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운형 평전

1 개요[ | ]

2 목차[ | ]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 1권 ===
한국어판을 내면서
서문

1장 | 구한말, 위기의 시대상
1. 집안 분위기와 어린 시절 / 2. 학생시절-서양문화와의 만남

2장 | 망국 그리고 계몽가의 길
1. 조선통감부 설치와 의병전쟁 / 2. 기독교 입신과 계몽운동 / 3. 교육자로서의 실천
4. 105인 사건과 조합교회 활동 / 5. 망명을 선택하다

3장 | 중국혁명에 대한 공명과 3·1운동의 태동
1. 남경에서 상해로 / 2. 상해 신아동제회의 활동 / 3. 손문과의 만남, 신한청년당의 결성
4. 파리강화회의에 대표를 파견하다 / 5. 시베리아에서 알게 된 3·1운동

4장 | 상해 임시정부의 혼란 속에서
1. 블라디보스토크와 한성, 두 정부의 성립 / 2. 상해 임시정부의 성립 / 3. 일제의 탄압
4. 세 임시정부의 상해 통합

5장 | 3·1운동과 5·4운동의 연대를 지향하며
1. 3·1운동에서 5·4운동으로 / 2. 상해에서 한·중 연대의 발전 / 3. 손문과 조선독립운동

6장 |‘문화통치’와 여운형 회유공작
1. 하세가와 총독에서 사이토 총독으로 / 2. 조합교회의 여운형 유치공작 / 3. 공작의 창구, 척식국
4. 방일을 둘러싼 임시정부의 대립

7장 | 일제의 수도에서 외친 독립
1. 고가 척식국장관과의 회담 / 2. 다나카 육군대상 등 정부요인과의 회견
3. 미즈노 렌타로의 ‘문화정치론’을 논박하다 / 4. 제국호텔에서 행한 독립 연설
5. 요시노 사쿠조와 회견하다

8장 | 회유공작 실패로 인한 일본 정계의 혼란
1. 일본 정부 내의 대립과 서울방문 중지 / 2. 하라 내각의 의회대책 / 3. 제42회 제국의회에서 벌어진 논전

역자 후기·연보·주(註)

=== 2권 ===
역자 서문

제1장 상하이 한인거류민단의 거두
제1절 거류민단의 창설자
제2절 상하이 민단의 대표로서
제3절 선거제도의 도입
제4절 거류민의 권리 옹호를 위해
제5절 동포 자제의 교육에 심혈을 기울이다

제2장 러시아혁명과 중국혁명의 사이에서
제1절 러시아 혁명정부에 대한 외교
제2절 한인사회당의 당리·당략
제3절 포타포프, 천종밍과의 회담

제3장 미국 의원단의 방한 영접
제1절 중국에서의 환영
제2절 서울에서의 환영과 총독부의 대응

제4장 사회주의를 통한 모색
제1절 코민테른에 대한 관심
제2절 맑스 이론에 대한 관심

제5장 독립 전쟁과 식민지방어 전쟁
제1절 3·1운동과 간도(間島)·시베리아의 독립전쟁
제2절 “휘춘(琿春)사건”이라는 모략
제3절 일본군의 간도 침공과 칭샨리(靑山里) 전투
제4절 일본 군경에 의한 간도거주 한인 학살

제6장 상하이임시정부의 분열양상
제1절 이동휘 그룹의 대책
제2절 두 개의 고려공산당
제3절 안창호 그룹의 독립준비론
제4절 이승만의 상하이 내방과 내분 격화
제5절 분출한 이승만 규탄
제6절 여운형 그룹의 한중 연대론

제7장 극동민족대회
제1절 흑하(黑河)사건의 발생
제2절 워싱턴회의인가, 극동민족대회인가
제3절 레닌 접견, 대회의 경과와 후속 상황

제8장 국민대표대회
제1절 국민대표대회 개최를 향해
제2절 대회의 연기와 재조직
제3절 대회 개회와 토론 그리고 분열

주석

3 같이 보기[ | ]

4 참고[ | ]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