 한의학에서의 계통론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를 통해 그 문제점과 한계를 넘어설 수 있다면 한의학의 미래는 그만큼 밝다고 할 수 있겠다.

한편 중국에서는 {내경}을 중심으로 學際間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雷順群 主編의 {內經多學科硏究}(江蘇科學技術出版社, 1990)는 철학만이 아니라 자연과학을 포함하는 방대한 체계를 갖추고 전국적인 규모에서 {내경}을 연구한 성과이다. 이 책 역시 곧 번역 출판될 예정이다.

13 # 과학에의 접근[ | ]

한의학이 과학인가 아닌가에 대해서는 논란이 많다. 그 이유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첫째는 과학이 무엇인지에 대해 각자의 정의와 규정이 다르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므로 서양의 과학만을 과학으로 보는 사람은 동양의 그것을 과학으로 규정하기를 거부하며 반대로 넓은 의미에서의 과학이라는 개념을 쓰는 사람은 당연히 한의학의 과학화를 말한다. 이 문제에 대해서는 뒤의 논문(최종덕)에서 다루기로 하고 먼저 과학 자체에 대해 이해를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한약 분쟁에서 약사들이 '한방의 과학화'를 말했을 때 어느 누구 하나 '과학'에 대해 언급하지 못한 것은 우리의 한계를 보여주는 것이기도 했다. 한의대에 와서는 서양 의학은 물론 서양 것인 과학의 '과' 자도 말하지 말라는 태도를 갖는 사람이 있다. 당연히 이런 사람들은 한의학 이외의 모든 과목에 대해 극히 적대적이며 오로지 학점과 연관해서만 그 과목을 이해하려 한다. 그러나 이런 태도는 가능한 것이기는 해도 지극히 無反省的인 태도이다. 그러므로 자기 자신은 깨달을 수 있어도 다른 사람은 깨닫게 할 수 없다. 자기 자신은 깨달을 수 있어도 여기에서 한의학 자체의 발전은 기대할 수 없다. 앞에서도 말했지만 우리가 지금 이런 자리를 마련한 것은 어디까지나 대학에서의 학문을 전제로 한 것이다. 나 하나의 득도를 목표로 하는 것이 아니다. 그런 의미에서 과학에 관한 저서들을 권한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서양의 과학과 동양의 과학 사이에는 두 지역의 공간적 거리 이상의 격차가 있다. 똑같이 하늘을 쳐다보고 연구하며 똑같이 인체를 갖고 연구하는데도 불구하고 연구 방법이나 과정, 수단, 결과에 이르기까지 어쩌면 그렇게 다를 수 있을지 의문스러울 정도로 차이가 많다. 그러나 결국 동서양이 하나의 산을 오르는 것은 분명하다. 서로 반대의 방향에서 오르는 차이는 있을지 모르나 정상을 향해 나아가는 것은 모두 마찬가지이다. 문제는 서로가 서로를 보면서 거꾸로 상대를, '자신을 바라보는 거울'로 얼마만큼 잘 활용하느냐에 달려 있다. 남을 보지 못하면 자기도 볼 수 없다. 이브가 사과를 먹고 부끄러움을 느끼는 것은 바로 남을 보았기 때문이다. 자기 자신 속에 갇혀 있을 때는 옷을 벗어도 부끄러운 줄 모른다. 그러나 남을 의식하면서 내가 벗었다는 것을 그제야 알게 되는 것이다. 무반성적인 의식(일종의 小兒 自閉症이다)은 바로 사과를 먹기 이전의 이브에 불과한 것이다. 이런 점에서 동서양의 문화적 차이에 주목하여 동서양의 과학을 비교한 김필년, {동서문명과 자연과학}(까치)을 권한다.

실제 한의대에 들어와 당하는 여러 당혹감과 거부감은 일반적으로 상상하는 것 以上일 것이다. 韓醫大生치고 이런 틈바구니에서 고민과 방황을 하지 않았다면 그건 거짓말일 것이다. 이런 한의대생 되기의 곤혹스러움을 的實히 보여주는 책이 있다. 신현규, {아, 恨의학}(연암, 1996)이 그것이다. 저자는 누구보다도 '한의학적인 것'에 심취했고 또 거기를 향해 가려고 노력했던 사람이다. 그러나 그런 자세에도 불구하고 현실적으로 부딪치는 여러 문제들에 대해 참으로 솔직하게 털어놓고 있다. 이 책은 바로 여러분의 과정과 마찬가지 과정을 거친 사람의 절절한 고백이다. 한의대생들의 글을 모아 놓은 김용옥 편저, {너와 나의 한의학}(통나무, 1993)과 함께 읽어보면 나의 고민이 다른 사람과 그렇게 다르지 않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과학에 대해서는 글쓴이가 천박한 지식밖에 갖고 있지 못해서 자세한 설명을 할 수 없다. 다만 몇 권의 저서들을 소개하는데 그친다. 여러분께서 각자의 관심과 실천적 관점에 따라 개론서에서부터 전문서까지 다양하게 섭취하시기 바란다.

먼저 과학 전반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버날, {과학의 역사}(1, 2, 3권. 한울, 1995)를 추천한다. 이미 고전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저서이다. 과학의 역사만이 아니라 과학의 사회적 책임과 역할, 사상적인 근원으로서의 과학을 다루고 있다. 반드시 일독을 권한다.

한편 최근 사회생물학적인 흐름에 대한 논쟁으로 서유헌 외 공저, {인간은 유전자로 결정되는가}(명경, 1995)와 스티븐 로우즈 외, {우리 유전자 안에 없다}(한울, 1993)는 생물학에 큰 전문지식이 없어도 최근 생물학의 흐름과 함께 성과를 알 수 있게 해준다.

제프리 A. 그레이의 {파블러프와 조건반사}(우성문화사, 1986)는 간단히 소개되어 알던 파블러프의 다른 측면, 조건반사의 심리학적.의학적(정신병리학적) 의미를 보여준다.

찰스 브라운, {과학의 지혜}(이대출판부)와 가즈모토, {생명의 물리학}(전파과학사)은 쉽게 과학에 접근하게 해주는 책이며, 다소 어려울지 모르지만 최종덕, {부분의 합은 전체인가}(소나무, 1995)는 최신 과학의 여러 흐름들을 비판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저자는 물리학과 과학 철학을 전공하고 최근에는 한의학의 철학을 기반으로 동서고금을 아우를 수 있는 새로운 과학관, 새로운 패러다임을 추구하고 있다. 반드시 일독을 권한다. 다소 전문적인 내용이지만 장회익, {과학과 메타과학}(지식산업사)을 읽어보면 현대 과학의 흐름만이 아니라 저자의 학문을 하는 자세까지 엿볼 수 있을 것이다.

岩崎允胤의 {자연과학과 변증법}(미래사, 1987)은 과학과 철학과의 관계를 잘 보여주고 있다. 물질과 운동, 공간과 시간, 질과 양 등에 대한 자연과학적.철학인 설명이 수미 일관되게 서술되어 있다.

프롬.오스본 지음, {정신분석과 유물론}(선영사, 1987)은 정신분석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제시해 줄 것이다. 흔히 프로이트로 대변되는 서양의 정신분석에 대해 많은 비판이 나왔지만(이를테면 들뢰즈와 가따리의 {앙띠 오이디푸스}, 민음사, 1994) 전체적으로 보면 아직도 그 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느낌이다. 아마도 이는 한의학에 의해 극복이 되지 않을까 생각해 본다. 한의학에는 프로이트적인 전통과 무관하게 독자적인 정신과학이 있다. 글쓴이의 생각으로는 프로이트에 대한 가장 적절한 비판과 극복은 오로지 韓醫學에서만 가능하다고 본다. 韓醫學의 꿈 해석과 精神에 대한 연구를 통해서만이 精神 세계가 올바로 해명이 될 것으로 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최근 나오고 있는 프로이트의 전집 중 예를 들면 {꿈의 해석}이나 {정신분석입문}과 같은 저작을 비판적으로 직접 읽어보아야 할 것이다.

더불어 한의학의 인식론이나 심리학과 연관된 부분에 대한 연구에 많은 관심을 갖기 바란다. 韓醫學의 인식론은 다른 어떤 철학 체계와도 다른 독자적인 내용을 갖고 있다. 한 마디로 말하자면 精神과 육체를 하나로 보는 관점이다. 물론 많은 철학이나 의학의 학파들은 精神과 육체의 합일을 말한다. 그러나 韓醫學만큼 首尾一貫되게, 그리고 철저히 心身의 合一을 말할 뿐만 아니라 이를 실천에 옮기는 학문은 없다. 그러나 아직까지 이를 명쾌히 설명하는 저작도 없다. 만일 이 부분에 대해 누군가가 韓醫學의 인식론을 완성한다면 세계 哲學史上의 획기적인 작업이 될 것이다. 韓醫學은 그야말로 모든 학문 분야의 무궁한 학문적 寶庫라고 할 수 있다.

이외에도 물리, 화학, 천문학 등 최근에는 쉽게 쓴 대중서가 많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글쓴이의 무능력으로 더 이상의 소개는 어려울 것 같으므로 각자의 관심에 따라 다양하게 읽기 바란다. 주요 참고 문헌만 간단히 열거한다.

김영식 편, {과학사 개론}, 다산출판사
김영식.박성래.송상용,  {과학사}, 전파과학사
Butterfield, {근대과학의 기원}, 탐구당
Lakatos, {현대과학철학논쟁}
Kuhn, 김명자 역,  {과학혁명의 구조}
Popper, {열린 사회와 그 적들}, 민음사
Whitehead,  {과학과 근대세계}, 서광사
Renyi, {수학의 발견}, 청아
김용준, {현대과학과 윤리}, 민음사, 1988
김용준, {무한과 유한}, 지식산업사
Ziman, {과학사회학}, 정음사
{과학과 철학}, 통나무
장기홍, {진화론과 창조론}, 한길사
계영희, {수학과 미술}, 전파과학사
Wilcox, {신과 자아를 찾아서}, 이대출판사
Andrade, {아이작 뉴튼}, 전파과학사
中山茂,  {과학과 사회의 현대사}, 풀빛
Pepper, {현대환경론}, 한길사

14 # 한국 과학 기술사[ | ]

원래 순서대로 라면 한국 과학 기술사는 한국 의학사 앞에 나와야 할 것이다. 왜냐하면 한국 한의학사를 연구하려면 한국 과학 기술사에 대한 이해가 없이는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당대의 다른 과학 기술의 발전 및 사상사의 흐름 속에서 한국 한의학사를 보아야 온전한 의학사가 완성될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다소 오래 되었지만 홍이섭, {조선과학사}(정음사, 1946)를 보면 전반적인 흐름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전상운, {한국 과학기술사}(정음사, 1983)는 최근의 연구 성과를 담은 것으로 한국 과학사를 시작하는 책이 될 수 있다. 또한 북한의 자료로 직접 과학사를 다룬 것은 아니나 사회과학원 역사연구소, {조선문화사}(오월, 1985)는 비교적 체계적으로 당시의 문화 사회 상황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과학사상연구회, {과학과 철학} 제2집(통나무, 1992)은 [조선후기의 과학사상]을 특집으로 다루고 있다. 여기에 나온 논문 및 그 논문에서 소개한 여러 연구 성과를 참고하면 좋을 것이다.

