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 ]
- 컴퓨터가 프로그램으로서 해석하여 실행할 수 있는 파일
- 단순히 데이터만 담고 있는 파일과 달리 코드화된 명령에 따라 지시된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는 컴퓨터 파일
- 특정 CPU의 기계어를 담고 있는 바이너리 형식 파일을 가리키는 경우가 많음
- 다만, 실행파일의 범주는 규약으로 정하기 나름임
- OS에 따라서는 실행파일임을 나타내는 파일이름의 규약이 있음( 예: 확장자 .bin .exe )
- 파일의 메타데이터가 실행파일인지를 나타내는 경우도 있음
- 예: UNIX계열의 실행권한 퍼미션(x)
- 최근 아키텍처에서는 실행파일에 프로그램 자체 이외의 정보도 저장됨
- 예: 실행에 필요한 환경 정보, 디버깅 정보, 심볼 정보 등
- 소스가 실행 형식으로 암묵적으로 변환되어 실행되는 것임
- 단, 엄밀히 말하자면 인터프리터가 그 파일을 해석하여 명령을 내리는 것이라고 할 수 있음
2 형식 예시[ | ]
- COM (.com) (도스)
- MZ (.exe) (도스, 윈도우 일부)
- PE (.exe, .dll, .ocx, .sys, .scr) (윈도우)
- ELF (유닉스 계열)
- Mach-O (맥)
- 헝크 (아미가 OS)
3 같이 보기[ | ]
4 참고[ | ]
편집자 Jmnote
로그인하시면 댓글을 쓸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