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동지

1 개요[ | ]

冬至, 閏冬至달
윤동지, 윤동짓달
  • 동짓달에 드는 윤달
  • 윤달은 동짓달에는 좀처럼 들지 않음[1]
  • 있을 수 없는 일에 대한 비유

2 이유[ | ]

  • 여름의 중기 사이가 길기어서 윤달이 겨울보다는 여름에 나타날 확률이 높음
정기법(공전궤도 15°마다 절기를 넣는 방법)에 따라 나타난 현상[2]
  • 지구의 공전속도가 느린 여름에는 15°를 지나는 데 15.218425 일 이상
지구의 공전속도가 빠른 겨울에는 15°를 지나는 데 15.218425 일 미만
  • 동지, 소한, 대한의간격은 15일이어서 열한 번째 중기인 동지와 마지막 중기인 대한의간격은 30일

3 같이 보기[ | ]

4 참고[ | ]

  1. 확률이 낮은 것이지 불가능한 것은 아님
  2. 정기법은 1645년(청나라) 만든 시헌력에서 처음 적용되었음. 그 이전에는 일정하게 15.218425 일마다 절기 적용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