한국학의 다른 분야와 마찬가지로 한국 과학 기술사에 관한 적절한 책을 찾기는 쉽지 않다. 이는 한의학과 마찬가지로 우리의 한국학에 관한 연구가 전반적으로 낙후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科學史 하면 서양의 과학사나 중국의 과학사를 들먹여야 통하는 학계의 풍토와도 관계가 있다. 제한적인 성과이기는 하나 앞의 한국 한의학사 부분에서 소개한 책들과 함께 참고하기 바란다.

15 # 한의학 입문서[ | ]

한의학 입문서라고 하여 {한의학 개론} 같은 것만이 아니라 사실 앞에서 열거한 책들이 바로 한의학 입문서라고도 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보다 직접적으로 한의학적인 내용을 담고 있는 책들을 소개하도록 하겠다.

한의학 개론서로 마땅한 책이 별로 없다. 지정옥, {한의학 에세이}(동녘, 1994) 정도가 초입자를 위한 책이라고 할 수 있다. 다소 衆口難防이 되는 감이 없지 않지만 조헌영, {한의학 이야기}(학원사), 김홍경, {동양의학혁명}(신농백초), 박찬국, {한의학 특강}(한뜻, 1995) 등을 읽어보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다. 지정옥의 책은 가장 기본이 될 만한 내용을 일반 대중을 상대로 쉽게 우리말로 바꾸어 본 것이며, 조헌영의 저작은 193, 40년대에 서양 의학과의 논쟁을 통하여 나온 저작으로 동서양 의학을 통합하려는 저자의 노력이 보인다. 김홍경의 책은 禪에 심취한 저자의 독특한 시각을 볼 수 있다. 이 책 말고도 여러 권의 책이 있다. 최근 나온 {한방불패}(신농백초, 1997)는 약사법 투쟁과 연관한 최근의 흐름을 함께 볼 수 있다. 박찬국의 저서는 '혼자 고민하기'의 대표적인 결과물이다. 韓醫學은 물론 사회문제에 이르기까지 적극적으로 나서서 발언하고 고민하는 저자의 치열한 태도가 잘 드러나 있다. 또한 시각이나 서술에 문제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영어 공부한다는 셈치고 서양인을 위한 개론서인 Ted J. Kaptchuk, The Web That Has No Weaver(Congdon & Weed, 1983)를 읽어보면 좋을 것이다. 이 책은 미국 한의대 韓醫學 원론 교재 중 하나다. {벽안의 의사가 본 동양의학}(가서원, 1992)으로 번역본이 나왔다. 역자는 서울대 의대 학생으로 동의학연구회 회원이기도 하다.

韓醫學 입문서는 아니지만 藤原知.芹澤勝助, {경락의 대발견}(일월서각, 1986)을 읽어보면 도움이 될 것이다. 이 책은 1960년대 북한의 김봉한이라는 학자의 봉한 이론을 설명한 것인데, 아마도 국내에 소개된 최초의 본격 저작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에 대해서는 '세계적으로' 찬반 논의가 있다(전세계는 이 봉한 이론에 대해 그야말로 경악을 금치 못했으며 소련은 물론 미국, 일본, 프랑스 등지에서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졌었다). 현재의 상황은 대부분 봉한 이론에 대해 회의적인 입장이지만 아직도 봉한 이론이 내세운 발상과 문제의식을 이어나가려는 사람들이 있다. 봉한 이론은 한마디로 經絡이 실체로서 존재한다는 것이며 이를 김봉한 자신이 발견했다는 것이다. 그리고 더욱 중요한 사실은 봉한 이론에서 밝혀진 봉한 소체나 봉한관 등에 의해 지금까지 의학계에서 해명되지 못한 세포 분열이나 모든 생명 현상이 바로 여기에서 이루어지고 있음을 증명한 데에 있다고 하겠다. 물론 이러한 주장의 진위는 아직까지는 부정적인 것이다. 분명한 것은 봉한 이론이 단순히 생물학적인 검증의 문제가 아니라 철학적으로 "기능이 있는 곳에 실체가 있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는 것이며 이런 입장이 과연 한의학적으로 어떻게 설명될 수 있는가 하는 데에 있다. 또한 최근 봉한 학설과 무관하게 진행되는 여러 연구들 중 일부가 봉한 학설과 유사한 결론에 이르고 있다는 점도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 최근 김봉한에 관한 여러 저서가 나왔는데 대개 위 책의 敷衍 정도로 보면 된다.

다 같은 한의학 입문서라고 하지만 저자에 따라 시각 차이가 크다. 학교에서 배우게 될 한의학 개론이라고 하여 나와 있는 대부분의 책들은 거의 中醫學 개론서를 번역한 것인데, 이들 개론서는 우리의 전통적인 生理.病理觀과 다르며 치료 역시 분명히 다르다. 아직도 중국의 책을 번역해서 쓰고 있는 현실을 이해할 수 없다. 들어가는 문이 다르면 나오는 문도 다르기 마련이다. 늘 깨어 있는 의식을 갖고 읽어야 할 것이다.

16 # 영어판 한의서들[ | ]

영어판을 소개하는 김에 Ralph C. Croizier, Traditional Medicine in Modern China(Harvard Univ. Press, 1968)도 읽어보면 좋을 것이다. 이 책은 제목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의학적인 접근이라기보다는 사회.문화적인 접근에 치중하고 있다. 이하에서 글쓴이가 입수한 일부 영어판을 무작위로 소개해 보겠다.

  • Paul U. Unschuld, Medical Ethics in Imperial China-A Study in Historical Anthropolog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79. 141
의료 자원의 분배를 둘러싼 고대 중국의 역사를 유가를 중심으로 한 논쟁으로 정리하였다.
  • , Medicine in China-A History of Pharmaceutics, Univ. of California Press, 1986.
神農에서 20세기에 이르는 중국 본초학의 역사를 다룬 책이다.
  • , Nan-Ching-The Classic of Difficult Issue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6.
{난경}의 원문과 중국 및 일본의 주석서를 모두 모아 영역한 저작이다.
  • , Medicine in China-A History of Idea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5.
고대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의학의 발전을 사상적인 측면에서 연구한 책이다.
  • , Forgotten Traditions of Ancient Chinese Medicine, Paradigm Publications, 1990
徐靈胎의 {醫學源流論} 번역본이다.
  • , Introductory Readings in Classical Chinese Medicine, Kluwer Academic Publishers, 1988
중국 중요 고전의 選讀을 위한 발췌 번역본이다.
  • Manfred Porkert, The Essentials of Chinese Diagnostics, ACTA Medicine Sinensis Chinese Medicine Publications Ltd., 1983.
한의학적 진단법에 관한 저술이며 그밖에 저자의 저작에 The Theoretical Foundations of Chinese Medicine: Systems of Correspondence, The MIT Press, Cambridge, Mass., 1974 등이 있다.
  • Kiiko Matsumoto & Stephen Birch, Five Elements and Ten Stems-Nan Ching Theory, Diagnostics and Practice, Paradigm Publications
{황제내경}, {난경}을 중심으로 음양 오행과 십간의 이론을 설명하고 그 연관 체계와 진단, 치료까지를 서술하였다.
  • {내경}에 대한 번역본은 그 동안 여러 번 간행되었는데 최근 새로운 번역본이 나왔다.
    • {素問} 1-34장까지의 번역으로 Ilza Veith, The Yellow Emperor's Classic of Internal Medicine(Univ. of California Press, 1949, 1966)이 있으며, 최근에 나온 것은 완역본은 Maoshing Ni, The Yellow Emperor's Classic of Medicine(Shambhala Pub., 1995)이다.
    • {靈樞}는 Ling Shu or The Spiritual Pivot, Translated by Wu Jing-Nuan(Distributed by Univ. of Hawaii Press, 1993)으로 완역이다. 우리 나라에서도 한국침구학회에서 {영추}의 번역본이 나왔다. The Canon of Acupuncture-Huangti Nei Ching Ling Shu, Complied by Ki Sunu & Yukyo Lee, Hong Sung Enterprise Ltd., 1985. 1-40장까지 번역되어 있다.
  • Zhang Zhongjing, Treatise on The Diseases Caused by Cold, Translated by Luo Xien, New World Press, Beijing, China, 1986.
중국에서 나온 張仲景의 {상한론}의 번역본으로 Needham의 서문이 붙어 있다.
  • , Synopsis of Prescriptions of The Golden Chamber, Translated by Luo Xien, New World Press, Beijing, China, 1987. 366 pages
마찬가지로 張仲景의 {금궤요략} 번역본이다.
  • Chang Chung-Ching, Chin Kuei Yao Lueh-Prescriptions From The Golden Chamber, Translated by Wang Su-yen & Hong-yen Hsu, Oriental Healing Arts Institute of The United State, 1983.
대만에서 출판된 {金 要略講義}의 번역본이다. 이 출판사에서는 {상한론}도 출판하였다.
  • Claude Larre, Jean Schwartz & Elisabeth de la Vall e, Survey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Translated by Sarah Elizabeth Stang, Institut Ricci, Paris & Traditional Acupuncture Institute, Columbia, 1986.
저자들은 프랑스 Ecole Europ enne d'Acupuncture의 교수이다. 중국 사상사에서 차지하는 중국 의학의 지위와 전망에 대해 서술하였다.
  • Felix Mann, Scientific Aspects of Acupuncture, Second Edition, William Heinemann Medical Books Ltd., London, 1983.
침과 경락의 기 현상에 대한 대표적 현대 과학적 연구의 하나로 일어로도 번역되었다. 저자의 저서에 Acupuncture: The Ancient Chinese Art of Healing, The Meridians of Acupuncture, The Treatment of Disease by Acupuncture, Atlas of Acupuncture, Acupuncture: Cure of Many Disease 등이 있다.
  • Dianne M. Connelly, Traditional Acupuncture: The Law of The Five Elements, The Centre For Traditional Acupuncture INC., 1979.
오행에 관한 설명과 약간의 임상 연구에 관한 책이다.
  • Li Shi Zhen, Pulse Diagnosis, Translated by Hoc Ku Huynh, Paradigm Publications, 1985. First Published 1981. Sydney, Australia.
李時珍의 {瀕湖脈學}의 번역본이다. 맥진에 관하여는 Reuben Amber & Babey-Brooke에 의한 Pulse Diagnosis(Aurora Press, 1993)도 있다.
  • Leon Hammer, Dragon Rises, Red Bird Flies-Psychology & Chinese Medicine, Station Hill Press, Inc., 1990.
중국 의학과 심리학의 문제를 음양 오행을 중심으로 해석한 독특한 책이다.
  • Pierre Huard & Ming Wong, Chinese Medicine, Translated by Bernard Fielding, McGraw-Hill Book Co., 1968.
비교적 초기의 중국 의학사 연구로 이 저자들의 또 다른 저작인 {東西醫學史大綱}(탐구당)이 허정 교수의 번역으로 나와 있다.
  • Howard S. Levy and Akira Ishihara, The Tao of Sex-The Essence of Medical Prescriptions(Ishimpo), Integral Publishing, 1989. 241 pages
{醫心方}의 영역본으로 초판은 1968년. 1989년판(제3판)에는 그림이 포함되어 있으며 부록으로 일본에서의 중국 의학과 저자들의 대담이 실려 있다.
  • Shudo Denmei, Introduction to Meridian Therapy, Eastland Press, 1983
일본의 침구에 대한 책자이다.

