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 ]
- 아니리
- 판소리에서 공연자가 장단이 없이 말로 연기하는 것
- 판소리에서 창자가 음률이나 장단에 의하지 않고 일상적 어조의 말로 하는 부분
- 판소리에서, 창을 하는 중간중간에 가락을 붙이지 않고 이야기하듯 엮어 나가는 사설
- 판소리에서 소리와 소리 사이에 가락을 붙이지 않고 이야기하듯 줄거리를 설명하는 부분
- 판소리에서 소리를 하던 중 설명 또는 대화식으로 어떠한 상황이나 장면 등을 엮어가는 것
- 판소리 창자(唱者)가 한 대목의 소리에서 다른 대목으로 넘어가기 전에 일정한 장단이 없이 자유리듬(free rhythm)으로 사설을 엮어가는 행위
2 같이 보기[ | ]
3 같이 보기2[ | ]
- 글
- 말
- 부등호
- 갈매
- 갤칼
- 겹씨
- 겉말
- 귀치레
- 글발
- 글속
- 글지
- 글품쟁이
- 끔말
- 늣(말)
- 들머리
- 뜻매김
- 막청(소프라노)
- 말갈(어학)
- 말갈망
- 말꼭지 떼다
- 말마투리
- 말모이(사전)
- 말본새
- 말비침
- 대답
- 말임자
- 말자루
- 말재기
- 말전주
- 말질
- 머무름표
- 물씨
- 미쁜글
- 바디
- 반물
- 발괄
- 방울북
- 벼리
- 변말
- 비사치다
- 소리돌림
- 소리맵시
- 소릿귀
- 솟을무늬
- 시나위
- 신소리
- 사설
- 악청
- 에두르다
- 여김
- 지움
- 올림말
- 욀총
- 이끔말
- 이즈막
- 익은말
- 입고프다
- 입길
- 입내
- 입심거리
- 잔생이
- 준보기
- 줄글
- 지매
- 지치보라
- 짙음새
- 쨈빛
- 쩍말없다
- 쪽모이
- 코큰소리
- 타목
- 토막말
- 풍장
- 피끗
- 하냥
- 함박
- 해적이
- 헌해
- 호드기
- 흘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