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묵하는 다수

1 개요[ | ]

silent majority
沈默하는 多數
침묵하는 다수
  • 어떤 국가 또는 집단에서 자신의 의견을 공개적으로 표현하지 않는 불특정 절대다수
  • 어떤 사회나 집단에서 의견을 적극적으로 표출하지 않는 다수의 구성원을 가리키는 표현
  • 이들은 공개적인 토론이나 시위, 정치 활동에 참여하지 않기 때문에 명확한 정치적 성향이나 입장이 드러나지 않지만, 전체 여론 형성이나 선거 결과에는 결정적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집단으로 여겨진다.
  • 개념 자체는 19세기 초(1830년대)부터 사용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오늘날 널리 알려진 의미는 1969년 미국 대통령 리처드 닉슨(Richard Nixon) 의 전국 연설에서 확립되었다.
  • 닉슨은 베트남 전쟁 반대 시위에 참여하지 않는 시민을 가리켜 “저는 오늘 밤, 침묵하고 있는 나의 동포 다수에게 호소합니다.”라고 말하며, ‘침묵하는 다수(the great silent majority)’를 전쟁 수행을 지지하는 일반 국민층으로 규정했다.
  • 여론조사에 드러나지 않는 숨어 있는 민심을 지칭할 때 자주 사용된다.

  • 정치적 맥락에서 가장 자주 쓰인다. 선거 전략, 여론 분석, 정책 지지 기반 설명 등에 활용된다.
  • 명확하게 관찰되거나 계량화되기 어렵다. “다수”라고 주장하는 경우가 많으나, 실제 여론을 대표하는지는 논쟁적이다.
  • ‘소리 큰 소수’(vocal minority)와 대비된다. 적극적으로 발언하는 집단보다 조용한 다수가 더 큰 영향력을 가질 수 있다는 주장이다.

2 같이 보기[ | ]

3 참고[ | ]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