이상에서 한의학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 책만 골라 보았는데 歐美圈의 저자가 보면 압도적이고 고전은 주로 중국 혹은 중국계가 다수이다. 또 일본의 저작이나 일본인에 의한 저서가 있는데 비해 한국의 저서는 거의 없다. 최근 조헌영 선생의 {通俗韓醫學原論}을 영역한 Oriental Medicine - A Modern Interpretation, Translated & Revised by Kihyon Kim(Yuin Univ. Press, 1996)이 나왔고(이 책은 동과연에서 구할 수 있다) 최승훈 교수 등이 번역한 {東醫壽世保元} 영역본이 있다. Longevity & Life Preservation In Oriental Medicine(Kyung Hee Univ. Press, 1996)

이렇게 다소 衆口難防으로 영어판을 소개한 이유는 간단하다. 우리의 한의학을 말하려면 먼저 우리의 내용이 있어야 하며 그 다음에는 그것을 밖으로 드러낼 형식이 있어야 한다. 그 형식의 하나는 영어라는 언어이다. 여러분의 분투를 기다린다.

17 # 대중용 한의서[ | ]

아래에서는 대중용으로 나온 한의서들을 소개하도록 하겠다. 이런 저작들을 소개하는 이유는 한의학 입문용으로 좋을 뿐만 아니라 앞으로 대중적인 홍보는 어떻게 할 것인지에 대해 미리 고민할 필요도 있기 때문이다. 또 실제 임상에서 잡다하게 필요한 지식들을 제공받을 수도 있다.

그 동안 나온 한의학 대중서들을 보면 참으로 빈약하기 그지없다. 한의사로서도 어려운 전문용어를 그대로 노출하는가 하면 서양 의학으로 다 설명해 놓고 마지막에 슬쩍 한의학적인 치료를 제시하기도 하며, 치료 사례 중심으로 열거하여 마치 광고 같은 느낌을 주는 책(실제 스포츠 신문이나 잡지의 광고란을 보면 책 광고인 것처럼 위장하여 자신의 의술을 선전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일반인에게 침자리나 약 처방 등을 제시하여 불법 의료 행위를 조장하는 책(서양 의사가 쓴 책 중에 어떤 병에는 무슨 약을 먹고 무슨 주사를 놓으라고 써 놓은 책을 본적이 있는가), 책의 장정이나 편집에 불성실하여 무슨 운전 면허 교습책처럼 만들어 놓은 책, 중국이나 일본의 책을 그대로 번역해 놓고는 자신의 이름을 저자로 明記한 책 등 참으로 난장판도 이런 난장판이 없다. 여러분의 분발을 기대하며 몇 가지 서적을 소개한다. 여기 소개하는 책만이 반드시 좋은 책이라고 할 수도 없으며 오히려 문제가 되기 때문에 소개한 책도 있고 글쓴이의 寡聞으로 빠진 저작도 많다. 또 수없이 쏟아지는 모든 책들을 다 검토할 수도 없었다. 여러분의 부지런함만이 이 부족함을 메울 것이다.

먼저 음식과 연관된 책들을 소개한다.

이규태, {재미있는 우리의 음식이야기}(기린원, 1991)는 韓醫書는 아니지만 우리 음식 문화에 대한 좋은 안내서이다. 조병채 편역, {食經}(자유문고, 1987)은 {飮膳正要}, {居家必用事類全集}에서 발췌한 것으로 고전적인 음식 문화에 대한 안내서이다. 이외에 식품 학자인 유태종, {식품보감}(서우, 1993)과 같은 저자의 {음식궁합}(둥지, 1992)은 하나씩 갖추고 있으면 도움이 된다. {음식궁합}과 같은 책은 사실 한의학적으로 먼저 나왔어야 하는 책이다. 우리의 본초 이론에 의하면 약물의 七情이 있다. 칠정이란 약물끼리 서로 약효를 도와주거나 깎거나 무마하는 등의 일곱 가지 작용을 말하는 것이다. 이것이 바로 음식에 적용되면 음식 궁합이 되는 것이다. 예로 돼지고기와 새우젓 같은 것이 그런 예이다. 이에 대한 고전의 기록도 충실히 남아 있다. 이런 작업을 한의사가 하지 못한 것은 참으로 애석한 일이다. 한의학적인 내용을 담은 것으로 심상용, {漢方食療解典}(창조사, 1976)이 거의 유일하다. 그러나 이 책은 그 개척자적인 의의에도 불구하고 한의학 이론을 무작위적으로 열거하고 있으며 서양 과학의 지식과 적절히 연결되지 못하고 있다. 본초에 관심이 있는 분들은 지금부터라도 매일 매일 내가 먹고 있는 음식들에 대한 자료를 모을 필요가 있다. 그저 동서 의학적인 지식만이 아니라 예를 들어 호박은 어디서 언제 나오고 종류는 어떤 것이 있으며 요리는 어떻게 하며 호박과 연관된 농담이나 속담이 있는지에 대해 어머니, 할머니, 동네 아주머니 아저씨들로부터 자료를 수집해야 한다. 이런 것들이 모여 한의학적인 지식을 기초로 서양 과학의 성과와 결부하여 서술된다면 올바른 음식 문화를 만드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또 이와 연관하여 요리에 대한 관심 역시 중요하다. 한약은 불이 없으면 다릴 수 없다. 음식도 마찬가지다. 왜 불고기와 같이 얇게 저민 고기는 센 불에 굽고 등심과 같이 두껍게 썬 고기는 먼저 센 불에 굽다가 불을 줄여 굽는지를 아는 사람만이 약을 제대로 修治라고 다릴 수 있다. 한약 처방의 이름이 왜 어떤 것은 四物'湯'이고 어떤 것은 理陰'煎'인지, 불을 알지 못하면 약을 다릴 수도 없다. 우리 음식도 마찬가지다. 찌개가 있고 탕이 있고 찜이 있다. 굽는데도 여러 가지 차이가 있다. 醫食은 同源인 것이다.

불교와 건강의 관계에 대해서는 服部敏郞, {불교의학}(경서원, 1987)과 가네마루 소테쓰, {몸에 좋은 부처님 의학}(고려원미디어, 붓1994), {붓다의 호흡과 명상}(정신세계사, 1991) 등이 있다.

도교와의 관계에서는 吉元昭治, {道敎와 不老長壽醫學}(열린책들, 1992. 내용도 그다지 충실한 편이 아니고 번역에도 많은 문제가 있다)이 있다. 도교에 관심이 많은 분들은 한국도교사상연구회에서 펴내고 있는 한국도교사상연구총서(아세아문화사) 중 관심있는 부분을 찾아보면 도움이 된다. 1987년에 제1집 {도교와 한국사상}에서부터 현재까지 제10집({도교의 한국적 변용})이 나와 있다. 주로 도교와 연관된 사상과 문학이 중심이지만 거의 매호마다 빼놓지 않고 양생과 연관된 논문이 실리고 있다. 제10집에서는 이진수의 [죽간 양생방에 관한 고찰]과 박병수의 [조선시대 도교 精氣神論의 전개양상]이 실려 있다.

기와 연관하여 원광대학교 생명과학연구소 기의학분과, {기의 시대 면역의 시대}(언립, 1995)가 있다. 기에 대한 자연과학적인 접근의 한 방법을 보여준다. 이외에도 기에 관해서는 수많은 책이 나와 있다. 이케가미 쇼지, {기의 불가사의}(동화문화사, 1991), 유아사 야스오, {기-인체가 내뿜는 에네르기}(화계, 1991) 등이 그것이다. 그러나 어느 하나 일독을 권할만한 권위가 있는 저작은 별로 없는 듯하다.

한편 아유르베다라고 하는 인도 의학의 전통에서 서양과학과의 접목을 시도한 디팍 초프라, {완전한 건강}(화동, 1994)이 있다. 저자의 다른 저서도 많이 번역되어 있다. 현재 미국에서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는 저서이다.

서양 의사의 저작으로 추천하고 싶은 것은 리규하, {쪼개 본 건강상식}(대원미디어, 1996)과 자연 치료에 대해 체계적으로 소개한 오홍근, {자연치료의학}(가림출판사, 1996)이다. {쪼개 본 건강상식}은 현재 국내 의학계에서 금기시되는 호르몬 치료의 부작용에 대한 문제 제기로 {조선일보} 상에서 논쟁을 유발하기도 했다. 후자는 향기요법, 색깔치료, 동종요법 등에 대해 서술하고 있다.

