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동장치

1 개요[ | ]

interlocking device
連動裝置
연동 장치
  • 역 구내의 열차 운행과 차량의 입환을 안전하고 신속하게 하기 위하여 신호기, 선로전환기, 궤도회로 등의 장치를 기계적, 전기적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상호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한 장치
  • 정차장 사이 등은 폐색방식에 의해 1폐색구간 1열차로, 열차운전의 안전이 확보되어 있지만, 정차장 구내에서는 많은 분기선(分岐線)이 있어, 열차의 분할(分割)•조성(組成) 등의 작업에 즈음해서는 동일한 폐색방식을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정차장 구내에서의 열차운전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서 입구의 장내신호기, 발차선(發車線)의 출발신호기, 입환운전(入換運轉)을 위한 입환신호기 등의 상호간과 이러한 신호기와 전철기의 상호간에 결정된 조건일 때만 작동하도록 한 「연쇄(連鎖)」를 시행하고 있다. 이 연쇄관계를 유지하면서 작동하는 것을 「연동(連動, interlocking)한다」고 하며, 이러한 연동을 확보하는 장치가 연동장치이다.
  • 정차장에서는 이러한 연동장치의 채용이 원칙으로 되어 있다. 연동장치에는 방식에 따라 제1종 연동장치(first class interlocking device)와 제2종 연동장치(second class interlocking device)가 있다. 제1종은 신호기•전철기 등의 레버를 모두 한 곳에 집중하여 원격조작(遠隔操作)하고, 이러한 상호간의 연쇄는 제1종 연동기에 따라 수행한다. 제2종은 신호기의 레버는 집중취급하고, 전철기의 변환조작은 현장에서 취급하며, 이로써 상호간의 연쇄는 각 전철기 부근에 설치된 쇄정기(鎖錠器)에 따라 각각으로 수행한다.
  • 최근에는 CTC의 보급에 따라 이러한 것은 센터에서 원격제어(遠隔制御, remote control)된다. 전용선이 있다든지, 입환 등을 수행하는 역 등은 역 독자취급(獨自取扱)으로 하고 있다. 연동장치에는 구조에 따라 기계식과 전기식이 있으며, 기계식 연동장치(mechanical interlocking device)는 큰 레버를 조작원(操作員)의 손으로 취급하고, 기계적인 쇄정장치를 개입하여 전철기를 전환하는 것으로써, 노력과 시간을 요하기 때문에, 최근에는 거의가 전기식으로 이행되고 있다. 전기식의 계전연동장치(繼電連動裝置)는 계전회로에 의해 전기적으로 신호기•전철기 등의 순서로 쇄정을 수행하고 전철기의 전환은 전기동력에 따르고 있으므로, 조작원은 집중 제어반의 스위치와 푸시 버튼(push button)을 취급한다. 기존의 계전연동장치는 전자석(電磁石, electromagnet)을 이용하여 계전기의 접점을 개폐하겠지만, 최근 보급되고 있는 전자연동장치(電子連動裝置, electronic interlocking device)에서는 계전기 대신에 마이컴을 사용하여 신뢰성•경제성이 보다 향상하여, 취급장소와 기기실이 소형화되고 있다.

2 같이 보기[ | ]

3 참고[ | ]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