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오기

1 개요[ | ]

신라오기
新羅五伎 ]
  • 신라 말 최치원(崔致遠)의 절구시(絶句詩) 「향악잡영(鄕樂雜詠)」 5수에서 읊어진 다섯 가지 놀이
  • 금환은 곡예의 일종으로 여러 개의 금방울(또는 금칠한 공)을 계속 공중으로 던졌다 받는 것이다
  • 월전은 서역에서 전해진 탈춤의 하나
  • 대면은 일종의 구나무(驅儺舞)
  • 속독은 중앙아시아의 여러 나라에서 전래한 건무(健舞)의 일종
  • 산예는 사자춤
  • 신라 말의 이와 같은 향악은 고려의 산대잡극(山臺雜劇)이나 조선조의 나례잡희(儺禮雜戱)의 선행예능(先行藝能)이었음을 알 수 있다
  • ‘향악’이라고 읊었지만, 그 내용으로 보아 중국과 서역에서 전래된 무악(舞樂)과 산악(散樂) 등의 영향을 받은, 삼국악(三國樂)을 집성한 놀이였음을 알 수 있다

2 같이 보기[ | ]

3 참고[ | ]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