서양의사에 의한 저작 중 대중용으로 비교적 좋은 반응을 얻고 있으면서 내용도 충실한 책을 소개하면 이종수, {간 다스리는 법}(동아일보사, 1993)과 이종구, {심장병 알면 이길 수 있다}(고려원미디어, 1996)를 들 수 있다. 한의학적인 측면에서 보면 내용적으로 수긍할 수 없는 부분이 없는 것은 아니나 대중적으로 이해하기 쉽고 체계적인 내용의 서술이 어떠해야 하는지에 대해 잘 보여주고 있다. 또한 법의학적인 내용으로 대중적 인기를 얻은 문국진씨의 {강시 강시}나 {모갈남녀훈}(청림출판사) 등도 재미가 있으면서 의학적 지식을 잘 전달해 주고 있다. 정신과 의사들의 저서가 유행하고 있는데 이시형의 {배짱으로 삽시다}나 {신경성 클리닉}(집현전, 1995), 이나미, 김정일씨 등의 저서는 한두 권 읽어보면 좋을 것이다. 이런 저작들을 읽으면서 한의학의 대중화가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또 그 중요성이 어떠한지 고민할 수 있을 것이다.

지금까지 막상 한의학 저서는 소개가 별로 없었는데 이는 그만큼 소개할 만한 책이 마땅치 않기 때문이다. 한의사가 아니면서도 한의계에 돌아다니는 이야기를 재미있게 모아 놓은 김재길, {흰 서리가 내려도 고추는 시들지 않는다}(신라, 1994) 같은 책은 한의학 대중화의 또 다른 한 길을 보여주고 있다.

한의사의 저작으로는 대중적인 언론 작업을 활발히 하고 있는 신재용의 여러 저서들이 있다. 대표적으로 {MBC 라디오 동의보감}(학원사, 1994), {알기 쉬운 동의민간요법}(국일미디어, 1995) 등이 있다. 송점식의 {한방 피부미용}(효림, 1993)은 피부만이 아니고 한의학적인 인체관을 제시하고 있다. 송일병의 {알기쉬운 사상의학}(하나미디어, 1993)은 사상의학에 대한 개설서로도 읽을 수 있다. 다만 대중서이면서도 2부에 다소 전문적인 내용이 들어간 점이 아쉽다.

그 외에 김달래, {누구는 인삼먹고}(공간미디어, 1996), 박석준, {몸}(소나무, 1995) 등을 읽으면 도움이 될 것이다.

한편 태교와 연관해서는 정말 한의학적인 대중서가 없다. 師朱堂 李氏, {胎敎新記}(성보사, 1991)가 전통적인 태교법을 말해 주고 있다. 태교에 관한 관심은 점점 커지고 있는데도 한의계에서의 연구는 아직 踏步 상태이다. 과거에 존재했던 産科가 지금은 아예 없어졌는데 이제라도 새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부분이다.

태교만이 아니라 소아과 영역 역시 마땅한 대중서가 없다. 김병삼, {잔병치레 아이를 위한 한방육아}(소나무, 1997) 정도가 있을 뿐이다. 서양의학으로는 하정훈, {삐뽀삐뽀 119 소아과}(그린비, 1997)가 잘 되어 있다.

楊力, {주역과 중국의학}(상중하, 법인문화사, 1993)은 {주역}과 한의학의 관계를 보여주는 책이다. 일본에서도 번역이 될 정도로 인기를 끈 책이지만 저자의 입장은 다분히 평면적이고 또한 {주역}을 해석하는데 있어서 철학적인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주역}과 한의학의 관계는 너무도 밀접한 것이지만, {주역}에 이미 유전자 배열이 갖추어져 있다는 것을 事後에 확인하는 것과 {주역}을 통하여 유전자 배열을 미리 발견할 수 있다는 것과는 天壤之差가 있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한의학이 {주역}의 영향을 받았지만 한의학 이론 자체의 자기 발전 역시 무시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또 임상에서의 무수한 경험과 실험을 담당한 한의사들의 노력이 없었다면 오늘날의 한의학은 있을 수 없다. 그러므로 이런 주제를 다룰 때는 매우 신중해야 하는 것이다. 자칫하면 我田引水格의 演繹論만 있게 되는 愚를 범할 수 있으며(그래서 마치 {주역}만 연구하면 의학은 저절로 알게 된다거나 {주역}을 모르면 의학은 전혀 알 수 없게 되는 것같은 착각을 일으키기도 한다) 때로 이런 태도는 中華主義의 한 수단이 될 우려도 있기 때문이다.

18 # 性에 대하여[ | ]

마지막으로 性과 연관된 저서들을 소개한다. 성은 누구나 관심이 있고 또 누구나 즐길 권리가 있는 분야임에도, 서양의학에서는 性 치료사(직접 환자와 함께 성교와 연관된 문제를 實演으로 치료하는 치료사)가 있을 정도로 발달되어 있지만 한의학에서는 아직도 쉬쉬하는 분야이다. 기껏해야 陽氣不足을 도와주거나 불임을 치료하는 데에 그칠 것이 아니고 성에 대해 사회학적이고 인류학적인 접근 등 다양한 접근이 필요하다. 여기에서 굳이 따로 한 항목을 설정하여 소개하는 이유는 바로 여기에 있다. 그래서 저서도 성 자체에 대한 것보다는 인문과학적인 설명을 한 책을 중심으로 소개하였다. 먼저 고전적인 푹스, {풍속의 역사}(풍속과 사회, 르네상스, 색의 시대, 부르조아의 시대. 이상 전4권. 까치)를 권한다. 아마도 성에 관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해 줄 것이다. 또 중국의 성에 관해서는 반 훌릭, {중국성풍속사}(까치, 1993)가 고전적인 저작이다. 동양에서 성의 고전으로는 {소녀방중경}(백산출판사, 1988)과 바짜야나, {카마 수트라}(동문선, 1995)를 보아야 한다. 현대에 와서 발굴된 마왕퇴 의서 중 성에 관한 저작들이 앞에서 소개한 {도교의 한국적 변용} 중 이진수의 논문 [죽간 양생방에 관한 고찰]에 번역되어 있다(다만 원문이 워낙 오래 되어 出入이 많다. 따라서 번역 역시 難澁함을 벗어나기 어려움을 감안해야 한다). 참조하기 바란다.

대중서로는 신재용의 {남性과 힘의 한방}, {완전한 여성한방}(보고싶은 책, 1996) 등이 있다. 서양의학적인 지식이지만 오영근, {성의 과학사전}(전파과학사, 1996)은 사전적인 의미에서 참고가 된다. 한편 출전이나 근거는 다소 의심스럽지만 세계의 性典으로 나온 {인도 좌도밀교의 비밀}, {중국 선도 방중술의 비밀}, {중국 황제방내경의 비밀}, {접명 재생의 옥방비결}, {침실미약의 비밀}(이상 제현출판사, 1995)이 참고할 만하다.

성과 연관하여 한의학적인 성 교과서 역시 이제 쓰여져야 할 것이다. 기존의 성교재는 주로 성장의 단계에 대한 문제(性徵의 단계와 남녀의 차이 등), 姙娠과 피임의 문제, 성병, 성폭행, 성도덕 등에 관한 내용이 주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이런 교육은 거꾸로 성문란의 범람만을 가져 왔다. 그것은 기존의 성교육이 갖는 근본적인 한계이기도 하다. 이는 기존의 성 교육이 다음과 같은 점을 무시하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성이란 첫째 生殖이다. 종족 번식으로서의 성이라는 의미가 가장 먼저 고려되어야 한다는 말이다. 성행위를 갖는 것은 무엇보다도 생식을 위한 것이라는 점을 간과하기 때문에 무분별한 성 도덕이 범람하게 된다. 이는 의학적으로도 중요한 것이다. 피임(사실은 피임보다는 낙태)을 통하여 무제한적인 인구 증가는 막을 수 있었지만, 임신을 하지 않음으로써 나타날 수 있는 여러 가지 병리적 현상을 무시했다는 것이다. 예를 들자면 임신을 하지 않음으로써 초래된 잦은 생리가 여성의 노화를 빨리 진행시킨다든지 생식기와 연관된 질병이나 근골계통의 질병이 만연하게 된다든지 하는 문제를 등한시했다는 점이다. 그러므로 생식을 간과하는 성교육은 근본적으로 반생리적인 것이다. 둘째로 성은 쾌락을 주는 것임에 분명하지만 그런 쾌락을 통한 건강의 유지 및 회복이라는 측면이 현재의 성교육에서 간과되고 있다. 그러므로 현재의 성교육은 맹목적으로 쾌락을 억제하는 방향으로 나가거나 아니면 묵시적으로 쾌락을 방조하고 나아가 조장하는 결과를 가져오고 있다. 이런 점에서 韓醫學은 참으로 균형잡힌, 그리고 인류의 건강한 사회 건설에 일조할 수 있는 대안을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성에 관한 저서 중 진정 한의학적인 관점과 시각으로 제대로 설명한 책은 전무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앞으로 시대는 새로운 성관념과 윤리를 필요로 한다. 봉건적인 윤리나 자본주의적인 윤리에 갇혀 있는 협소한 눈으로는 미래를 그릴 수 없다. 그러기 위해서는 韓'醫學的'인 성도 이해해야 하지만 먼저 성의 역사와 성의 사회 경제적인 배경을 이해해야 한다. 그리고 그럴 때 비로소 올바른 성에 대한 이해가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그때 자연과 인간이 하나로 되는 성, 성에 대한 독점적 지배를 위해 사람들의 관계를 파괴하는 성이 아니라 오히려 성을 통해 사람들의 관계를 아름답게 해주는 성, 성을 통하여 쾌락만이 아니라 종족 번식과 정신적.육체적 건강을 함께 얻을 수 있는 그런 성 제도와 성윤리의 제시가 가능할 것으로 보는 것이다.

19 # {내경}으로 돌아가자, '韓'의서를 읽자[ | ]

그러나 역시 한의학을 본격적으로 하려면 고전 중의 고전이라고 할 수 있는 {황제내경}을 빼놓을 수 없다. 입문서 100권보다도 직접 {황제내경}을 한 번 읽는 것이 더 좋다고도 할 수 있다. 다행히 최근 번역서가 나와서 초보자라고 해도 접근이 쉬워졌다. 한문에 너무 구애되지 말고 그저 번역문만 보아도 좋다.

