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토종

1 개요[ | ]

Pure Land Buddhism
淨土, 淨土敎
정토종, 정토교
  • 중국 불교 십삼종의 하나
  • 정토교의 실현을 이상으로 하는 종파
  • 아미타불을 숭상하며, 믿음을 통해 정토에서 다시 태어나고자 하는 대승 불교
  • 아미타불 및 그가 출현할 정토의 존재를 믿고, 죽은 후 그 정토에 태어나기를 바라는 대승불교의 일파
  • 아미타불의 구원을 믿고, 염불을 외어 서방극락정토(西方極樂淨土)에 왕생(往生)하여 깨달음을 얻는다고 설하는 종파
  • 정토3부경 등에 의거하여 아미타불의 본원(本願)을 믿고, 그 부처의 이름을 부르면서 그의 모습이나 공덕을 생각함으로써 극락 정토에 태어나기를 기원하는 종파
  • 정토3부경과 세친(世親)의 왕생론을 주요 경론(經論)으로 한다.
  • 정토3부경에 바탕을 두고 인도 불교에서 용수(龍樹) · 세친(世親) 등의 사상적 조직화를 거쳐, 중국 불교에 이르러 발달하였다.
  • 한국 불교에서 정토교는 남북국 시대 신라에 유행하였는데 원효가 주창하였다.
  • 글을 모르는 일반 백성들에게 널리 전해 불교의 대중화를 이루었다.
  • 우리나라 불교 전체에 깊이 흐르고 있는 사상이다.

2 같이 보기[ | ]

3 참고[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