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주의 평화론

1 개요[ | ]

capitalist peace theory, commercial peace theory
자본주의 평화론
  • 시장 개방성이 국가 간 평화적 행태를 촉진하며, 발전된 시장 지향적 경제를 가진 국가들이 서로 간의 분쟁에 휘말릴 가능성이 낮다는 이론
  • 주어진 경제 발전 기준에 따라 선진 경제가 서로 전쟁에 참여하지 않으며 저수준의 분쟁에 참여하지 않는다는 이론
  • 자본주의, 무역 상호의존성, 자본 상호의존성이 전쟁의 비용을 증가시키고, 이익집단이 전쟁에 반대하도록 유인하며, 지도자들이 전쟁을 수행하기 어렵게 만들고, 정복을 통한 경제적 이득을 줄이는 방식으로 평화를 촉진한다고 본다. 즉, 국제 무역과 금융 자본의 흐름은 분쟁을 일으킬 때 치러야 할 경제적 대가를 크게 늘려 전쟁 억제 효과를 가져온다는 것이다.
  • 학계에서는 자본주의 평화론의 경험적·이론적 타당성, 그리고 작동 메커니즘에 대해 논쟁이 이어져 왔다. 특히 경제 상호의존성과 분쟁 간의 관계에 대한 기존 연구들을 종합한 한 리뷰에서는, 경제적 상호의존성이 갈등을 줄인다는 명확한 증거는 아직 불충분하다고 결론지었다.

2 같이 보기[ | ]

3 참고[ | ]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