현재까지 번역서로는 두 종류가 있는데 이경우 옮김, {황제내경소문}(1-4권. 여강, 1994 - 1997)과 배병철 옮김, {금석 황제내경소문}(성보사, 1994) 및 배병철 옮김, {금석 황제내경영추}(성보사, 1995)가 있다. 여강판은 한문을 전공한 역자와 한의사들과의 오랜 작업 끝에 나온 것이며 후자는 중국 책을 번역한 것이다. 현대 中醫學의 定石的인 해석과 간결한 注釋을 원한다면 성보사판을 구하면 좋고 韓의학적인 고민과 해석, 注釋을 보려면 다소 양이 많아도 여강판을 구하면 될 것이다. 앞으로 한의사에 의한 보다 새롭고 완전한 번역은 바로 여러분의 몫일 것이다. 영어 번역본에 대해서는 [영어판 한의서들] 항목을 찾아보면 될 것이고, 이하에서는 {내경}에 대한 주석서 중 학습에 도움이 될 만한 저서를 일부만 소개하도록 하겠다.

{內經}에 대한 개설서로는 용백견, {황제내경개론}(논장)과 앞에서 언급한 傳維康 主編, {中國醫學史}의 해당 부분을 참고하기 바란다. 역대의 주석서는 이루 다 싣기 어려울 정도로 많지만 여기에서는 최근의 연구 성과만을 소개하겠다. 현대의 주석서 중에서 {素問}은 王琦 等 編著, {素問今釋}(貴州人民出版社, 1981)과 郭靄春 主編, {黃帝內經素問校注}(人民衛生出版社, 1992), {靈樞}는 郭靄春 編著, {黃帝內經靈樞校注語譯}(天津科學技術出版社, 1989), {靈樞經校注}(人民衛生出版社), 運氣 부분은 方藥中.許家松 著, {黃帝內經素問運氣七篇講解}(人民衛生出版社, 1982)를 가장 많이 보고 있다. 참고로 {內經}만이 아니라 {傷寒論} 등 고전을 섭렵하고 있는 人民衛生에서 나오는 校注 시리즈는 대부분 믿을 만하다.

그러나 어떤 사람은 잡다한 현대적 해석을 멀리하고 고전적인 해석만을 보기도 한다. 하나의 관점을 갖지 못하고 {內經}을 보아야 혼란만 가중되고 피상적인 이해에 그친다는 것이다. 그런 책으로 馬蒔 撰, {素問注證發微}와 張志聰, {黃帝內經素問集注}를 합하여 흔히 {張馬合注}라고 불리는 {黃帝內經素問靈樞合編}이 있고 高世 의 {黃帝素問直解}, 張景岳의 {類經} 등이 있다. 이외에도 나름의 입장에서 다양한 주석서를 보기도 한다. 또 어떤 사람은 아예 {內經}의 원문만을 보기도 한다. {內經}을 충분히 정독했다면 원문만 보는 방법도 좋을 것이다.

국내에서는 李圭晙(1817-), {黃帝內經素問大要}가 독자적인 {內經} 해석으로 扶陽論을 주장하고 있다. 이 책은 한국에서는 거의 최초로 {內經}을 재해석한 것이며 그런만큼 주목의 대상이다. {內經} 원문과 꼼꼼히 대조하면서 읽는다면 이 책의 位相을 알 수 있을 것이다.

{內經}의 사전으로는 郭靄春 主編, {黃帝內經詞典}(天津科學技術出版社, 1991)과 張登本.武長春 主編, {內經詞典}(人民衛生出版社, 1990) 등이 있다. {內經}에 관해서는 책도 많은 만큼 중요성도 큰 것이다. 그러나 너무 잡다한 주석에 얽매이기보다는 스스로 고민하고 이해하려는 태도가 더 중요하다. 그래서 우리말로 번안된 대중용 {內經}이 하루빨리 여러분의 손에 의해 나올 날을 기대한다.

위에서 {內經}의 중요성을 강조했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우리가 발딛고 서있는 우리의 구체적인 현실로 돌아오기 위한 작업일 뿐이다. 그동안 우리 한의계가 가장 등한시해왔던 분야의 하나가 바로 우리를 아는 작업이었다. 학위가 없다는 이유로, 이론이 체계적이지 않다(정확히는 근대 서구 과학적이지 않다)는 이유로 제도권 교육에서 밀려났던 한의계 원로들이 점점 사라지고 있다. 오로지 中醫學과 西洋醫學을 정확히 외우고 적용할 줄 아는 사람만이, 발 빠르게 새로운(대개 족보가 불분명한) 이론과 기술을 익히고 이를 언론을 통해 교묘히 선전하는 사람들만이 득세하고 있는 듯도 하다. 하루빨리 우리의 의학 전통을 되살리는 일이 불같이 일어나야 한다.

전문 한의서(일부)아래에서는 국내에서 출판된 국내 저작(번역본 포함)을 중심으로, 동과연 회원들 중 일부가 읽고 배운 책 중에서(교과서 제외) 후배들도 꼭 읽고 학습하기를 바라는 저작을 중심으로 묶었다. 추후에 전문 한의서는 따로 독립된 책자로 묶을 예정이나 먼저 몇 가지 저서만 소개한다. 아직 이 항목에 대해 전면적인 조사와 연구를 한 것이 아니므로 극히 일부에 불과하다는 점을 숙지하기 바란다. 싣는 순서는 무작위이다.

  • 여기에서는 표를 붙이지 않았다. 모두 중요하기 때문이다.
  • {상한론}에 관하여는 蔡仁植, {傷寒論譯詮}(고문사)이 오래 읽혀왔다. 최근 나온 文濬典 외 共編, {傷寒論精解}(경희대학교출판국)는 상한론에 대한 지금까지의 중요 해석을 망라하면서 사상의학적인 해석을 시도하고 있다.
  • {동의보감}의 번역본은 그동안은 남산당의 번역본이 읽혔으나 한 권으로 된 장점을 제외하고는 오역과 직역이 너무 많아서 권하지 않겠다. 한국 한의사에 의한 번역본이 나오기 전까지(동과연의 번역으로 소나무에서 나올 예정이다) 북한의 동의학연구소 번역, {동의보감}(여강)을 권한다.
  • {동의수세보원}의 번역본으로는 홍순용.이을호 옮김, {사상의학원론}(행림출판사)이 가장 많이 읽히고 있다. 최근 북한의 번역본이 재편집되어 나왔다. {동의수세보원}(여강) 주석이나 해설없이 원문만 번역되어 있다. 이 번역은 지금까지 나온 것 중 가장 우리말로 풀어져 있다.

침구에 대해서는 {鍼灸大成}을 재해석한 李炳幸, {鍼道源流重磨}가 중요하다. 여기에서 최초로 太極鍼法이 소개되고 있다. 조세형, {舍岩鍼法體系的硏究}(성보사)는 舍岩鍼法에 대한 체계적 서적이다.

  • 본초에 대해서는 여러 저작이 있으나 {本草綱目}과 같은 고전을 제외하고 국내 저작으로는 申佶求, {申氏本草學} 총론.각론(수문사)이 많은 사람으로부터 사랑을 받아왔다. 이는 일관되지 못한 잡다한 지식의 열거가 아니라 나름대로의 관점에서 본초를 서술했기 때문이 아닌가 한다. 본초는 공부해 본 사람은 알지만 그 종류나 내용이 너무 방대하여 일관된 觀이 없으면 자칫 무의미한 지식의 바다에 빠져 실제 임상에서 약을 쓰기 어렵게 된다. 淸 王昻, {本草備要}와 같은 저작은 일독을 권하며 많은 논란이 있지만 淸 唐宗海, {本草問答}도 많이 읽히는 책이다.
  • 方劑 및 임상에 대해서는 많은 저작이 있으나 {方藥合編}이 역시 가장 중요한 저작일 것이다. 흔히 {방약합편} 때문에 한의학의 발전이 늦어졌다고 할 만큼 실제 임상에서 중요한 의서이다. 그러나 막상 {방약합편}을 精讀하는 사람은 적다. 학교를 졸업하기 전에 최소한 한 번의 정독을 권한다. 번역본으로는 신재용의 번역본({방약합편 해설}, 성보사)과 남산당의 것 등 다양하다. 李常和, {辨證方藥正傳}(동양종합통신)은 {방약합편}에 기초하여 저자의 여러 경험방과 이론이 들어가 있는 중요한 저작이다. 歷代에 이런 저작이 많다. 지금까지 중국의 醫書에만 길들여져 있던 사람에게는 그게 그것으로 보일지 모르지만 이러한 類書들 속에서 우리 東醫學의 변화와 발전을 읽을 줄 알아야 한다. 그리고 이런 작업을 위해서는 事大主義者들의 눈밖에 나서 주목받지 못하고 길거리에 나돌아다니고 있는 무수한 {방약합편}의 亞流들을 수집하고 이를 서지학적으로 分類하는 작업부터 이루어져야 한다.

{동의보감}에서 {동의수세보원}에 이르는 의학 이론의 변화과정이 없었다고 보는 사람은 물론 없겠지만, 그 변화가 구체적으로 어떻게 이루어졌는지를 연구하는 사람은 별로 없다. 그리고 이를 연구하기 위해서는 무엇을 해야 하는지 아는 사람도 별로 없다. 오로지 {동의보감}만 파고 오로지 {동의수세보원}만 읽는다. 모든 이론이 그러하듯이 하루 아침에 새로운 이론이 갑자기 생기지는 않는다. 다시 말하지만 반드시 우리의 의서를 읽어야 한다. 우리의 전통을 이어야 한다. 그래야 {동의보감}에서 {동의수세보원}이 어떻게 갈래져 나왔고 또 그렇다면 앞으로 새로운 이론의 발전은 어떠해야 하는지 알 수 있는 것이다. 그래서 우리의 의서를 읽는 풍토가 일반화되어 이를테면 {한국의학대계} 전집을 갖고 있지 않다는 이유로 교수임용에서 탈락하고, 자신의 전공분야와 연관된 韓의서를 한권도 인용하지 않았다고 해서 학위를 받지 못했다는 웃지 못할 일이 벌여져야 일은 제대로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일부 동과연 회원의 추천을 받은 臨床書를 열거하겠다. 다시 말하지만 이는 임의로운 선정에 불과하다. 추후 각 저작에 대한 설명과 함께 완전한 한의서를 소개하도록 하겠다.

