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 ]
- 사전이라기보다는 주요 일본사 개념어의 전후 연구사/논쟁사를 소개한 책
- http://www.tokyodoshuppan.com/book/b101573.html
2 들어가며[ | ]
3 범례[ | ]
4 원시・고고학[ | ]
- 전기 구석기 존비 논쟁
- 조몬농경론
- 야요이 시대 기원 논쟁
- 야마타이 국 논쟁
- 삼각연신수경(동범경) 논쟁
- 임나 논쟁
- 조몬사회론
- 농경사회
- 지역국가론
- 기마민족설
- 왕조교체론
- 조리제条里制 유구
- 고대 관아
- 호족 거관居館
- 단위집단
- 친족 구조
- 환상環状집락
- 환호環濠집락
- 고지高地성 집락
- 오호츠크 문화와 사츠몬擦文 문화
- 아이누 문화
- 남도 패총 문화
- 세틀먼트 아키올로지
- 패총(shell mound)
- 토갱
- 옹관묘
- 방형주구묘
- 야요이 분구묘
- 고분
- 전방후원분
- 상원하방분
- 횡혈묘
- 토기・도자기 편년
- 타이폴로지
- 층위론
- 방사성 탄소 연대법
- 연륜연대법
- 화분분석법
- 플라톤 오팔 분석법
- 압흔법(레플리카법)
- 워터 세퍼레이션 프로티션 법(수세선별법)
- 유적보존운동
- 기록보존
- 역사고고학
- 전적戦跡고고학
- 산업고고학
5 고대[ | ]
- 다이카 개신 논쟁
- 키나이 정권 논쟁
- '천황'・'일본' 호칭 성립 논쟁
- 고대 가족 논쟁
- 아시아적 생산 양식 논쟁
- 왕민제
- 국가적 토지소유
- 수장제
- 율령국가
- 왕조국가
- 부관제
- 천하(치천하)
- 국조제
- 부민제
- 씨족과 우지氏
- 기기신화
- 야케ヤケ, 이에イヘ, 이에イエ
- 구두 전달
- 쌍계제
- 사봉仕奉
- 고대의 산, 들, 강, 바다
- 군신群臣
- 오오에大兄제・황태자제
- 천황제・태상천황제
- 여제
- 귀족
- 총령総領제・국사国司제
- 평제評制・군제群制
- 이제里制・향리제・향郷제
- 공전・공지公田公地제
- 태정관제
- 관인제
- 율령군제
- 율령재정
- 조리제・조리 플랜
- 초기 장원
- 교역
- 도성제
- 개별 경영
- 농업공동체
- 신기神祇제사
- 진호국가
- 상서와 재이
- 어령신앙
- 신불습합
- 다자이후
- 견당사・견신라사・견발해사
- 도해渡海제
- 하야토隼人
- 에조蝦夷・부수俘囚
- 숙신
- 남도
- 대우혼対偶婚
- 왕토왕민사상
- 공경의정제公卿議定制
- 섭관정치
- 국풍 문화
- 22사 체제
- 수령층
- 관사官司청부제
- 부호층
6 중세[ | ]
- 중세 이행기 논쟁
- 남북조 봉건 혁명설
- 중세 왕권 논쟁
- 지토地頭 논쟁
- 게닌下人 논쟁
- 햐쿠쇼百姓 신분 논쟁
- 장원공령제
- 재지수령제
- 권문체제
- 다이묘 영국領国제
- 현밀체제
- 일국 평균역役
- 원정院生・치천의 임금治天の君
- 여원女院
- 왕가령 장원
- 쇼군 권력의 이원성
- 덕정徳政・덕정령
- 무민撫民과 공평
- 토쿠소得宗 전제
- 당사자주의와 직권주의
- 중세의 이에와 '이에 지배'
- 겐무建武 신정新政
- 슈고守護 영국제
- 검지検地
- 국분国分
- 총무사惣無事
- 직職의 체계
- 공전公田(공전체제)
- 재지
- 묘名(타토田堵・나누시名主 층・햐쿠쇼묘百姓名)
