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 ]
- bounded rationality
- 한정 합리성, 한정적 합리성, 제한된 합리성, 제한적 합리성
- 인간행동을 설명하는 모델 중 하나
- 능력에 한계가 있는, 현실적인 인간이 도달할 수 있는 합리성
- 목표 달성 정도가 정보처리체계의 한계와 과제가 발생하는 맥락 때문에 제한되는 것이다.
- 의사결정은 상황지식과 기대된 결과의 측면에서 제한되므로 완전히 합리적일 수 없다.
- 의사결정 과정에서 합리적인 상황을 추구하지만, 인식의 한계, 시간의 제약으로 인해 합리성이 제한된다는 개념
- 모든 의사결정은 의사결정 행위자의 정보수집·처리능력의 한계, 향후의 불확실성이라는 다양한 제약 하에서 이루어지므로 목표에 비추어 완전히 합리적일 수 없다.
- 모든 정보를 가진 최고의 능력을 가진 사람이 최선의 대안을 선택하는 것이 아니다.
- 허버트 사이먼이 『Administrative Behavior』에서 인간의 인식 능력에 대한 개념을 정리한다.
- 합리성을 실질 합리성(substantive rationality)과 절차 합리성(procedural rationality)으로 구분하였다.
- 올리버 윌리엄슨은 이 개념을 거래비용에 접목하여 경제학의 기초로 삼았다.
2 같이 보기[ | ]
3 참고[ | ]
편집자 Jmnote Jmnote bot 219.255.47.216
로그인하시면 댓글을 쓸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