金永勳, {晴崗醫鑑}(성보사)
孟華燮, {方藥指鍼}(남산당)
趙憲永, {東洋醫學叢書 五種}(의문사)
홍순승 편저, {洪家定診秘傳}(대성문화사)
李麟宰, {袖珍經驗神方}(의문사)
윤길영, {東醫臨床方劑學}(명보출판사)
채인식, {漢方臨床學}(대성문화사)
배원식, {漢方臨床學}
신경희, {蒼濟證方}(三藏苑)
박병곤, {漢方臨床四十年}(대광문화사)
박인상, {東醫四象要訣}(소나무)
이종형, {停年退任 論文集 및 講義錄}(松齋醫學會)
김영기, {苔巖隨聞驗方錄}(의성당)
안영중, {古今實驗方}(행림출판사)
강순수 외, {바른 方劑學}(계축문화사)
김교희, {主要 處方加減法}(일중사)
박성수 편역, {證候에 의한 한방치료의 실제}
유기원, {診療와 優秀 處方}(성보사)
대한전통한의학회, {芝山先生 臨床學特講}(지산출판사)
경희대 한의과대학 40기 졸업준비위, {四零訣方}({동의보감} 이후의 명청대 처방집)

마지막에 소개한 이 책은 {동의보감} 이후에 나온 중국의 연구 성과가 우리 나라 한의계에서 거의 흡수되지 않은 점에 착안하여 {동의보감} 이후의 처방을 대표적인 저서를 중심으로 모아 놓은 것으로 활용도가 매우 높다고 하겠다. 또 이 작업은 사전에 지도 교수와의 충분한 교감이 이루어져서 대상이 되는 저작의 선정과 마지막 출간에 이르기까지 여러 사람이 노력을 아끼지 않은 것으로 알고 있다. 이처럼 1991년 전국 한의대 졸업준비위원회 협의회가 결성된 이후 졸준위에 의한 여러 훌륭한 작업이 나오고 있다. 예를 들자면 대구한의과대학 제5기 졸업준비위원회가 펴낸 {鍼治百錄}이나 경희대의 졸준위에 의한 {동의보감} 원본의 전산화가 그것이다. 더군다나 {동의보감} 파일은 한의사 통신에 무상으로 올려져서 한의사나 한의대생이라면 누구나 쓸 수 있게 되었다. 매우 고무적인 일이라고 하겠다. 앞으로도 이러한 전산화가 활발히 이루어지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그러나 다른 한편 최근 나오고 있는 졸준위에 의한 고전 번역 붐은 그다지 바람직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왜냐하면 대부분의 번역서들이 지도 교수와의 충분한 사전 조율을 거치지 않은 느낌이 들며 또 지도 교수에 의한 교정을 거치지도 않고 대개 1년이라는 짧은 기간 내에 나온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이로 말미암아 수많은 오역과 체계의 허술함이 눈에 띈다. 책이란 물과 같아서 한 번 나오면 다시 거두어들일 수 없는 것이다. 말로 떠드는 것과 문서로 쓰여지는 것과의 차이가 바로 이것이다. 더군다나 고전을 번역한다는 것은 정확한 번역만이 아니라 경우에 따라 필요한 주석이 달려야 하는 법인데도 최근 쏟아져 나오는 번역본들은 최소한의 이러한 배려도 없다. {의학입문}을 번역한 안병국 선생님이나 채인식 선생님의 작업이 어떠했는지 각 대학의 졸준위는 심사숙고하기 바란다.

한편 북한 자료로 최근 {동의처방대전}(여강)과 {한방전문의 총서}(해동의학사) 등이 나왔다. 중국의 자료와 달리 북한의 자료는 체질적으로나 지역적으로나 친화성이 있다. 북한에서는 우리 나라에서 전통적으로 쓰이지 않는 약재를 별로 쓰지 않았으며 중국의 처방일지라도 그 양을 조정해 놓았다. 북한의 자료가 그대로 우리에게 적용되려면 아직 손을 보아야 하는 부분이 여럿이지만(예로 {동의처방대전}은 약명이 향약명으로 되어 있어서 보려면 여러 차례 책을 들춰야 한다) 주목해야 할 자료라고 하겠다.

이외에도 앞으로 북한의 자료가 대량 쏟아져 나올 것으로 보인다. 매우 바람직한 일이라고 하겠다. 다만 남북한의 차이를 고려하고 나아가 통일 뒤의 모습이 어떠해야 할지를 고민하면서 출판되어야 한다. 한때 북한 자료를 독점하고 있다는 이유로 남북한 용어의 차이를 고려하지도 않고 북한말을 남한 표준말로 바꾼 것 이외에는 아무 작업을 하지도 않고(그것도 편집부 직원이 한 것이다) '아무개 監修' 라는 이름을 달고 돈벌이에 이용된 책들이 있었다. 불행한 일이다. 남북한 용어의 통일 역시 조국의 통일이라는 거창한 대열의 한 隊伍를 차지하고 있음이 분명하다면 바로 이런 작업에 우리의 열정을 쏟아야 할 것이다.

20 # 본 소책자에서 언급된 저서 총목록(紹介順)[ | ]