- 권농
- 산전청작散田請作
- 연공과 카지시加地子
- 밭농사畠作
- 기진지계 장원寄進地系荘園
- 촌락 형태
- 직능론적 무사론
- 총령惣領제
- 가부장제
- 도망逃散
- 아쿠토悪党
- 코쿠진国人 영주
- 쇼케荘家의 잇키一揆
- 도잇키(츠치잇키)土一揆・덕정 잇키
- 잇코잇키一向一揆
- 총국惣国 잇키
- 기청문起請文
- 관고제貫高制
- 전銭・화폐유통론
- 토호・소영주
- 무라의 무력・무라의 전쟁
- 피차별신분론
- 중세 도시・자치
- 율종・율승
- 신국神国 사상
- 가마쿠라 불교
- 제국 이치노미야 제諸国一宮制
- 무연・공계・낙無縁・公界・楽
- 음양도
- 정치문화(중세)
- 동아시아 해역 교류
- 왜구
- 동국국가론
- 지역사회론(중세)
7 근세[ | ]
- 태합검지 논쟁
- 국군제 논쟁
- 근세 봉건제 논쟁
- 주자학을 둘러싼 논쟁
- 양학 논쟁
- 막번체제
- 병농분리
- 군역론
- 신분(근세)
- 호농・반프롤레타리아론(막말사회론)
- 민간사회론
- '번' 개념
- 역役의 체계
- 공의公儀
- 병영국가론
- 햐쿠쇼
- 문자사회
- 무라우케村請제
- 치교知行제론
- 오이에御家 의식
- 천도天道 사상
- 권력자의 신격화
- 인정仁政 이데올로기
- 지배 이데올로기, 지배사상
- 명군
- 키리시탄
- 쇄국・해금
- '네 개의 창구'론
- 화이질서・화이의식
- 북방사・에조蝦夷・아이누
- 류큐사
- '이에'의 성립
- 토호
- 소농자립
- 햐쿠쇼 성립론
- 햐쿠쇼 잇키
- 지역사회론(근세)
- 사회적 권력
- 중간지배기구론
- 피차별민(근세)
- 신분적 주연周縁론
- 중간층
- 통속도덕
- 유서由緒론
- 자이고마치在郷町・자이카타마치在方町
- 민중종교
- 혼조本所론
- 초기 번정 개혁
- 삼대 개혁
- 호레키宝暦・텐메이기天明期론
- 국소国訴
- 농촌황폐론
- 요나오시世直し・요나오시 상황론
- 근세의 천황
- 근세의 공가
- 근세의 사사寺社
- 근세해운
- 근세도시
- 근세의 어업・어촌
- 근세의 산촌
- 근세의 여성사
8 근현대[ | ]
- 일본자본주의 논쟁
- 파시즘 논쟁
- 천황제
- 국민국가론
- 여성사 연구와 젠더사 연구
- 메이지 유신
- 다이쇼 데모크라시
- '제국' 일본과 식민지
- '냉전' 체제
- 자유민권
- 메이지 헌법 체제
- 육해군과 근대 일본
- 국가론
- 치안유지법과 경찰
- 전후 개혁
- 상징천황제
- 15년 전쟁
- 총력전 체제
- 난징 사건
- 산업혁명
- 기생지주제
- 고도경제성장
- 농민운동과 농민의 사회사
- 쇼와사 논쟁
- 일본의 근대・근대화
- 국가신도
- 황국사관
- 위령
- 사적
- 시민
- 네오 리버럴리즘
- 인민투쟁사・민중운동사
- 노동운동과 노동・노동자
- 부락문제
- 역사과학운동
- 대중사회
- 마르크스주의
- 종군위안부
- 도시사(근대)
- 후생
- 기업사회
- 공공성
- 피재被災사료 보전과 역사학
- 재일조선인
- 역사수정주의
- 오키나와
- 도쿄 재판
- 포스트모던
- 지역지배
- 근대가족
- 세계시스템론
- 청일・러일전쟁
- 태평양 전쟁
- 대동아공영권
- 전쟁책임
- 소련과 사회주의
- 미국과 일본 역사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