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일야방성대곡

1 개요[ | ]

是日也放聲大哭
시일야방성대곡
  • "이 날에 목놓아 우노라"
  • 주필인 장지연이 1905년 11월 20일 황성신문에 올린 글
  • 1905년에 일본의 강요로 을사조약이 체결된 것을 슬퍼하여 장지연이 민족적 울분을 표현한 논설
  • 황제의 승인을 받지 않은 을사늑약의 부당함을 알리고 이토 히로부미와 을사오적을 규탄함

 

2 내용[ | ]

지난날 이토 후작이 한국에 오자 우둔한 우리 인민은 서로 논하여 말하기를 "후작은 평소 동양 3국의 정족과 안녕을 주선하겠다 자처하던 사람이다. 이번에 내한하였으니 분명 우리 나라의 독립을 공고하게 뿌리내리게 할 방법을 알려주리라" 하여 항구에서 서울에 이르기까지 관리와 시민 모두가 환영함을 감추지 못했는데, 천하의 일 가운데 예측하기 어려운 것 많도다. 천만 꿈에도 못한 다섯 조항이 어찌하여 제출되었는가? 이 조약은 비단 우리 한국만이 아니라 동양 삼국이 분열하는 조짐을 낳을 것이니, 이토 후작의 본래 뜻은 어디에 있을꼬.

그렇다고는 하지만, 우리 대황제 폐하의 신성한 뜻이 강경하여 거절함을 저어하지 않았는데, 그 조약이 성립하지 않음은 이토 후작 자신도 잘 알고 있었을 바라고 생각한다. 허나 아아, 그 개돼지보다 못한 소위 우리 정부의 신하들은 영리를 추구하고 거짓 위협에 겁을 먹어 머뭇대거나 떨며 나라를 파는 적이 됨을 달갑게 여겨 사천 년 강토와 오백 년 종묘사직을 타인에게 들어다 바치고, 이천만 생령이 타인의 노예가 되게 하였으니. 그들 개돼지보다 못한 외무대신 박제순 및 각 대신은 깊게 문책할 것도 없거니와, 명색이 참정대신이라는 자는 정부의 수반이면서도 그냥 "부(否, 반대)"자 하나 써서 책임을 피해 명예를 얻을 바탕으로 삼을 생각이었는가. 김청음처럼 문서를 찢으며 통곡하지도 못하고, 정동계처럼 할복하지도 못하고, 태평히 생존하여 세상에 다시 섰으니, 무슨 면목으로 강경하신 황제 폐하를 다시 뵐 것이며, 무슨 면목으로 이천만 동포를 마주할 것인가?

아아, 원통하며 아아, 분하도다. 우리 이천만, 다른 이의 노예가 된 동포여. 살았는가, 죽었는가? 단군 기자 이래 사천 년 국민 정신이 한 밤 사이 홀연히 멸망할 것인가. 원통, 원통하다! 동포여! 동포여!

3 같이 보기[ | ]

4 참고[ | ]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