홍창의 편집, {소아과학}(완전 개정판. 1994, 대한교과서주식회사)
이상은 감수, {漢韓大辭典}(민중서림)
이가원.권오순.임창순 감수, {東亞 漢韓大辭典}(동아출판사)
諸橋轍次, {大漢和辭典}(全13卷. 大修館書店, 日本, 東京, 1983年 修訂版)
{漢語大詞典}(全十三卷. 漢語大詞典出版社)
{漢語大字典}(全八卷. 湖北.四川辭書出版社, 1986)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한국한자어사전}(전4권)
김원중 편저, {허사사전}(현암사)
上海中醫學院 中醫硏究所 編, {中國醫籍字典}(江西科學技術出版社, 1989)
고대민족문화연구소.중국어사전편찬실 편, {중한사전}(고대민족문화연구소)
{민중 日韓엣센스辭典}(민중서림)
{일본어 한자읽기 사전}, 시사문화사
김영진, {일본어 한자 읽기 사전}(진명)
과학 백과사전 종합 출판사, {동의학 사전}(여강출판사 영인)
한의학 대사전 편찬 위원회, {한의학 대사전} 의사문헌편, 한국의사문헌편(모두 성보사 출판)
中國中醫硏究院.廣州中醫學院, {中醫大辭典}(人民衛生出版社, 1995)
김교빈.이현구, {동양철학 에세이}(동녘)
한국철학사상사연구회, {우리들의 동양철학}(동녘, 1997)
김영식 편, {중국 전통 문화와 과학}(창작과 비평사)
카프라, {현대 물리학과 동양 사상}(범양사)
김용옥, {동양학 어떻게 할 것인가}(통나무)
박삼영, {기철학을 넘어서}(라브리, 1991)
안원전, {동양학 이렇게 한다}(대원출판사, 1988)
조동일, {우리 학문의 길}(지식산업사)
니이덤, {중국의 과학과 문명}( 1, 2, 3권. 을류문화사
Joseph Needham & Wang Ling, Science And Civilisation In China, Vol. 2, 3, Cambridge Univ. Press, 1954
李約瑟, {中國科學技術史} 第二卷 科學思想史, 科學出版社.上海古籍出版社, 1990
성백효 譯註, 四書 {懸吐完譯} 시리즈(전통문화연구회)
{經學개설}(청아)
馮友蘭, {중국철학사}(일신사)
Fung Yu-Lan, A Short History of Chinese Philosophy(Free Press, 1948)
馮友蘭, {新原道}(서광사)
馮友蘭, {中國哲學史新編}(全六冊, 人民出版社)
任繼愈 主編, {중국철학사}(까치)
양국영, {陽明學}(예문서원)
조기빈, {反論語}(예문서원, 1996)
이운구, {중국의 비판사상}(여강, 1987)
{노자}, 金敬琢 번역(명지대학 출판부, 1976)
{노자}, 김학주 번역(명문당의 新完譯 시리즈 중 하나)
유영모, {빛으로 쓴 얼의 노래}(無碍)
진고응, {노장신론}(소나무)
葛兆光, {도교와 중국 문화}(동문선)
허항생, {노자 철학과 도교}(예문서원)
류웨이화.먀오룬티엔, {직하철학}(철학과 현실사)
{장자철학}(소나무)
김경방, {역의 철학}(예문서원)
진고응, {주역, 유가의 사상인가 도가의 사상인가}(예문서원)
{주역철학사}(예문서원)
{高亨의 주역}(예문서원)
까오 화이민, {상수역학}(신지서원, 1994)
朱喜, {역학계몽}(예문서원)
김경탁, {신완역 주역}(명문당)
{史記列傳}(까치)
{산해경}(민음사)
{열자}
{묵자}
{순자}
{삼국지}(신원)
{十八史略}
{근사록}(명문당)
한국철학사상연구회, {삶과 철학}(동녘)
한국철학사상연구회, {철학의 명저 20}(새길)
러셀, {서양철학사}(대한교과서주식회사)
玉井茂, {서양철학사}(일월서각)
마르쿠제, {이성과 혁명}, 중원문화
윤영만 엮음, {강좌철학}(1, 2권. 세계, 1985, 1986)
모택동, {실천론.모순론}(두레, 1989)
한국철학사상연구회, {강좌 한국철학}(예문서원, 1995)
박종홍, {한국사상사논고}, 서문사, 1977
역사학회, {실학연구입문}, 일조각, 1983
금장태, {한국실학사상연구}, 집문당, 1987
윤사순, {한국의 성리학과 실학}, 열음사, 1987
이을호, {한국개신유학사시론}, 박영사,  1982
정성철, {조선철학사}2, 이성과 현실, 1988
주홍성.이홍순.주칠성, {한국철학사상사}, 예문서원, 1993
최익한, {실학파와 정다산}, 청년사, 1989
한국사상사연구회, 실학의 철학, 예문서원
최길성, {한국무속지}, 아세아문화사
민족과 사상연구회, {사단칠정론}, 일조각
이우성, {한국의 역사상}, 창작과 비평사
이희덕, {고려 유교 정치사상의 연구}, 일조각
조요한 외, {한국의 학파와 학풍}, 우석
김태곤, {한국의 무속}, 대원사
한국사회사연구회, {한국의 전통사회와 신분구조}, 문학과 지성사
조명기 외, {한국사상의 심층연구}, 우석
삼성출판사의 한국사상전집(全六卷)
    1 {한국의 불교사상}
    2 {한국의 유학사상}
    3 {한국의 실학사상}
    4 {한국의 민속.종교사상}
    5 {한국의 역사사상}
    6 {한국의 근대사상}
최인, {한국사상의 신발견}(오늘, 1988)
윤내현, {한국고대사신론}(일지사, 1986)
이영훈, {조선후기사회경제사}(한길사, 1988)
한국고문서회, {조선시대 생활사}(역사비평사, 1996)
한국역사연구회, {조선 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1, 2}(청년사, 1996)
권오호, {우리문화와 음양 오행}(교보문고, 1996)
홍기문, {洪起文 朝鮮文化論選集}(현대실학사, 1997)
{해방 전후사의 인식}(한길사)
{청년을 위한 한국현대사}(소나무)
박세길, {다시 쓰는 현대사}(돌베개)
유시민, {거꾸로 읽는 세계사}(푸른나무)
네루, {세계사편력}(1, 2, 3. 일빛)
테드 알렌.시드니 고든, {닥터 노먼 베쑨}(실천문학사)
이은성, {소설 동의보감}(창작과 비평사)
노가원, {사상의학}(전5권, 친구)
김용익 감수, 의료연구회 엮음, {한국의 의료}(한울, 1989)
황상익, {재미있는 의학의 역사}(동지)
이종찬, {서양의학과 보건의 역사}(명경)
맥닐, {전염병의 역사}(한울)
이부영 편, {의학개론}(1, 2, 3권. 서울대 출판부)
{악학궤범}(여강출판사 영인)
이종형, [韓國東醫學史]({한국현대문화사대계3},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77)
김두종, {한국의학사}(탐구당)
홍순원, {조선보건사}(과학, 백과사전출판사, 평양, 1981)
정성민, {우리 의약의 역사}(학민사)
이용태, {우리 나라 중세과학기술사}(과학기술백과출판사, 평양, 1990. 백산자료원 영인)
김용운.김용국, {동양의 과학과 사상}(일지사, 1984)
손홍렬, {한국중세의 의료제도연구}(수서원)
三木榮, {朝鮮醫學史及疾病史}(私家版 1955, 限定版 1963)
傳維康 主編, {中國醫學史}(上海中醫學院出版社, 1990)
馬伯英, {中國醫學文化史}(上海人民出版社, 1994)
嚴世藝 主編, {中醫學術史}(上海中醫學院, 1989)
潘桂娟.樊正倫, {日本漢方醫學}(中國中醫藥出版社, 1994)
김두종, {한국 의학 발전에 대한 歐美 및 西南方醫學의 영향}(한국연구도서관, 1960)
馬伯英.高 .洪中立, {中外醫學文化交流史}(文匯出版社, 1993)
프랑케, {동서문화교류사}(단대출판부, 1995)
王孝先, {絲綢之路醫藥學交流硏究}(新疆人民出版社, 1994)
가노 요시미츠 지음, 한철연 기철학분과 옮김, 중국의학과 철학, 여강, 1991
문국진, {고금 무원록}(고려의학, 1996)
야마다 게이지 지음, 박성환 옮김, {중국 과학의 사상적 풍토}, 전파과학사, 1994
야마다 게이지 지음, {朱子의 자연학}(통나무, 1991)
山田慶兒 編纂, {新發見 中國科學史資料の硏究} 譯註篇.論考篇(京都大學 人文科學硏究所, 1985)
山田慶兒, {中國醫學の思想的風土}(소나무출판사에서 번역, 출간 예정)
山田慶兒, {주자의 자연학}(통나무, 1991)
이시다 히데미 지음, 이동철 옮김, {기 흐르는 신체}, 열린책들, 1996
石田秀實, {中國醫學思想史}(東京大學出版社, 1992)
石田秀實, {ところとからだ - 中國古代における身體の思想}(中國書店, 1995)
    위의 책을 번역한 이동철씨에 의해 번역 출간 예정)
丸山敏秋, {黃帝內經と中國古代醫學 - その形成と思想的背景および特質}(東京美術, 1988)
藪內淸 編, {中國中世科學技術史の硏究}(角川書店, 東京1963)
藪內淸, {중국의 천문학}(전파과학사, 1985)
이은성, {曆法의 원리분석}(정음사, 1985)
小野澤精一.福永光司.山井湧 編, {기의 사상}(원광대학교 출판부, 1987)
張立文 主編, {氣의 철학}(예문서원, 1992)
하야시 하지메, {동양의학은 서양과학을 뒤엎을 것인가}(보광재, 1996)
양계초 외, {음양오행설의 연구}(신지서원)
한동석, {우주변화의 원리}(행림출판사)
김관도.유청봉 지음, 김수중.박동헌.유원준 옮김, {중국 문화의 시스템론적 해석}(천지, 1994)
劉長林, {內經的哲學和中醫學的方法}(科學出版社, 1982)
廖育群, {岐黃醫道}(遼寧敎育出版社, 1991)
祝世訥.孫桂蓬, {中醫系統論}(重慶出版社, 1990)
雷順群 主編, {內經多學科硏究}(江蘇科學技術出版社, 1990)
김필년, {동서문명과 자연과학}(까치)
신현규, {아, 恨의학}(연암, 1996)
김용옥 편저, {너와 나의 한의학}(통나무, 1993)
버날, {과학의 역사}(1, 2, 3권. 한울, 1995)
서유헌 외 공저, {인간은 유전자로 결정되는가}(명경, 1995)
스티븐 로우즈 외, {우리 유전자 안에 없다}(한울, 1993)
제프리 A. 그레이, {파블러프와 조건반사}(우성문화사, 1986)
찰스 브라운, {과학의 지혜}(이대출판부)
가즈모토, {생명의 물리학}(전파과학사)
최종덕, {부분의 합은 전체인가}(소나무, 1995)
장회익, {과학과 메타과학}(지식산업사)
岩崎允胤, {자연과학과 변증법}(미래사, 1987)
프롬.오스본 지음, {정신분석과 유물론}(선영사, 1987)
들뢰즈와 가따리, {앙띠 오이디푸스}, 민음사, 1994
김영식 편, {과학사 개론}, 다산출판사
김영식.박성래.송상용, {과학사}, 전파과학사
Butterfield, {근대과학의 기원}, 탐구당
Lakatos, {현대과학철학논쟁}
Kuhn, 김명자 역, {과학혁명의 구조}
Popper, {열린 사회와 그 적들}, 민음사
Whitehead, {과학과 근대세계}, 서광사
Renyi, {수학의 발견}, 청아
김용준, {현대과학과 윤리}, 민음사, 1988
김용준, {무한과 유한}, 지식산업사
Ziman, {과학사회학}, 정음사
{과학과 철학}, 통나무
장기홍, {진화론과 창조론}, 한길사
계영희, {수학과 미술}, 전파과학사
Wilcox, {신과 자아를 찾아서}, 이대출판사
Andrade, {아이작 뉴튼}, 전파과학사
中山茂, {과학과 사회의 현대사}, 풀빛
Pepper, {현대환경론}, 한길사
홍이섭, {조선과학사}(정음사, 1946)
전상운, {한국 과학기술사}(정음사, 1983)
사회과학원 역사연구소, {조선문화사}(오월, 1985)
과학사상연구회, {과학과 철학} 제2집(통나무, 1992)
지정옥, {한의학 에세이}(동녘, 1994)
조헌영, {한의학 이야기}(학원사)
김홍경, {동양의학혁명}(신농백초)
김홍경, {한방불패}(신농백초, 1997)
박찬국, {한의학 특강}(한뜻, 1995)
Ted J. Kaptchuk, The Web That Has No Weaver(Congdon & Weed, 1983)
    번역본 : {벽안의 의사가 본 동양의학}(가서원, 1992)
藤原知.芹澤勝助, {경락의 대발견}(일월서각, 1986)
Ralph C. Croizier, Traditional Medicine in Modern China(Harvard Univ. Press, 1968)
Paul U. Unschuld, Medical Ethics in Imperial China-A Study in Historical Anthropolog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79. 141
         , Medicine in China-A History of Pharmaceutics, Univ. of California Press, 1986.
         , Nan-Ching-The Classic of Difficult Issue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6.
         , Medicine in China-A History of Idea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5.
         , Forgotten Traditions of Ancient Chinese Medicine, Paradigm Publications, 1990
         , Introductory Readings in Classical Chinese Medicine, Kluwer Academic Publishers, 1988
Manfred Porkert, The Essentials of Chinese Diagnostics, ACTA Medicine Sinensis Chinese Medicine Publications Ltd., 1983.
         , The Theoretical Foundations of Chinese Medicine: Systems of Correspondence, The MIT Press, Cambridge, Mass., 1974
Kiiko Matsumoto & Stephen Birch, Five Elements and Ten Stems-Nan Ching Theory, Diagnostics and Practice, Paradigm Publications
Ilza Veith, The Yellow Emperor's Classic of Internal Medicine(Univ. of California Press, 1949, 1966)
Maoshing Ni, The Yellow Emperor's Classic of Medicine(Shambhala Pub., 1995)
Ling Shu or The Spiritual Pivot, Translated by Wu Jing-Nuan(Distributed by Univ. of Hawaii Press, 1993)
The Canon of Acupuncture-Huangti Nei Ching Ling Shu, Complied by Ki Sunu & Yukyo Lee, Hong Sung Enterprise Ltd., 1985.
Zhang Zhongjing, Treatise on The Diseases Caused by Cold, Translated by Luo Xien, New World Press, Beijing, China, 1986.
         , Synopsis of Prescriptions of The Golden Chamber, Translated by Luo Xien, New World Press, Beijing, China, 1987. 366 pages
Chang Chung-Ching, Chin Kuei Yao Lueh-Prescriptions From The Golden Chamber, Translated by Wang Su-yen & Hong-yen Hsu, Oriental Healing Arts Institute of The United State, 1983.
Claude Larre, Jean Schwartz & Elisabeth de la Vall e, Survey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Translated by Sarah Elizabeth Stang, Institut Ricci, Paris & Traditional Acupuncture Institute, Columbia, 1986.
Felix Mann, Scientific Aspects of Acupuncture, Second Edition, William Heinemann Medical Books Ltd., London, 1983.
         , Acupuncture: The Ancient Chinese Art of Healing, The Meridians of Acupuncture, The Treatment of Disease by Acupuncture, Atlas of Acupuncture, Acupuncture: Cure of Many Disease
Dianne M. Connelly, Traditional Acupuncture: The Law of The Five Elements, The Centre For Traditional Acupuncture INC., 1979.
Li Shi Zhen, Pulse Diagnosis, Translated by Hoc Ku Huynh, Paradigm Publications, 1985. First Published 1981. Sydney, Australia.
Reuben Amber & Babey-Brooke, Pulse Diagnosis(Aurora Press, 1993)
Leon Hammer, Dragon Rises, Red Bird Flies-Psychology & Chinese Medicine, Station Hill Press, Inc., 1990.
Pierre Huard & Ming Wong, Chinese Medicine, Translated by Bernard Fielding, McGraw-Hill Book Co., 1968.
Howard S. Levy and Akira Ishihara, The Tao of Sex-The Essence of Medical Prescriptions(Ishimpo), Integral Publishing, 1989. 241 pages
Shudo Denmei, Introduction to Meridian Therapy, Eastland Press, 1983
趙憲永, Oriental Medicine - A Modern Interpretation, Translated & Revised by Kihyon Kim(Yuin Univ. Press, 1996)
崔昇勳 飜譯, Longevity & Life Preservation In Oriental Medicine(Kyung Hee Univ. Press, 1996)
이규태, {재미있는 우리의 음식이야기}(기린원, 1991)
조병채 편역, {食經}(자유문고, 1987)
유태종, {식품보감}(서우, 1993)
유태종, {음식궁합}(둥지, 1992)
심상용, {漢方食療解典}(창조사, 1976)
服部敏郞, {불교의학}(경서원, 1987)
가네마루 소테쓰, {몸에 좋은 부처님 의학}(고려원미디어, 붓1994)
{붓다의 호흡과 명상}(정신세계사, 1991)
吉元昭治, {道敎와 不老長壽醫學}(열린책들, 1992)
한국도교사상연구회, 한국도교사상연구총서(아세아문화사)
    제1집 {도교와 한국사상}
    제10집 {도교의 한국적 변용}
원광대학교 생명과학연구소 기의학분과, {기의 시대 면역의 시대}(언립, 1995)
이케가미 쇼지, {기의 불가사의}(동화문화사, 1991)
유아사 야스오, {기-인체가 내뿜는 에네르기}(화계, 1991)
디팍 초프라, {완전한 건강}(화동, 1994)
리규하, {쪼개 본 건강상식}(대원미디어, 1996)
오홍근, {자연치료의학}(가림출판사, 1996)
이종수, {간 다스리는 법}(동아일보사, 1993)
이종구, {심장병 알면 이길 수 있다}(고려원미디어, 1996)
문국진, {강시 강시}, {모갈남녀훈}(청림출판사)
이시형, {배짱으로 삽시다}, {신경성 클리닉}(집현전, 1995)
김재길, {흰 서리가 내려도 고추는 시들지 않는다}(신라, 1994)
신재용, {MBC 라디오 동의보감}(학원사, 1994),
      , {알기 쉬운 동의민간요법}(국일미디어, 1995)
송점식, {한방 피부미용}(효림, 1993)
송일병, {알기쉬운 사상의학}(하나미디어, 1993)
김달래, {누구는 인삼먹고}(공간미디어, 1996)
박석준, {몸}(소나무, 1995)
師朱堂 李氏, {胎敎新記}(성보사, 1991)
김병삼, {잔병치레 아이를 위한 한방육아}(소나무, 1997)
하정훈, {삐뽀삐뽀 119 소아과}(그린비, 1997)
楊力, {주역과 중국의학}(상중하, 법인문화사, 1993)
푹스, {풍속의 역사}(풍속과 사회, 르네상스, 색의 시대, 부르조아의 시대. 이상 전4권. 까치)
반 훌릭, {중국성풍속사}(까치, 1993)
{소녀방중경}(백산출판사, 1988)
바짜야나, {카마 수트라}(동문선, 1995)
신재용, {남性과 힘의 한방}, {완전한 여성한방}(보고싶은 책, 1996)
오영근, {성의 과학사전}(전파과학사, 1996)
      , {인도 좌도밀교의 비밀}, {중국 선도 방중술의 비밀},
      , {중국 황제방내경의 비밀}, {접명 재생의 옥방비결},
      , {침실미약의 비밀}(이상 제현출판사, 1995)
이경우 옮김, {황제내경소문}(1-4권. 여강, 1994-1997)
배병철 옮김, {금석 황제내경소문}(성보사, 1994)
배병철 옮김, {금석 황제내경영추}(성보사, 1995)
용백견, {황제내경개론}(논장)
王琦 等 編著, {素問今釋}(貴州人民出版社, 1981)
郭靄春 主編, {黃帝內經素問校注}(人民衛生出版社, 1992)
郭靄春 編著, {黃帝內經靈樞校註語譯}(天津科學技術出版社, 1989)
{靈樞經校註}(人民衛生出版社)
方藥中.許家松 著, {黃帝內經素問運氣七篇講解}(人民衛生出版社, 1982)
馬蒔 撰, {素問注證發微}
張志聰, {黃帝內經素問集注}
高世 , {黃帝素問直解}
張景岳, {類經}
李圭晙, {黃帝內經素問大要}
郭靄春 主編, {黃帝內經詞典}(天津科學技術出版社, 1991)
張登本.武長春 主編, {內經詞典}(人民衛生出版社, 1990)
蔡仁植, {傷寒論譯詮}(고문사)
文濬典 외 共編, {傷寒論精解}(경희대학교출판국)
동의학연구소 번역, {동의보감}(여강)
홍순용.이을호 옮김, {사상의학원론}(행림출판사)
{동의수세보원}(여강)
李炳幸, {鍼道源流重磨}
조세형, {舍岩鍼法體系的硏究}(성보사)
申佶求, {申氏本草學} 총론.각론(수문사)
淸 王昻, {本草備要}
淸 唐宗海, {本草問答}
신재용 번역, {방약합편 해설}, 성보사
李常和, {辨證方藥正傳}(동양종합통신)
金永勳, {晴崗醫鑑}(성보사)
孟華燮, {方藥指鍼}(남산당)
趙憲永, {東洋醫學叢書 五種}(의문사)
홍순승 편저, {洪家定診秘傳}(대성문화사)
李麟宰, {袖珍經驗神方}(의문사)
윤길영, {東醫臨床方劑學}(명보출판사)
채인식, {漢方臨床學}(대성문화사)
배원식, {漢方臨床學}
신경희, {蒼濟證方}(三藏苑)
박병곤, {漢方臨床四十年}(대광문화사)
박인상, {東醫四象要訣}(소나무)
이종형, {停年退任 論文集 및 講義錄}(松齋醫學會)
김영기, {苔巖隨聞驗方錄}(의성당)
안영중, {古今實驗方}(행림출판사)
강순수 외, {바른 方劑學}(계축문화사)
김교희, {主要 處方加減法}(일중사)
박성수 편역, {證候에 의한 한방치료의 실제}
유기원, {診療와 優秀 處方}(성보사)
대한전통한의학회, {芝山先生 臨床學特講}(지산출판사)
경희대 한의과대학 40기 졸업준비위, {四零訣方}({동의보감} 이후의 명청대 처방집)
대구한의과대학 제5기 졸업준비위원회, {鍼治百錄}
{동의처방대전}(여강)
{한방전문의 총서}(해동의학사)

