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가능 개발 목표

1 개요[ | ]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지속가능 개발 목표, 지속가능 발전 목표
  • 2015년 UN총회에서 채택된 글로벌 공동 추진 목표
  • 2000년부터 2015년까지 시행된 밀레니엄개발목표(MDGs)를 종료하고 2016년부터 2030년까지 새로 시행되는 UN과 국제사회의 공동목표
  • 인류의 보편적 문제(빈곤, 질병, 교육, 성평등, 난민, 분쟁 등) 와 지구 환경문제(기후변화, 에너지, 환경오염, 물, 생물다양성 등), 경제 사회문제(기술, 주거, 노사, 고용, 생산 소비, 사회구조, 법, 대내외 경제)를 2030년까지 17가지 주 목표와 169개 세부목표로 해결하고자 이행하는 목표

2 17대 목표[ | ]

  1. 모든 곳에서 모든 형태의 빈곤 종식
  2. 기아 종식, 식량 안보와 영양 개선 달성 및 지속가능한 농업 진흥
  3. 모든 연령층의 모든 사람을 위한 건강한 삶 보장 및 복지증진
  4. 포용적이고 공평한 양질의 교육 보장 및 모두를 위한 평생학습 기회 증진
  5. 양성평등 달성 및 모든 여성과 소녀의 권익 신장
  6. 모두를 위한 물과 위생의 이용가능성 및 지속가능한 관리 보장
  7. 모두를 위한 저렴하고 신뢰성 있으며 지속가능하고 현대적인 에너지에 대한 접근 보장
  8. 모두를 위한 지속적이고 포용적이며 지속가능한 경제성장 및 완전하고 생산적인 고용과 양질의 일자리 증진
  9. 회복력 있는 사회기반시설 구축, 포용적이고 지속가능한 산업화 증진 및 혁신 촉진
  10. 국가 내 및 국가 간 불평등 완화
  11. 포용적이고 안전하며 회복력 있고 지속가능한 도시와 정주지 조성
  12. 지속가능한 소비 및 생산 양식 보장
  13. 기후변화와 그 영향을 방지하기 위한 긴급한 행동의 실시
  14. 지속가능개발을 위한 대양, 바다 및 해양자원 보존 및 지속가능한 사용
  15. 육상 생태계의 보호, 복원 및 지속가능한 이용 증진, 산림의 지속가능한 관리, 사막화 방지, 토지 황폐화 중지, 역전 및 생물다양성 손실 중지
  16. 모든 수준에서 지속가능개발을 위한 평화롭고 포용적인 사회 증진, 모두에게 정의에 대한 접근 제공 및 효과적이고 책임 있으며 포용적인 제도 구축
  17. 이행수단 강화 및 지속가능개발을 위한 글로벌 파트너십 활성화

3 같이 보기[ | ]

4 참고[ | ]

  • UN Instruments
    어렵네요. 법률문서보다는 행정문서에 가까운지도. 아니면 뭔가 표준문서? Pinkcrimson
  • UN Instruments
    그렇죠 정확히 어떻게 번역되는지 모르겠네요(검색력의 한계) Mk
  • UN Instruments
    조금 검색해봤으나 딱히 나오진 않네요. 제 추천은 1 기본문서/표준문서 2 공식문서 3 행정문서. 법은 아니므로 법률은 오해의 소지가 있다고 봅네다. Pinkcrimson
  • UN Instruments
    '법률문서'이라는 번역은 일영사전( 예: https://dictionary.goo.ne.jp/word/en/instrument/#ej-44479 )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법률을 기록한 문서'는 아니지만 '법(률)적인 효력이 있는 문서'를 표현하고자 한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J Jmnote
  • UN Instruments
    네, 그것도 그렇고, '문서'와도 약간 결이 다른 것 같다는 느낌도 듭니다. 이를테면 'labour rights that Korean workers were entitled to under multiple United Nations instruments covering labour st Mk
  • UN Instruments
    Jmnote/ 네, 저도 instruments가 과연 documents와 동일한 것인지 의구심이.. M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