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발렌류

1 개요[ | ]

Fulvalenes
풀발렌류
  • 홀수각형 고리가 이중 결합으로 연결되어 이중결합이 교대로 위치해 분자전체에 콘쥬게이션을 가지고 있는 분자
  • 가운데 다리 이중결합이 편극되어 한쪽 고리는 음전하를 갖고, 한쪽 고리는 양전하를 가질 때 휘켈 규칙을 만족하는 경우 큰 쌍극자 모멘트를 가짐.
    • 즉 양 고리의 원자수 차이가 4n+2 (n은 0이상 정수) 꼴 일때
    • 칼리센펜타헵타풀발렌은 큰 쌍극자 모멘트로 유명한 화합물
    • 칼리센과 펜타헵타풀발렌은 방향족 탄화수소와 비방향족 탄화수소의 중간 성질을 가짐.
  • 명명시, 양 고리의 사이즈가 같은 경우 n을 고리를 이루는 탄소 원자의 수로 하여 n에 해당하는 접두사를 풀발렌(fulvalene) 앞에 붙임
여기서 트라이(tri) 대신 트라이아(tria)를 사용
풀벤류 이름의 어원이 된 풀벤은 보통 단순히 풀벤이라고 부름.
  • 양 고리의 사이즈가 다른 경우 m,n을 각각의 고리를 이루는 각각의 탄소 원자의 수로 하여 m,n에 해당하는 접두사를 풀발렌(fulvalene) 앞에 붙임
여기서도 트라이(tri) 대신 트라이아(tria)를 사용
비대칭 풀발렌에서 어느 접두사를 먼저 붙여야 하는지 정해진 기준은 없어 마음대로 써도 상관은 없으나 작은 접두사를 먼저 붙여서 '트라이아풀발렌', '펜타헵타풀발렌'의 꼴이 반대 경우보다 더 많이 쓰임.
  • IUPAC 기준에 따라 다른 고리화합물과 같은 방식으로도 명명할 수 있으나, 이름이 엄청나게 복잡해져서 잘 쓰이지 않음

 

2 같이 보기[ | ]

3 참고[ | ]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