21 # 글을 마치며[ | ]

마지막으로 이 소책자에서 소개된 내용이나 저작들이 과연 한의학을 하는데 얼마나 도움이 될 것인지 반론이 있을 수 있다. 어떻게 보면 이 소책자에서 소개된 내용들은 한 한의학도가 한의학이라는 학문을 접하면서 나름대로 지나온 思想的 歷程의 한 기록이라고 보아도 좋다. 글쓴이는 이 글을 작성하면서 자신의 과거를 새삼 되돌아 보게 되었다. 글쓴이는 처음에는 이러저러한 책들을, 이러저러한 내용을 소개해야겠다는 의무감과 성취감에 젖어 있었다. 그러나 이 책을 다 쓰고 나서 느끼는 것은 부족함과 부끄러움이다. 한의학이 어떤 학문인지, 그것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아무도 말해주지 않고 알 수도 없는 상황에서 나름대로의 苦鬪를 진행해 왔지만 현재 나에게 남아 있는 것은 무엇인지, 앞으로의 전망은 무엇인지 깊은 自愧心이 몰려 온다. 해야 할 일은 산더미처럼 쌓여 있는데 우리의, 아니 나 자신의 문제는 泰山보다 높고 河海보다 깊다.

이 글은 원래 한의대 신입생을 위해 작성된 것이다. 그러므로 이 글이 작성되기까지에는 글쓴이가 한의대에 다녔던 경험이 가장 큰 바탕을 이루고 있다. 한의학을 배우고 공부하면서 같이 고민하고 토론하던 수많은 동료와 선후배들과의 경험이 바로 이 글의 주요한 뼈대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이 글의 구체적인 작성에는 특별히 몇 분의 도움이 있었다. 최종덕 교수(상지대, 과학철학 전공)는 본인과의 오랜 인연도 있지만 동과연의 편집부장으로서 이 글의 작성 전반에 걸쳐 도움을 많이 주었다. 특히 과학과 연관된 분야에서 큰 도움을 받았다. 이현구 선생(성대 강사, 동양철학 전공)은 동과연의 편집위원으로 이 글이 끝까지 작성될 수 있도록 격려와 조언을 아끼지 않았다. 동양철학 특히 한국철학 분야에서 큰 도움을 받았다. 이 분들의 이름을 따로 명기하여 감사의 표시를 하고자 한다.

                                                     1997년 2월 24일, 동과연 연구실에서
                                                             동의과학연구소 연구부장 씀
  • 본 소책자는 1997년도 한의대 예과 입학생에 한하여 무료로 배포하고 있습니다.
  • 본 소책자의 내용이나 그밖의 학습에 대한 문의나 도움말은 동과연 연구부장인 박석준(02-3462-7533)이나 총무부장인 이동관(02-997-0847)에게 하면 됩니다. 더 전문적인 책자, 소개된 책에 대한 평가 등 어떤 내용에 대해서도 여러분의 문의에 답해드릴 것입니다.
  • 또한 소모임을 만들어 지속적인 학습 모임을 구성하려는 분들께는 동과연에서 최대한의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입니다. 여러분의 문의를 환영합니다.

22 참고[ | ]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